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7.527

5-year-old Nuri Course Teacher's Guidebook on Multimedia Content U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Flash  

Park, Seon-Young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Hong, Soon-Ock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use and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multimedia contents of the 5-year-old grade Nuri course teacher's guidebook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develop contents to help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4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Busan, and collected data through questionnaires on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of flash among 5-year-old multimedia cont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5-year-old multimedia contents. Second, in the actual field, multimedia contents were used relatively low, and among them, the u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flash was more than half of all respondents. Third,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ctivity area and the life topic of the group were the most used in the fairy tale, the concurrent, the play and the story sharing, and it is mostly used in Korea and spring summer autumn winter by teachers.
Keywords
Nuri Course Teacher's Guidebook; Multimedia Contents; Flash;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권민균, 문혁준, 권희경, 성미영, 신유림, 안선희, 안효진, 이경옥, 천희영, 한유미, 한유진, 황혜신, 아동발달, 서울: 창지사, 2012.
2 F. Bobbitt, The Curriculum, NY : Houghton Mifflin, 1918.
3 G. Cannella, 유아 교육 이론해체하기(유혜령 역), 서울: 창지사, 1997.
4 J. A. Comenius, 대교수학(정일웅 역), 서울: 창지사, 2002.
5 김명희, 이종현, 고은님, 영유아 교수학습방법론, 경기: 양서원, 2007.
6 김은심, 문용은, 유향선, 전선영, 유아교사를 위한 교수매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2008.
7 김진영, 백혜리, 최윤정,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론, 경기: 양서원, 2006.
8 유혜령, 강은희, 박지영, 유아 교수공학과 교수.학습방법, 서울: 창지사, 2003.
9 이대균, 유구종, "CD-ROM 타이틀과 인터넷사이트를 활용한 유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3권, 제1호, pp.337-362, 1998.
10 권미경, 김정숙, 이경진, 장현실, 3-4세 누리과정운영 및 이용 현황과 개선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11 김미리, 5세 누리과정 시행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만족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2 정계숙, 누리과정 실시에 대한 교사 만족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교육과학사, 1989.
14 박남숙, 유아를 위한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2005.
15 유윤영, "유아교육에서의 교수매체의 역사와 활용에 대한 논의,"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1권, 제2호, pp.111-132, 2012.
16 신현대, 환경요인 및 교사 특성에 따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 실행수준 및 교재, 교구활용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7 임정희, 유치원생 학부모의 스마트폰 전용 앱 활용실태에 따른 만족도와 학업효과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8 이수연,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 적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9 최아영, 교육과정 관련 내용 및 구성방향에 따른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0 박신영, 인터넷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22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23 교육과학기술부, 5세 1-11권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3.
24 사미향,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와 활용도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5 안혜정, '5세 누리과정' 해설서와 지침서에 대한 이해 및 지도서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6 정희경,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관련 유치원교사의 인식 및 요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7 최고운,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와 보육교사의 인식 및 활용,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8 이지영,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9 남은정,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매체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용실태 : 대.소집단 활동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0 권미애, 유아교육용 멀티미디어 매체개발과 적용 효과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1 어윤미, 플래시 카드를 이용한 유아인지발달학습을 위한 웹 코스웨어,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2 김주연, 그림동화책과 플래시동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문학 반응 양상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3 신에니샤, 플래시 영어동화를 이용한 영어교수방법,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4 조경희,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화학습이 ADHD 아동의 학습흥미도 및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5 박정님, 플래시애니메이션 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 아동 학습자를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6 부성숙,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수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