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8.18.05.386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s Youth Policy among Korean 20s and 30s  

Kim, Young-Mi (동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young Koreans' welfare attitudes towards youth policy an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n such attitud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Many young people(72.1%) understand that government should be responsible for youth support and spending on youth support policy(49.5%) and job support policy(59.7%) should be expanded than current level. But only 24.1% approved the provision of youth allowance. There was a significant in-group heterogeneity among the young generation in terms of support for expanding fiscal spending for youth policy and youth allowance provision. Results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sex, age,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type of housing affect attitudes towards youth policy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m wa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analytic model. Korean young adult generally perceived that our society was unequal 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inequality, the higher support for youth policy. These results implicates that in-group heterogeneity among youth generation in terms of socio-economic needs and subjective perception should be regarded as important factor in the youth policy making process.
Keywords
Young Generation; Youth Policy; Welfare Attitudes; Youth Allowa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영미, "청년정책, 평가와 과제," 안상훈 외, 복지국가로의 전환기, 사회지출의 성과는?,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7.
2 이병희, 장지연, 윤자영, 성재민, 안선영,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3 이승렬, 청년의 노동시장 이행과 사회적 독립과정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5.
4 김기헌, 하형석, 신인철, 청년 사회.경제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5 이훈희, 김윤태, "한국 대학생의 복지태도: Q방법론을 통해 본 세 가지 인식 유형," 사회보장연구, 제28권, 제2호, pp.23-49, 2012.
6 이상록, 김형관, "한국사회에서의 세대와 복지태도-세대간 복지태도 차이 및 세대 영향의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3호, pp.137-162, 2013.
7 유정호, 조민효, "한국 청년세대의 신뢰.갈등과 복지의식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7권, 제1호, pp.171-207, 2016.
8 이주희, "세대별 고용형태에 따른 복지국가 만족도 및 선호 비교," 경제와 사회, 제103호, pp.129-165, 2014.
9 이정화, 문상호, "한국 복지국가의 향방에 대한 젊은 세대의 복지태도 예측:30대 및 40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46호, pp.165-194, 2015.
10 S. Svallfors, "The Politics of Welfare Policy in Sweden: Structural Determinants and Attitudinal Cleavages,"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Vol.42, No.4, pp.609-634, 1991.   DOI
11 최유석, 오유진, 문유진, "대학생의 노인세대 인식: 세대갈등, 노인의 기여, 노인복지정책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28-241, 2015.   DOI
12 주은선, 백정미, "한국의 복지인식 지형 - 계층, 복지수요, 공공복지 수급경험의 영향을 중심으로,"사회복지연구, 제34호, pp.203-225, 2007.
13 김영미, "계층화된 젊음: 일, 가족형성에서 나타나는 청년기 기회불평등," 사회과학논집, 제47집, 제2호, pp.27-52, 2016.
14 S. Svallfors, The Moral Economy of Class. Class and Attitudes in Comparative Perspectiv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6.
15 안상훈, 김수완, 김영미, 사회정책 욕구 및 인식 조사 보고서,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6.
16 김신영, "한국인의 복지의식 결정요인 연구: 국가의 공적책임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조사연구, 제11권, 제1호, pp.87-105, 2010.
17 김영순, 여유진, "한국인의 복지태도: 비계급성과 비일관성 문제를 중심으로,"경제와 사회, 제91호, pp.211-240, 2011.
18 김수완, 김상진, 강순화, "한국인의 복지정책 선호에 관한 연구:성장과 분배, 선별과 보편을 중심으로,"사회보장연구, 제30권, 제2호, pp.67-90, 2014.
19 M. Mischke, Public attitudes toward family policies in Europe: linking institutional context and public opinion, Springer VS., 2012,
20 S. Svallfors, "Class, Attitudes and the Welfare state: Sweden in comparative perspective,"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Vol.38, No.2, pp.119-138, 2004.   DOI
21 S. H. Ahn, Pro-Welfare Politics: A Model for Changes in European Welfare States, Uppsala: Universitetstryckeriet, 2000,
22 신광영, "세대, 계급과 불평등," 경제와 사회, 제81호, pp.35-60, 2009.
23 H. AndreB and T. Heien, Explaining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German welfare stat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Conference on Recent Trends and Methods of Social Stratification Research, 1999.
24 이성균, "한국사회 복지의식의 특성과 결정요인: 국가의 복지 책임지지도를 중심으로,"한국사회학, 제36집, 제2호, pp.205-228,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