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11.383

The Effect of an Elementary School Senior Parental Excessive Interference on Internet Addiction: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motivation  

Yoo, Kae Hwan (국립목포대학교 교육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confirm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motivation in the effect of an elementary school senior parental excessive interference on Internet addiction. To this end, 329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 were analyzed by collecting data on parental excessive interference, learning amotivation and Internet addi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xcessive interference, learning amotivation, and Internet addiction. Second, parental excessive interfer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et addiction. Third, parental excessive interfer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amotivation, and the learning amotivation affecte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et addiction. Through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ing amotivation has an indirect mediated effect on the effect of parental excessive interference on Internet addi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reventing Internet addi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Excessive Interference; Learning Amotivation; Internet Addiction; Elementary School Senior Students; Mediating Effec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청소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 고도화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08.
2 남소현, 김영희, "어머니의 심리적 환경요인과 아동의 외면적 내면적 부적응 행동," 대한가정학회지, 제38권, pp.199-213, 2000.
3 김정화, 이영호, "대학생 집단의 SNS 중독경향성과 인터넷 중독의 차이: 온라인 익명성, 자기에, 정신건강 및 대학생활 변인들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5권, 제10호 pp.27-523, 2018.
4 임영옥, 서경현, "초기 청소년기의 자기주도성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5권, 제11호, pp.189-208, 2018.
5 장성화, 박영진,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463-472, 2013.   DOI
6 김혜원,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 현상: 인터넷 중독의 현황파악과 관련변인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8권, 제2호, pp.91-117, 2000.
7 이희경, "인터넷상에서 청소년들의 폭력게임 중독을 예측하는 사회 심리적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4권, 제4호, pp.55-79, 2002.
8 E. L. Deci and R. M. Ryan, An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 dialectical perspective, In E. L. Deci & R. M. Ryan (Eds.),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3-33,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2002.
9 유계환, 조경신, "중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이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제10권, 제3호, pp.617-632, 2019.
10 조은문, 이종연, "학습무동기신념이 높은 중학생을 위한 동기조절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9권, 제1호, pp.19-33, 2012.
11 유계환, "초.중학생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학교생활부적응과의 관계에서 학습무동기의 매개효과," 사고개발, 제14권, 제3호, pp.43-64, 2018.
12 김현주, 홍상환,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제26권, 제1호, pp.413-429, 2015.
13 유계환,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율성이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4 임은미, "중고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업동기 및 인터넷 중독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17권, 제2호, pp.355-370, 2003.
15 권순희, 권순녀, "부모의 양육태도, 학습된 무기력이 컴퓨터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집, 제13권, 제4호, pp.59-69, 2008.
16 이정연, 최영선, "청소년기 자녀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1권, 제4호, pp.335-346, 2002.
17 배주미, 조영미, 정혜연, "초등학생 인터넷 중독 위험군 유형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4호, pp.233-259, 2013.
18 정겨운, 정호진, 이인혜, "대인관계 불만족과 인터넷게임 중독과의 관계에서 게임 이용 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2권, 제2호, pp.417-432, 2017.
19 2018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 여성가족부, 2019.
20 K. W. Merrell and B. A. Gueldner, "The Guilford practical intervention in the schools series.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in the classroom: Promoting mental health and academic success," New York, NY, US: The Guilford Press. 2010.
21 이경희, 이경숙, "초등학생의 인터넷게임 중독, 가족기능성, 또래폭력 가해경험, 피해경험이 또래폭력 행위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425-436, 2017.   DOI
22 이준기, 최웅용,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대한 연구," 상담학연구, 제1권, 제6호, pp.2085-2104, 2011.
23 허남숙,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부모, 교사태도 및 정신건강의 실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4 김나영, 심혜원,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만족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9호, pp.125-147, 2012.
25 김혜온, 김수정, 유계환, "중학생의 학습무동기에 영역 별 관련변인 탐색: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 교사의 통제적 수업태도, 학습사의 영향 및 유능가과 자율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31권, 제3호, pp.27-50, 2018.
26 김혜온, 유계환, "초.중.고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유능감, 자율성이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학교급간 및 성별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30권, 제3호, pp.45-65, 2017.
27 이진희, "부모의 학대, 방임, 과잉간섭이 청소년 자녀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 게임 이용 빈도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치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330-342, 2018.
28 유계환, "중학생이 느끼는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제28권, 제3호, pp.151-167, 2019.
29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통계분석, 한빛아카데미, 2016.
30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개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12권, 제2호, pp.170-189, 2004.
31 최미경,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32권, 제2호, pp.105-121, 2011.   DOI
32 L. Legault, I. Green-Demers, and K. Peletier, "Why do high school students lack motivation in the classroom? Toward an understanding of academic amotivation and the role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Vol.26, No.2, pp.197-214, 2006.
33 R. B. Kline,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15.
34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