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2.082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on College Life Adjustment by Chinese Students in Korea: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Dispositional Optimism  

Zhu, Yuan (중앙대학교 대학원 아동청소년학과 가족 전공)
Park, Jeong-Yun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Chang, Young-Eun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s how cognized parental attachment influence college life adjustment and measures the mediating role of dispositional optimism. 253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ed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s analysis, Sobel Test via SPSS 18.0 program. Age, educational background, proficiency of Korean, along with cognized communication, faith yielded posi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life adjustment. And alienation was negative correl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ge, proficiency of Korean, alienation which is one of the lower factors of cognized parental attachment and dispositional optimism have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dispositional optimism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of cognized parental attachment and college life adjustment.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college life adjusting ability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not only stable parental attachment, but also seek method to improve filial personal optimistic cognition.
Keywords
Chinese Students in Korea; Parental Attachment; Dispositional Optimism; College Life Adjust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지미, 김현주, "청소년이 지각한 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미래청소년학회지, 제8권, 제4호, pp.97-120, 2011.
2 이은실,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질 및 자녀의 성향적 낙관성 영향요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 M. F. Scheier and C. S. Carver,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16, No.2, pp.201-228, 1992.   DOI
4 김성수, "어머니의 낙관성이 양육태도와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간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 영유아교육연구, 제9권, 단일호, pp.145-170, 2006.
5 G. Hornby and M. Seligman, "Disability and the family: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s," Counselling Psychology Quarterly, Vol.4, No.4, pp.267-271, 1991.   DOI
6 정혜연, 이정윤, "아동, 청소년상담: 청소년의 낙관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0권, 제4호, pp.2367-2381, 2009.
7 안윤미,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낙관성 및 행복감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8 齊曉棟, "大學生气筫性樂觀.适應性与生活满意度的關系,"西南大學學報社會科學版, Vol.39, No.2, pp.77-82, 2013.
9 조옥경, 낙관적-비관적 성향과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0 김보영, 청소년의 낙관성 수준에 따른 정서표현 갈등과 삶의 만족도 차이,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1 이은실, 오윤자,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및 자녀의 성향적 낙관성,"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제3권, 제1호, pp.1-18, 2014.
12 김현숙, 청소년 애착과 지각형성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련성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3 樊爲, 大學生心理健康之家庭影響因素硏究, 四川師范大學, 碩士學位論文, 2009.
14 M. F. Scheier, C. S. Carver, and M. W. Bridges,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7, No.6, p.1063, 1994.   DOI
15 G. C. Armsden and M. T. Greenberg,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16, No.5, pp.427-454, 1987.   DOI
16 정정숙, 자아정체감과 독립성 및 애착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17 유현숙,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에 대한 애착과 우울감 및 분노표현 방식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8 정혜연, 청소년의 낙관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9 양혜선, 애착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0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1173, 1986.   DOI
21 조은아, 이희경, "낙관성/비관성이 대학생활적응 및 긍정/부정 정서에 미치는 영향: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12호, pp.351-374, 2011.
22 김낭영, 부모애착과 청소년의 걱정과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검증,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3 이지연, 임성문, "성인애착과 대학생의 우울과의 관계: 낙관성과 비관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7권, 제4호, pp.969-984, 2006.
24 김종운, 최미숙,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2호, pp.45-68, 2013.
25 이희영, 최태진, "애착유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성별에 따른 차이," 상담학연구, 제5권, 제1호, pp.79-94, 2004.
26 박범혁, 정영숙,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부모와의 애착 및 대학생활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5권, 제3호, pp.45-57, 2007.
27 김미정, 김영혜, "부모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발달지원연구, 제2권, 제2호, pp.115-129, 2013.
28 이선아, "대학생의 부모 애착과 의사소통의 유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가족치료연구, 제12권, 단일호, pp.57-71, 2014.
29 손교교,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0 권혜진, 대학생의 대학환경풍토 지각과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1 김종운, 김지현,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테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48-259, 2013.
32 이채식, "중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결정요인 분석," 미래청소년학회지, 제9권, 제2권, pp.121-140, 2012.
33 진결,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교류분석상담연구, 제4권, 제1호, pp.75-94, 2014.
34 서선자, 금명자, "재한 일본 유학생의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유형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인간이해, 제33권, 제1호, pp.35-47, 2012.
35 장춘설,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부모와의 애착 및 대학생활적응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6 김선아,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생생활연구, 제17권, pp.57-68, 2010.
37 박은미, 황빙의, 정태연,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제18권, 제2호, pp.145-152, 2010.
38 조수진,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정도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39 박범혁,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부모와의 애착 및 대학생활적응,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40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015 유학생관련 현황, 2105.
41 이상미, "외국인 유학생의 이문화에 대한 태도와 개인적 특성이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테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368-378, 2014.
42 민현정,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연구,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43 하정희,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2호, pp.473-496, 2008.
44 김영경, "학교상담: 중국, 일본 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요구 분석," 상담학연구, 제10권, 제1호, pp.535-559, 2009.
45 이진숙,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및 부모에 대한 애착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46 왕방, 이창식, "재한 중국 유학생의 여가만족과 희망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1권, 제3호, pp.397-405, 2013.   DOI
47 심태은, 이송이, "부모애착 및 스마트폰 사용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9권, 제3호, pp.471-487, 2014.
48 R. W. Baker and B. Siryk, "Measuring academic motivation of matriculating college freshmen,"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nel, Vol.25, No.5, pp.459-464, 1984.
49 김소라, 부모애착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