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8.18.01.076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Grade Maintenance of Long-Term Care Service Users  

Moon, Yongpil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Lee, Hoyong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a grade maintenance of long-term care service users. Using 2008-2014 long-term care raw data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HIS), the predictors were examined through the logistic regression by long-term care beneficiaries of grad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y 3 factor groups and grade groups(1-3 grade). In socio-demographic factors, in the 1, 3 grade, Individuals 64 or younger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those 85 and over. In the 3 grade, people of living alone, resident of rural area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In disease factors, In the 1 grade, people with dementia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 2, 3grades. In the 2 grade, people with stroke, fracture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In the 3 grade, people with cancer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In service factors, In the 2, 3grade, people having more renewal numbers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In the 1 grade, people who use facility benefits for more days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In the 2 grade, people who use in-home benefits for more days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Based on the finding of stud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for policy considerations.
Keywords
Long-term Care Insurance; Grade Maintenance; Grading System; Long-term Care Service Us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S. S. Bassuk, T. A. Glass, and L. F. Berkman, "Social disengagement and incident cognitive declin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rson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31, No.3, pp.165-173, 1999.   DOI
2 L. Fratiglioni, H. X. Wang, K. Ericsson, M. Maytan and B. Winblad, "Influence of social network on occurrence of dementia: a community-based longitudinal study," Lancet, Vol.355, No.9212, pp.1315-1319, 2000.   DOI
3 최성재, 장인협,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0.
4 국경남, 김노을, 임승지, 박종연, 김재윤, 정우진,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의 미이용 관련요인 분석: 전남지역을 대상으로," 보건행정학회지, 제24권, 제4호, pp.349-356, 2014.
5 신은숙, 조영채, "일부 농촌지역 장기요양급여노인들의 인지기능상태와 관련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pp.4493-4501, 2011.
6 전치혁, 강성홍, 박일수, 최인덕, 이수동, 정준용, 김은주, 장기요양 인정조사방식 개선에 대한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포항공과대학교 연구용역보고서, 국민건강보험공단, 2014.
7 보건복지부, "장기요양인정점수 산정방법,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3-106호(2013.6.28.)," 보건복지부, 2013.
8 강임옥, 한은정, 장기요양등급 인정률 발생요인분석 및 지역간 격차 개선방안,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정규연구보고서, 국민건강보험공단, 2009.
9 이호용, 문용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전후 진료형태별 의료비 변화 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21권, 제3호, pp.83-104, 2015.
10 김귀분, "노인성 치매의 현황과 전망," 대한간호, 제37권, 제1호, pp.16-24, 1998.
11 J. W. Rowe, "Health Care of the Elderl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12, pp.827-835, 1985.   DOI
12 정완교, "장기요양서비스 수요의 결정요인," 한국개발연구, 제31권, 제1호, pp.142-167, 2010.
13 사공진, 송현종, "노인장기요양보험 지역별 인정률 결정요인에 대한 패널분석," 보건행정학회지, 제27권, 제1호, pp.56-62, 2017.
14 김형선, 박재영, 권인선, 조영채, "노인 장기요양보험급여 이용자들의 삶의 질과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pp.3808-3819, 2010.   DOI
15 Swedish Association of Local Authorities & Regions, "Care of the Elderly in Sweden Today," The Swedish Association of Local Authorities & Federation of Swedish County Councils in collaboration, 2007.
16 문용필, 원서진, "산재경험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313-325, 2015.   DOI
17 안권숙, 박승경, 조영채, "장기요양시설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ADL, IADL)수준 및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480-488, 2016.   DOI
18 배남규, 송명수, 신은숙, 조영채,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과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5976-5985, 2012.   DOI
19 보건복지부, "치매특별등급 신설 등 장기요양보험 등급체계 개편에 따른 수가 신설.조정 및 보험료율 결정," 보도자료, (2014.5.2.), 2014.
20 OECD, "Health at a Glance: 2015," Paris: OECD, 2015.
21 이준영, 사회보장론, 서울: 학지사, 2008.
22 국민건강보험공단, 2015년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공단, 2015.
23 이윤경,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 현황 및 문제점, 보건복지 이슈 앤 포커스(제137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24 이호용, 문용필, 노인장기요양보험 갱신절차 효율화 방안,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국민건강보험공단, 2015.
25 C. Gori, J. L. Fernandez, and R. Wittenberg, "Long-Term Care Reforms in OECD countries," Policy Press: UK, 2016.
26 우종인, 이정희, 홍진표, "농촌지역 거주노인의 연령, 성별, 교육수준이 한국판 MMSE 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5권, 제1호, pp.122-132, 1996.
27 김찬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행에서의 한국형 케어매니지먼트 도입에 관한 고찰,"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12호, pp.219-242, 2013.
28 후생노동성(厚生勞動省), www.mhlw.go.jp, 2014.
29 이혜원, 김선경, 이고은, 정유진, 박지윤, "연령에 따른 인지 변화 양상,"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제24권, 제2호, pp.127-148, 2012.
30 D. H. Kim, D. R. Na, B. G. Yeon, Y. W. Kang, K. B. Min, M. S. Lee, M. R. Lee, O. J. Pyo, C. B. Park, S. M. Kim, and S. S. Bae, "Prevalence of dementia in the elderly of an urban community in Korea,"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32, No.3, pp.306-316, 1999.
31 강임옥, 한은정, 박종연, "등급판정 관련 특성이 장기요양 등급률에 미치는 영향," 보건행정학회지, 제21권, 제3호, pp.381-396, 2011.
32 이현주, 강상경, "노년기 인지기능의 성별 및 연령 차이,"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7권, 제4호, pp.255-278, 2011.
33 B. Miller and S. Mcfall, "The Effect of Caregiver's Burden on Change in Frail Older Person's Use of Formal Helper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2, pp.165-179, 1991.   DOI
34 윤석한, 이광성, 조영채, "재가급여 장기요양인정 노인들의 신체기능 상태 및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2338-2348, 2013.   DOI
35 F. Colombo, A. Liena-Nozal, J. Mercier, and Tjadens, "Help Wanted?: Providing and Paying for Long-Term Care," Paris: OECD, 2011.
36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월보(2016.12월), 국민건강보험공단, 2016.
37 권순만, 김홍수, 지속가능한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추계, 국민건강보험공단.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용역보고서,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
38 문용필, 이준영, "중.고령자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사 영향요인 분석: 베이비부머와 노인집단간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제32권, 제3호, pp.59-92,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