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8.18.10.618

Meaning and Symbolism of the Patterns on Gilt Bronze Shoes from Three Kingdoms Era  

Lee, Jae-Young (평택대학교 패션디자인및브랜딩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contemporary shoes have been progressively trying a variety of designs using patterns as well as the formative change. However, for making those patterns secure the continuing values as the design having global competitiveness without being a temporal trend,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patterns which reflect the unique identity of Korea. Such development can be realized through the analysis on the traditional patterns of Korea. The patterns are the symbol of collective values. The traditional patterns implicitly express the philosophical thinking of members in a society as having been inherited up to now. Thus, this paper analyzed the gilt bronze shoes in Three Kingdoms Era using the patterns as unique design elements among traditional shoes of Korea. The symbolism of those patterns was expressed as transcendence of time and space, harmony of spirit and materials, and convergence of a region and religion. On the aspect that our ancestors interpreted and overcame the bounds of nature around human beings, pursued the ideal beyond reality and accepted a variety of thoughts, it is considered that the patterns used in gilt bronze shoes expressed anthropocentricism, idealism and inclusivism.
Keywords
Gilt Bronze Shoes; Patterns; Symbolism; Time and Space; Spirit and Materials; Region and Relig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유희경, 김문자,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p.61, 1998.
2 최응천, 이귀영, 박경은, 국립중앙박물관 편, 금속 공예 : 찬란하고 섬세한 아름다움, 통천문화사, pp.12-15, 2007.
3 우화정, 삼국시대 금동신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0, 2004.
4 임영주, 한국의 전통 문양 : 질박하면서도 화려한 상징과 은유의 세계, 대원사, p.30, 2013.
5 박영희, "천전리 암각화(川前里岩刻畵)의 기하문양 중 마름모꼴의 상징성에 대한 일 고찰," 한국암각화연구, Vol.6, p.84, 2005.
6 김신명숙, 여신을 찾아서, 판미동, p.423, 2018.
7 최충식, 한국전통문양의 이해, 대구대학교출판부, p.13, 2008.
8 임영주, 한국의 전통 문양 : 질박하면서도 화려한 상징과 은유의 세계, 대원사, p.24, 2013.
9 http://www.culturecontent.com, 2018.07.07.
10 임영주, 한국의 전통 문양 : 질박하면서도 화려한 상징과 은유의 세계, 대원사, p.94, 2013.
11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전통문양 1, 금속공예 입사: 활용편, p.65, 1998.
12 이연재, "식리총(飾履塚) 출토 금동식리의 문양 연구," 강좌미술사, Vol.27, p.138, 2006.
13 임영주, 한국의 전통 문양 : 질박하면서도 화려한 상징과 은유의 세계, 대원사, p.105, 2013.
14 최충식, 한국전통문양의 이해, 대구대학교출판부, p.82, 2008.
15 임영주, 한국의 전통 문양 : 질박하면서도 화려한 상징과 은유의 세계, 대원사, pp.58-62, 2013.
16 최충식, 한국전통문양의 이해, 대구대학교출판부, pp.151-152, 2008.
17 최응천, 이귀영, 박경은, 국립중앙박물관 편, 금속공예 : 찬란하고 섬세한 아름다움, 통천문화사, p.111, 2007.
18 임영주, 한국의 전통 문양 : 질박하면서도 화려한 상징과 은유의 세계, 대원사, p.140, 2013.
19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전통문양 1, 금속공예 입사: 활용편, p.100, 1998.
20 http://www.budreview.com, 2018.07.13.
21 최광식, 한국 고대의 토착신앙과 불교, 고려대학교출판부, p.144, 2007.
22 황준연, 한국사상의 이해, 박영사, p.70, 1995.
23 구사노 다쿠미, 환상동물사전, 송현아 編譯, 들녘, p.148, 2001.
24 허균, 전통 문양, 대원사, p.122, 1996.
25 김성환, "한국 고대 仙敎의 '빛'의 상징에 관한 연구(上) : 도상학적 상징을 중심으로," 道敎文化硏究, Vol.31, p.37, 2009.
26 https://terms.naver.com, 2018.05.17.
27 허균, 전통 문양, 대원사, pp.72-73, 1996.
28 이훈, "금동신발로 본 복암리 세력과 주변지역의 동향," 역사학연구, Vol.62, p.8, 2016.
29 황준연, 한국사상의 이해, 박영사, p.107, 1995.
30 임영주, 한국전통문양, 제1권 기하학적문양과 추상문양, 예원, p.671, 1998.
31 임영주, 한국의 전통 문양 : 질박하면서도 화려한 상징과 은유의 세계, 대원사, p.92, 2013.
32 우실하, 전통 문화의 구성 원리, 소나무, pp.250-251, 1998.
33 황준연, 한국사상의 이해, 박영사, p.174, 1995.
34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한국전통공예미술관, 한국의 무늬, 한국문화재보호재단, p.8, 1995.
35 이재영,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스니커즈 디자인의 경향 분석 -2000년 이후 디자인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p.497, 2017.
36 복천박물관, (履)고대인의 신, 복천박물관, p.89, 2010.
37 http://www.culturecontent.com, 2018.05.17.
38 복천박물관, (履)고대인의 신, 복천박물관, p.90, 2010.
39 임영주, 한국의 전통 문양 : 질박하면서도 화려한 상징과 은유의 세계, 대원사, p.168, 2013.
40 송광현, 류호현, 한국의 문양 디자인 : 디자인 소재, 그 무한의 가치와 이야기, PCN, p.62, 2012.
41 임영주, 한국의 전통 문양 : 질박하면서도 화려한 상징과 은유의 세계, 대원사, p.28, 2013.
42 허균, 전통 문양, 대원사, p.106, 1996.
43 http://www.culture.go.kr, 2018.07.08.
44 최충식, 한국전통문양의 이해, 대구대학교출판부, p.237, 2008.
45 이연재, "식리총(飾履塚) 출토 금동식리의 문양 연구," 강좌미술사, Vol.27, p.137, 2006.
46 최충식, 한국전통문양의 이해, 대구대학교출판부, p.88, 2008.
47 박옥련, 한국전통복식문양사, 형설출판사, p.38, 2000.
48 임영주, 한국전통문양, 제1권 기하학적문양과 추상문양, 예원, p.21, 1998.
49 이연재, "식리총(飾履塚) 출토 금동식리의 문양 연구," 강좌미술사, Vol.27, p.142, 2006.
50 황호근, 한국장신구미술연구, 일지사, p.239, 1976.
51 황준연, 한국사상의 이해, 박영사, p.171, 1995.
52 황준연, 한국사상의 이해, 박영사, p.175, 1995.
53 허균, 전통 문양, 대원사, p.72, 1996.
54 황준연, 한국사상의 이해, 박영사, pp.173-174, 1995.
55 허균, 전통 문양, 대원사, p.64, 1996.
56 최영갑, "유교의 상장례에 담긴 죽음의 의미," 양명학, No.19, p.407, 2007.
57 황준연, 한국사상의 이해, 박영사, p.173, 1995.
58 허균, 전통 문양, 대원사, p.41,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