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9.184

A Study on the Use of Communication Functions in Mobile Messenger Emoticons -Focus on Line Messenger-  

Kim, Ho (한밭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Smartphone has become a part of many people's daily lives. The mobile messenger function on the smartphone in particular is the most frequently used services. The mobile communication tool in the age of digital media can be classified into two big categories: text messages and emoticons, the non-verbal expression tool of one's emotions. This thesis has studied the mobile communications made by the non-verbal tool of emoticons. The history of emoticons traces back to the text-based emoticon created by Scott Fahlman, from which graphical emoticons were developed and the sound and animation effects have been added. Many people use emoticons and diverse companies are developing the tool. In this study, the representative emoticon development case of Line Co., Ltd. is analyzed to see the concept, types, development process, collaborations and merchandising of the emoticons. Based on the case of Line, the development orientation and direction of domestic emoticons will be discussed to be culture contents.
Keywords
Emoticon; Character; Messenger; Collabor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안성혜, 윤세진, "비언어적 감정표현을 위한 애니메이션 이모티콘의 제작방향 제시,"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200-204, 2006.
2 윤민희, "세계화 시대의 카톡 이모티콘의 상징 특성 연구," 한국프랑스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p.116, 2016.
3 https://en.wikipedia.org/wiki/Scott_Fahlman
4 임지선, "버디버디를 기억하세요? 메신저 앱 20년, 그 흥망의 역사 정리," 한겨레, 2015.06.08.
5 https://linecorp.com/en/pr/news/ko/2016/1337
6 이선영, 이승진, "디지털캐릭터 O2O에 따른 캐릭터산업의 가치네트워크 분석, - <카카오 프렌즈>, <라인 프렌즈>를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연구, 제12권, 제1호, p.77, 2016.
7 폴 에크먼, 이민아역, 얼굴의 심리학, 바다출판사, 2006.
8 이성준, "성격 특성과 이용 동기가 모바일 메신저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에 미치는 영향: 카카오특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131, 2015.
9 비피기술거래, 누구나 이모티콘을 제작할 수 있다, (주)비피기술거래, p.27, 2017.
10 김영호, "브랜드 마케팅에 있어서 캐릭터의 영향에 관하여,"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제14권, 제2호, p.538, 2014.
11 한창완, "캐릭터산업의 정책변인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33호, pp.600-601, 2013.
12 이선영, 이승진, "디지털캐릭터 O2O에 따른 캐릭터산업의 가치네트워크 분석," 애니메이션연구 제12권, 제1호, pp.71-73, 2016.
13 박다해 기자, "200조 세계 캐릭터 시장을 향해 달려가는 포켓몬, 뽀로로, 헬로키티," 머니투데이, 2016.07.17.
14 Morten T. Hansen, 이장원, 김대환, 안정호 역, Collaboration, 교보문고, p.42, 2011.
15 이현우, 허지영, 2017년 1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 pp.129-130,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