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8.18.11.146

Young Generation, Media Representation and Its Implications : A Semiotic and Discourse Analyses on of tvN  

Song, Ah-Hyun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Baek, Seon Gi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s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the TV drama of tvN from October to November of 2017, which was regarded as a well description of the current young generation's daily life and reality. In order to figure out how it depicted the young generation in TV drama, the authors tried to analyze it..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ise of neo-liberalism changed their social and financial lives rapidly. It pushed the young generation to give up on dynamic challenges and dreams, and to search for normal and inactive life styles.It was also found that its myths and ideologies implied how much differently Korean young generation confronted big gaps between their cognitive realities and their actual realitie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necessity of full understanding why and how such Korean young generation sought for an unique life styles to overcome various difficulties in such chaotic societal situations.
Keywords
Young Generation; TV Drama; Media Representation; Semiotic; Because This is My First Lif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민희, 2000년대 한국 스릴러 영화의 장르적 재현, 의미구성 및 사회 문화적 의미 : 영화 <추격자>와 <숨바꼭질>에 대한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 오덕현, TV 사극의 역사재현과 저항적 의미생산 : <대왕세종>과 <뿌리깊은 나무>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 백선기,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4 백선기, 텔레비전 문화의 기호학,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5 우지혜, 백선기, "대중문화 텍스트에 관한 SNS 비평 담론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7, No. 1, p.703, 2017.
6 김광현, "이데올로기 : 통시적 및 공시적 고찰," 기호학 연구, 제17권, pp. 115-135, 2004.
7 강민경, 백선기, 남시호, "문화적 양극화와 탈북자 토크쇼, 정체성 혼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7, No. 1, p.572, 2017.
8 사람인, 해외취업 설문조사, 2017.
9 이종임, 디지털 세대.문화.정체성(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10 김남석, 세대 문제 : 운동론의 관점에서 본 세대론, 서울 : 책세상, 2013.
11 박재흥,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 코호트적 시각에서," 한국사회학, 제37권, 제3호, pp. 1-23, 2013.
12 윤상철, "세대정치와 정치균열," 경제와 사회, 통권 제81호, pp. 61-88, 2009.
13 방희경, 유수미, "한국 언론과 세대론 전쟁(실크세대에서 삼포세대까지),"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2호, pp. 37-61, 2015.
14 박재홍, "세대 계승과 사회문화적 변동,"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pp. 77-98, 2008.
15 주창윤, "1970년대 청년문화 세대담론의 정치학," 언론과 사회, 제14권, 제3호, pp. 73-105, 2006.
16 박재흥, "세대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쟁점," 한국인구학, 제24권, 제2호, pp. 47-78, 2001.
17 정이나, <응답하라 1988>의 서사성, 재현 및 의미구조 : 기호학적 개념과 담론 구조의 의미작용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8 김태형, "밀레니얼 세대의 직무 몰입," 한국오라클, pp. 54-61, 2017.
19 강보경, 회고 드라마의 재현, 서사 및 의미구조 : 드라마 <응답하라 1997<에 대한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0 장동국, 드라마 <응답하라 1994>에 나타난 TV 노스탤지어 : O.S.T, 사회현상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1 백선기,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2,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22 유진아, TV드라마의 계급갈등과 신화와 이데올로기 연구 : TV드라마 <내조의 여왕> 기호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3 황혜영, 텔레비전 드라마에 재현된 여성상에 대한 연구 : KBS2 주말 드라마 <넝굴째 굴러 온 당신>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4 우지혜, 백선기, "청년 안에서 바깥으로 : 미메시스 이론을 근간으로 1990년대와 2010년대의 청년 세대의 저항 및 욕망과 대중음악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8, No. 2, p.555, 2018.
25 김은영, "어린이 텔[33]레비전 단편영화의 서사 구조 분석,"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4권, pp. 5-42, 2010.
26 백선기,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27 이승연, 웹툰이 재현하는 청년세대와 청년문제에 대한 연구 : 웹툰 <당신과 당신의 도서관>, <목욕의 신>, <무한동력>, <미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8 나은희, 드라마 <미생>의 서사, 신화 및 의미구조 : <미생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 석사학위논문, 2015.
29 양승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재현 형식과 영상도식," 東亞文化, 제49권, pp. 68-88, 2011.
30 나이선, TV 드라마에 나타난 동성애의 서사적 관점과 영상표현,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1 우석훈, 박권일, 88만원 세대(절망의 시대에 쓰는 희망의 경제학), 레디앙, 2007.
32 김선기, '청년세대' 구성의 문화정치학 : 2010년 이후 청년세대담론에 관한 비판적 분석,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3 최성민, "'청년' 개념과 청년 담론 서사의 변화 양상," 현대문학이론연구, Vol. 50, No. 10, pp. 227-248, 2012.
34 장신, 박찬승, 오제연, 허병식, "20세기 한국에서 '청년은 무엇이었나," 역사문제연구, 제33권, pp. 219-280, 2015.
35 김수환, "웹툰에 나타난 세대의 감성구조," 탈경계인문학, 제9권, pp. 101-123, 2011.
36 권경우, "한국 청년세대 담론의 지형도," 교양학연구, 제3권, pp. 7-44, 2016.
37 박권일, "'헬조선', 체제를 유지하는 파국론," 황해문화, 제90권, pp. 73-95, 2016.
38 박재흥, "세대명칭과 세대갈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경제와 사회, 통권 제81호, pp. 10-34, 2009.
39 김지애, 청년의 포기의 다양성에 대한 탐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40 송동욱, 청년들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삼포세대 담론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1 이기훈, "[특집 : 위기의 청년] 청년, 근대의 표상 -1920년 '청년'담론의 형성과 변화," 문화과학, 제37권, pp. 207-227, 2004.
42 이서라,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수용에 관한 대화성 연구 :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43 신광영, "세대, 계급과 불평등," 경제와 사회, 통권 제81호, pp. 35-60, 2009.
44 황수경, "내부자(Insiders) 노동시장과 외부자 (Outsiders) 노동시장의 구조 분석을 위한 탐색적 연구," 노동정책연구, 제3권, 제3호, pp. 49-86, 2001.
45 김예란, "디지털사회, 소통의 문화," 언론과 사회, 제15권, 제3호, pp. 39-70, 2007.
46 통계청, 1인 최저주거거주자, 2010.
47 백선기, 미디어 기호학,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