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3.212

Influence of Subjective Health Status, Social Activity and Family Support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 a Community  

Park, Ae Ran (청암대학교 간호학과)
Jeong, Kyeong-Sook (부산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was identify the effective factors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data were collected on September 4, the subjects were 201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1004day event in B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0.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level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was affect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education level(F=5.87, p=.001), living with whom(F=4.39, p=.005), perceived economic state(F=16.25, p<.001).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health status, social activity and family support. According to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is subjective economic status, living with whom, family support and, social activities, it was explained by 23.6%. Based on these findings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y developing improved family support programs and various social activities program proposes to apply.
Keywords
Subjective Health Status; Social Activity; Family Support; Subjective Quality of Life; Elderl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명숙, "독거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7-26, 2004.
2 성혜영, 유정헌, "성공적 노화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한국노년학회지, 제22권, 제2호, pp.75-93, 2002.
3 신현선, 일 지역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삶의 만족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 장신재, 조자영, "노인일자리 사업참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지지(사회활동, 가족/사회관계), 정서문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225-235, 2014.   DOI
5 이갑숙, 임왕규,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291-306, 2012.   DOI
6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4권, pp.127-151, 2004.
7 배경화, 김수진, "노인의 건강지각과 가족지지및 우울 간의 관계," 간호과학논집, 제17권, 제1호, pp.139-152, 2012.
8 김소남, 이상복,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적안녕, 사회적지지, 생활만족도 및 우울의 관계,"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9권, 제2호, pp.186-194, 2013.   DOI
9 이선혜, 문명자, "지역사회 노인의 생활만족도, 건강행위와 성공적 노후간의 관계," 한국보건교육학회지, 제26권, 제2호, pp.204-214, 2012.
10 행정자치부, 2014 고령자 통계, 2014.
11 이혜원, "한.일 사회복지사의 노화사실 인지정도와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46권, pp.377-403, 2001.
12 이지선, 중.고령 성인의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사회적 관계망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3 박현식,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법제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 제9권, pp.333-350, 2013.
14 신성일, 김영희,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변인들의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제14권, 제6호, pp.3673-3690, 2013.
15 박성복, "노인의 삶의 질 연구를 위한 통합적 접근,"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울행정학회, pp.217-233, 2004.
16 안종철, 임왕규,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189-210, 2014.   DOI
17 박재호,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사회적 지각과 태도, 노화, 노인문제-비교 문화론적 고찰, 영남대출판부, 1985.
18 이문수,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9 N. Mavaddat, R. V. Linde, G. M. Sawa, C. Brayne, and J. Mant, "What determines the self-rated health of older individuals with stroke compared to other older individuals?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Medical Research Council Cognitive Function and Aging Study," BMC Geriatrics, Vol.13, No.85, pp.1-10, 2013.   DOI
20 염동문, 정정숙,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0권, 제4호, pp.27-50, 2014.
21 박경혜, 이윤환, "노인의 사회활동이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6권, 제2호, pp.275-289, 2006.
22 이미란, 노인의 건강성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가족지지 매개효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3 J.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Books, 1998.
24 서희숙, 정인숙, "재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 및 자살생각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9, 2010.
25 B. O. Dane, Services to Families of the Elderly in monk, A(eds), Handbook of Gerontological services(2th edition), Colombia University Press, 1990.
26 정우진, 상호제공적 가족내 지지와 가족외 지지가 은퇴고령자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7 전명수, "농촌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pp.298-310, 2014.
28 장백기, 노인의 취업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9 장소영, 일 지역 농촌노인의 가족지지, 우울, 삶의 질의 관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0 E. D. Diener, R. T.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DOI
31 김완석, 김영진, "주관적 안녕 척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3권, 제1호, pp.61-81, 1997.
32 M. P. Lawton, M. Moss, M. Fulcomer, and M. H. Kleban,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Vol.32, No.1, pp.91-99, 1982.
33 M. Linn and B. S. Linn, "Self-evaluation of life function scale," Journal of Gerontology, Vol,39, No.5, pp.603-612, 1984.   DOI
34 이소정, "노인의 사회적 역할 유형과 삶의 만족," 한국사회정책, 제20권, 제4호, pp.9-35, 2013.
35 A. K. Williams, Physical illness and depress: Changes over time in middle age and elderly pers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ortland state University, 1985.
36 오승환, "노인의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중소도시.농촌.어촌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3권, pp.209-231, 2007.
37 이묘숙,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사회적 고립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3호, pp.231-259, 2012.
38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e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No.5, pp.300-314, 1976.   DOI
39 강현숙, 재활강화교육이 편마비 환자의 자가 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4.
40 임민지, 재가노인의 허약정도에 따른 신체기능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차이,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1 진미환,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행위, 우울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2 박영주, 정혜경, 안옥희, 신행우, "노인의 외로움과 건강행위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제6권, 제1호, pp.91-98, 2004.
43 이금룡, "한국노인의 사회활동: 노년기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5, No.2, pp.1-22, 2002.
44 김춘길,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7권, 제3호, pp.151-160,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