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8.18.05.456

A Study on Local Economic Resilience after Disasters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Focusing on the Sewol Ferry Disaster-  

Kwon, Seol A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ncreases in disasters and damage caused by the disasters in modern society, have a negative impact on local economy. In particular, a local economic downturn leads to a deterioration in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nd causes mental and material damage.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stable and sustainable local economic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the local economy. This study aims to estimate indicators of local economic resilience of Jindo County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analyze a trend of the economic level after the disaster through time series data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of the local crisis management and restoration policy that considers future economic resilienc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de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and of workers in related industries hit tourism industry, causing a loss to the local economy and that an increase in a drinking rate of and stress awareness rate of local residents was a stress factor due to disaster impacts. These findings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for improving the depressed local image by utilizing local resources in the area, to build a sustainable long-term economic recovery policy and to provide psychological treatment and the relevant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upport for relieving the stress of local residents due to the disaster impacts.
Keywords
Local Economy; Resilience; Time Series Analysis; Sewol Ferry Disaster; Disast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News1. 2017. 1. 8일자.
2 공감신문, 2018. 02. 02일자.
3 이재은, 위기관리학, 대영문화사, 2012.
4 정광용, 이승환,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오염사고가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조사 및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0, No.6, pp.205-211, 2012.   DOI
5 이주호, 배정환, "재난피해 지역에서 사회적 경제를 통한 지역위기 극복방안 연구- 태안 허베이스피르트호 유류유출사고 피해와 재난복구 이슈를 중심으로," Crisisonomy, Vol.10, No.6, pp.1-26, 2014.
6 마이클 루이스, 팻 코너티, 전환의 키워드, 회복력, 따비, 2015.
7 김연수,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조직리더의 역할 : 향토자원, 농촌관광, 슬로시티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Vol.12, No.2, pp.123-148, 2015.
8 고영복, 사회학사전, 사회문화연구소, 2000.
9 광주방송, 2017. 04. 12일자.
10 뉴시스, 2017. 03. 24일자.
11 김주원, 임지온, 변성준, 박지성, 이영훈, "국내외 대규모 복합재난 복구사례분석을 통한 피해자 심리치료지원 개선 연구," Crisisonomy, 제13권, 제3호, pp.177-189, 2017.
12 정혜진, "경제위기와 지역의 경제적 탄력성: 경험적 분석," 지방행정연구, 제30권, 제4호, pp.255-288, 2016.
13 terms.naver.com, 2018.1.31.
14 국가통계포털, kosis.kr, 2018.03.29.
15 A. Rose, "Defining and measuring economic resilience to disasters." Disas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Vol.13, No.4, pp.307-314, 2004.   DOI
16 홍사흠, 안홍기, 하수정, 남기찬, 김은란, 김대래, 김용현, 김정훈, 김재구, 박윤미, 지역경제 회복력 진단 및 증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6.
17 Simmie, James, and Ron Martin, "The economic resilience of regions: towards an evolutionary approach,"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Vol.3, No.1, pp.27-43, 2010.   DOI
18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19 4.16세월호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
20 임경수, 송두범, 박지영, 윤성수, 재난발생의 지역경제효과 분석사례 및 기법연구, 충남연구원, 2008.
21 김도균, 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어촌마을에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 비교,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2 최상철, 수해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초연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03.
23 박순열, 홍덕화,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로 인한 태안지역의 사회경제적 변동 사회적 재난의 파편화(fragmentization)와 사사화 (privatization)," 공간과 사회, 제34권, pp.142-184, 2010.
24 http://www.riss.kr/index.do. 2017. 12. 31
25 김영수, 김영수, 정준호, 박창귀, "충남경제의 성장요인 및 회복력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제50권, 제3호, pp.323-338, 2016.
26 최기산, 주요 선진국의 경기회복 특징과 지속가능성 평가, 한국은행, 2017.
27 최병호, 지방소득세의 발전 방향에 대한 소고, 지방세포럼, Vol.25, pp.30-44, 2016.
28 김원배, 신혜원, "한국의 경제위기와 지역 탄력성," 국토연구, 제79권, pp.3-21, 2015.
29 이종수, 행정학 사전, 대영문화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