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9.268

Moderating Effects of Self-expression and Attitudes Toward Seeking Help on the 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Bullying among Adolescents  

Jeong, Goo-Churl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Lee, Min-Jung (삼육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xpression and attitude toward help on the 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bullied experience among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316 junior and highschool students in Seoul and Namyangju, Gyeonggi-do during May-June, 2014. As a result of analyses, firs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expression had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bullied experience.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 help and bullied experience. Third, self-expression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bullied experience. Specifically, high self-expression weakened the negativ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bullied experience.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attitude toward help on the 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bullied experie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self-expression for prevention of bullying among adolescents.
Keyword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expression; Attitude toward Help; Bullying; Peer Viole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S. J. Lee, "The relations between the students-teacher trust relationships and school success in the case of Korean middle schools," Educational Studies, Vol.33, No.2, pp.209-216, 2007.   DOI
2 유선, 청소년의 애착와 도움 추구 태도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 E. A. Skinner, K. Edge, J. Altman, and H. Sherwood, "Searching for the structure of coping: A review and critique of catergory systems for classifying ways of cop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129, pp.216-269, 2003.   DOI
4 이상균, "청소년 도움요청행위와 그 장애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9권, pp.153-175, 2000.
5 A. E. Gross and P. A. McMullen, "Models of the help-seeking process," New directions in helping, Vol.2, pp.45-61, 1983.
6 장진이, 자기 은폐(self-concealment)와 정서 표현 성향, 지각된 사회적지지 그리고 도움 추구 태도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7 김주미, 유성경,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문화적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4호, pp.991-1002, 2002.
8 최은숙, 집단따돌림 가해, 피해 경향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에 관한 일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9 R. F. Rakos and H. E. Schroeder, Self-Directed Assertiveness Training, New York: Bio Monitoring Application(BMA), 1980.
10 변창진, 김성회, "주장 훈련 프로그램," 학생지도 연구, 경북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제13권, 제1호, pp.51-85, 1980.
11 황임란, 자기표현훈련이 중학생의 자기표현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12 남숙경, "상담일반;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단축형 척도의 구인타당도 재점검," 상담학연구, 제11권, 제3호, pp.1007-1020, 2010.
13 임철종, 가정의 과정 환경변인과 학교생활적응이 초등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4 손진희, 홍지영, "아동, 청소년상담: 따돌림 피해 청소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상담학연구, 제10권, 제2호, pp.1013-1033, 2009.
15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NY: Guilford Press, 2013.
16 박완성, 정구철, "집단따돌림유형에 따른 협동 및 공감기술과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390-408, 2016.
17 김정원, 집단따돌림 가해-피해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성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8 홍종숙, 송영혜, "놀이중심의 자기표현훈련이 고립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제9권, 제2호, pp.63-78, 2005.
19 김춘애,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교 2학년 고립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0 R. F. Rakos, Assertive behavior: Theory, research and training, New York: Routledge, 1991.
21 P. K. Smith and S. Shu, "What good schools can do about bullying: Findings from a survey in English schools after a decade of research and action," Childhood, Vol.7, No.2, pp.193-212, 2000.   DOI
22 정혜온, 중학생의 교우 관계와 집단 따돌림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3 장미향, 성한기,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경험과 사회정체성 및 사회지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1권, 제1호, pp.77-87, 2007.
24 장미향,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행동과 사회적지지 및 사회정체성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5 서울신문, "학교폭력 피해자 83% 학교에 1차 신고안한다," 2017년 7월 10일자,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711009008&wlog_tag3=naver에서 검색, 2017.
26 머니투데이, "여중생 투신자살, 교내 따돌림 당해 학교서조차 은폐했다? 충격," 2015년 7월 3일자, http://news.mtn.co.kr/newscenter/news_ viewer.mtn?gidx=2015070311574767752에서 검색, 2015.
27 구본용, 청소년의 집단 따돌림 원인과 지도방안, 청소년 상담문제 연구보고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제29권, pp.7-35, 1997.
28 D. Olweus, "Annotation: Bullying at school: Basic facts and effects of a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35, pp.1171-1190, 1994.   DOI
29 박소현, 집단따돌림 가해.피해와 보복심리: 집단 따돌림의 유형과 성차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0 교육부, 2016 2차 학교폭력실태조사, 2016.
31 이경아, 이정윤, 양현정, "집단따돌림이 청소년기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문제행동, 또래기술 및 자기존중감의 미래 중재효과," 한국상담학회, 제6권, 제2호, pp.531-543, 2005.
32 조윤오,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발생실태 및 유발요인 차이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1호, pp.155-179, 2013.
33 교육부, 2013 학교폭력실태조사, 2013.
34 선우현정, 이희선,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학교 적응간의 관계: 교사-학생 관계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호, pp.149-166, 2014.
35 이춘재, 곽금주, "집단따돌림 경험 유형에 따른 자기개념과 사회적지지,"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3권, 제1호, pp.65-80, 2000.
36 손강숙, 주영아, "청소년 자기표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청소년복지연구, 제16권, 제3호, pp.77-104, 2014.
37 A. Cepeda-Bentio and P. Short, "Self-concealment, avoidance of psychological sevice and perceived likelihood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5, pp.58-64, 1998.   DOI
38 K. M. Cramer, "Psychological antecedents to seeking behavior: A reanalysis using path modeling structur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6, pp.381-387, 1999.   DOI
39 E. H. Fisher and J. Tuner, "Orientation to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Development and research utility of an attitude sale,"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35, pp.75-90, 1970.
40 A. E. Kelly and J. A. Achter, "Self-concealment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2, No.1, pp.40-46, 1995.   DOI
41 L. Whitney and P. K. Smith, "A survey of nature and extent of bullying in junior/middle and secondary schools," EducRes, Vol.35, No.1, pp.3-25, 1993.
42 P. Heinemann, Mobbing, Oslo: Gyldendal, 1973.
43 장재홍, 오예현,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와 학생-교사관계 및 부모애착,"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643-699, 2014.
44 홍기칠, 교우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집단따돌림 예방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제37권, pp.169-209, 2002.
45 황성숙, 학교 내 집단 괴롭힘에 대한 일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46 이경희, 고재홍, "유형별 초등학생 집단따돌림 발생원인의 비교: 사회관계모형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제25권, 제1호, pp.23-25, 2006.
47 D. Olweus, "Bullying or peer abuse at school: Facts & Interventio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4, No.6, pp.196-200, 1995.   DOI
48 박경숙, 손희권, 송계정, 학생의 왕따 현상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9.
49 윤영미, "초.중.고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경향분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1권, 제2호, pp.230-240, 2007.
50 송미선, 신도시 초등학교 중학년 집단따돌림 실태 및 관련변인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1 김인선,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인의 정신 역동적 미술치료사례," 한국예술치료학회지, 제1권, pp.15-40, 2014.
52 노경아, 백지숙,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에 의한 집단따돌림 유형 판별분석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제11권, 제3호, pp.113-124, 2013.
53 나안숙, "초등학생 무용참여자의 집단따돌림 경험과 교우관계의 의사소통 및 지각된 소외감 간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제31권, 제1호, pp.99-119, 2014.
54 현미열, "아동기청소년기 따돌림 경험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와 정신건강," 정신간호학회지, 제25권, 제2호, pp.147-154, 2016.
55 장태경, 취학 전 아동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 증진을 위한 인간중심 미술치료 사례연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6 D. Olweus, Agression in the school: Bullying and whipping boys, Washington, DC: Hemisphere, 1978.
57 노용, 김정원, "자기표현훈련 미술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교육논총, 제21권, 제1호, pp.151-183, 2007.
58 송소원, "자기표현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대인관계,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제16권, 제1호, pp.103-117, 2008.
59 E. M. Jerome, B. K. Hamre, and R. C. Pianta, "Teacher-child relationships from kindergarten to six grade: early childhood predictors of teacher-perceived conflict and closeness," Social Development, Vol.18, No.4, pp.915-945, 2008.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