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11.057

Chinese Broadcasters' Perceptions on Localization of Korean Entertainment Formats in China-Focused on In-depth Interviews on and  

Wang, Ying-Ying (한남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Choi, E-Jung (한남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Despite both the Korean version of and seemed to be the most popular in China, the and the , which localized the same format, differed at least in terms of viewership. Focusing on these two opposing case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considerations of the localization transform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in China.. As a result, was positive in terms of character diversification and online media interworking effects. However, the experts recognized that factors such as the confusion of character combinations due to frequent change of performers, frequent absences, conservativ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ate broadcasting that emphasized educational contents, and burden of localization due to changes in mission and challenge form each time were negatively affected. On the other hand, lacked the effect of online media interaction and lack of diversity of performers. However, the use of star actors' celebrities, the merits of actor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s, the use of Chinese flavors and fragrances, and similar types of missions and maintaining a stable composition each time favored localized production formats.
Keywords
Chinese Localization; Program Format; Great Challenges; Running Brother; Korean Wav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만제, 동아시아 방송한류 저변확대 방안연구 : 중국, 일본, 대만, 국방방송광고공사 광고연구소, 2006.
2 정윤경, 전경란, "프로그램 포맷의 절합과 변형: 해외 오락 포맷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1호, pp.197-232, 2010.
3 홍순철, 전규찬, 이영주, 이동후, 정윤경, 박석철, 이종임.하수정, 은혜정, 텔레비전 프로그램 포맷창작론, 서울:한울, 2010.
4 김명중, "TV포맷의 시장 분석과 법적 권리보호에 관한 연구," 정치.정보연구, 제16권, 제1호, pp.195-227, 2013.
5 주자람, 정윤경, 조연하, 홍원식, 방송 프로그램 포맷의 보호방안 연구, 한국저작권위원회, 2014.
6 채정화, 이영주, "방송 프로그램의 포맷에 대한 저작권보호 및 실질적 유사성의 판단 기준에 관한 연구: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Vol.10, No.1, pp.288-321, 2010.
7 장치, 오미영, "한류, 수용에서 합작으로-중국 TV예능 프로그램 사례 검토," 아시아문화연구, 제50권, pp.289-318, 2019.   DOI
8 배관호, 정동환, "TV프로그램 포맷의 현지화 변용 연구: BBC <탑 기어>와 XTM <탑 기어 코리아>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58-172, 2013.
9 성영준, 텔레비전 프로그램 포맷의 수입과 현지화에 관한 연수: 한국 TV프로그램 제작사례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0 김창숙, 홍원식, 김은정, "국내 방송 포맷 수출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포맷 수출 성공 사례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통권, 제36호, pp.5-36, 2015.
11 이무추, 최용준, "중국 시청자의 한류 예능프로그램 시청동기에 대한 탐색적 연구: 중국판 <아빠 어디가>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6권, 제1호, pp.183-208, 2016.
12 Younghan Cho and Hongrui Zhu, "Interpreting the Television Format Phenomen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Through Inter-Asian Framework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Vol.11, pp.2332-2349, 2017.
13 杜欣, 韓強, 中国真人秀节目发展探微, 教書育人, 2013.
14 이유진, 유세경, "한국 예능 프로그램 포맷 수출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160-169, 2016.   DOI
15 이혁진, 송개려, 배기형, "중국 방송포맷 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제18권, 제1호, pp.99-106, 2018.
16 王錦慧, 趙計慧, 韓國電視節目進入中國電視市場的模式及其影響, 現代傳播(中國傳媒大學學報), 2016.
17 趙娛, 由韓國綜藝節目的成功引發對中國綜藝節目的思考, 黑河學刊, 2018.
18 杜鈴, 探析韓國綜藝遊戲類節目特色—以爲例, 中國傳媒科技, 2012.
19 肖曉涵, 韓國電視綜藝節目的發展與特點研究, 新聞研究導20刊, 2017.
20 王曉旭, <爸爸去哪兒>的熱播原因分析, 文學教育, 2014.
21 陳宜芳, 移植與改造: 韓國綜藝節目大勢下的中國電視綜藝走向之思考, 東南傳播, 2015.
22 尹鴻, 陸虹, 冉儒學, 電視真人秀的節目元素分析, <現代傳播-中國傳媒大學學報>05, 2005.
23 趙娛, 由韓國綜藝節目的成功引發對中國綜藝節目的思考, 黑河學刊, 2018.
24 李淑慧, 綜藝節目的引進與本土化創新研究, 新媒體研究, 2016.
25 하정함, 김상현, 장원호, "중국 내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수출과 한류 확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709-719, 2016.   DOI
26 B. DiCicco Bloom and B. F. Crabtree, "Th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Medical education, Vol.40, No.4, pp.314-321, 2006.   DOI
27 Boyce and Neale, PATHFINDER INTERNATIONAL TOOL SERIES Monitoring and Evaluation-2, "Cduction in-depth interviews: A Guide for Designing and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for Evaluation Input," Pathfinder International, 2006.
28 D. Cohen and B. Crabtree, "Qualitative Research Guidelines Projec," 2006. http://www.qualres.org/HomeSemi-3629.html
29 정숙, 방송콘텐츠 스토리텔링,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30 陳蕾, 邵璐, 探索我國真人秀節目本土化創新之路—以奔跑吧兄弟爲例, 影視傳媒, 2019.
31 宋付力, 淺析韓國綜藝節目對我國的借鑒作用—以, 爲例, 今傳媒(學術版), 2017.
32 CMS미디어 리서치, http://www.yue365.com/zixun/201701/1851.shtml, 2016.
33 박선이, 유세경, "포맷 교역 TV 프로그램의 혼종성에 관한 연구:한국의<1대 100>프로 그램에 나타난 지역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2호, pp.187-232, 2009.
34 박진식, 김도연, "텔레비전 포맷을 통해 본 콘텐츠의 글로벌화와 현지화," 방송통신연구, 통권 제83호, pp.9-37, 2013.
35 오경민, 유홍식, "국내 TV프로그램 포맷의 수출과 현지화 변용에 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6권, 제4호, pp.5-47, 2015.   DOI
36 禚俊南, 解析韓國綜藝節目,<無限挑戰> 熱度居高不下的原因, 西部廣播電視, 2016.
37 許樂天, 真實綜藝秀的本土化創新, 視聽界, 2014.
38 申整齊, 盤點2007年中國電視綜藝節目, 當代電視, 2007.
39 人民網, <<非誠勿擾>> : 以創新跨過 七年之癢, 中國新聞出版廣電報, 2017.
40 홍원식, 성영준, "방송 콘텐츠 포맷 유통에 관한 탐색적 연구 :포맷 유통 실무진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제19권, 제2호, pp.125-164, 2007.
41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방송포맷 수출입 현황 및 육성방안 수립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보고서, 2018.
42 S. Waisbord, "Understanding the global popularity of television formats," Television & New Media, Vol.5, No.4, pp.359-383, 2004.   DOI
43 박선이, 유세경, "포맷 교역 TV 프로그램의 혼종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1대 100>프로 그램에 나타난 지역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2호, pp.187-232, 2009.
44 이문행, "국내 방송 드라마의 2유통 구조 및 창구의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0호, pp.104-113, 2008.   DOI
45 박주연, 배진아, "텔레비전 콘텐츠 포맷 산업 및 유통에 관한 포맷 관련 전문가 인식,"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3호, pp.124-145, 2010.
46 박다혜, "나가수.꽃할배 이제는 포맷 수출이 대세," 머니투데이, 2016.
47 정윤경, 은혜정, 김현수, 김가희, 방송포맷 성공사례분석 및 방송포맷 육성방방안 수립 , 한국콘텐츠진흥원보고서, 2018.
48 배진아, "방송 시장의 포맷 거래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9권, 제2호, pp.6-36, 2008.
49 은혜정, " 제적 유통 상품으로서의 TV 포맷의 최근 경향과 한국 포맷의 해외 진출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6호, pp.327-360,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