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1.242

Facters Influencing Re-employment of the Semi-Aged workers in Daegu Metropolitan Area  

Yang, Hye-Jin (영남대학교 사회학과)
Kim, Han-Gon (영남대학교 사회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plore factors that affect re-employment revitalization of the semi-aged workers and to seek practical and specific improvement plans to activate the semi-aged worker's re-employment.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face to 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March 18th and April 10th, 2016 among 375 semi-aged who are currently searching for a job or re-employed among the semi-aged between 50 and 64 years old and reside in Daegu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ex,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orking period, and information suppl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re-employment of the semi-aged workers. On the other hand, simple labor work and seeking job period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s on re-employment of the semi-aged workers. Finally,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re-employment of the semi-aged workers were introduced and discussed.
Keywords
Semi-aged Workers; Re-employment; Seeking Activity for Re-employmen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성용, 방하남, "성.연령별 중.고령 노동자의 취업 양극화 분석,"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593-610, 2009.
2 이복자, 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정보화인식과 인터넷활용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행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3 M. Granovetter, "The Sterngth of Weak Ties: A Network Theory Revisited," Sociological Theroy, Vol.1, pp.201-233, 1983.   DOI
4 M. Granovetter, "The Ster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78, issue 6, May, pp.1360-1380, 1973.   DOI
5 엄미나, 사회적 자본이 고령자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2.
6 유태균, "IMF 이후 발생한 실업자의 실업탈피 가능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39권, pp.210-237, 1999.
7 윤형호, 김성준, "고령자 재취업의 영향요인 분석 : 서울시 사례," 한국행정연구, 제16권, 제1호, pp.99-121, 2007.
8 김종향, "사회적 관계망 요인이 고령자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 임상사회사업연구, 제8권, 제2호, pp.47-70, 2011.
9 이경상, 취업시장에서의 개인적 연결망의 특성과 직업성취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2001.
10 이정규, "노동자-직업 연결방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와 고용보험제도에 대한 합의," 한국사회학, 제32권, 제3호, pp.531-564, 2000.
11 김성훈, "취업자의 사회 연결망 활용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한국노동경제학, 제26권, 제3호, pp.209-230, 2003.
12 R. S. Burt, "Attachment, Decay, and Social Network,"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2, pp.619-643, 2001.   DOI
13 통계청, 고령자 통계, 2015.
14 통계청, 고령자 통계, 2014.
15 금재호, "임금불평등과 고용," 노동정책연구, 제95 권, pp.1-3, 2013.
16 김제선, 김선웅, "준고령자의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 지속정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718-728, 2016.   DOI
17 권기창, "시니어계층의 취업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124-136, 2014.   DOI
18 김대희, 고령자 취업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고령자 취업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9 류기상, 한국의 고령인력 재취업 정책 및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교육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0 송희영, 비자발적 퇴직 후 재취업에 성공한 베이비붐세대 중년남성의 학습경험 연구 : 금융권 종사 경험자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평생교육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2016.
21 이현기, "고령자 재취업과 지역복지정책적의 함의," 한국노인복지학, 제11권, 제3호, pp.87-118, 2001.
22 라진구, 고령자 재취업 및 직종선택의 결정요인과 정책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23 엄동욱, "중고령자의 취업결정요인 : 국민노후보장패널 1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제8권, 제3호, pp.17-38, 2008.
24 강철희, 김교성, "실업자의 재취업과 재취업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39권, pp.5-40, 2009.
25 성지미, 안주엽,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노동 정책연구, 제6권, 제1호, pp.39-74, 2006.
26 하태종, 고령자 고용문제와 고용대책에 관한 연구 : 서울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명제대학교 경제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27 Michael C. Keeley and Philip K. Robins "Government Programs, Job Search Requirements, and the Duration of Unemployment," Journal of Labor Economics, pp.337-362, 1985.
28 이성용, "중.고령자의 실직.재취업에 대한 동태분석," 한국사회학, pp.645-660, 2009.
29 B. Wegener, "Job Mobility and Social Ties: Social Resources, Prior Job, and Status Attain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56, pp.60-71, 1991.   DOI
30 안재희, 대학교육을 통한 제도적 사회자본의 형성 및 활용과 대졸여성의 취업, 숙명여자대학교 교육사회학, 박사학위논문, 2005.
31 Stephen R. G. Jones, "Reservation Wages and the Cost of Unemployment," Economica, New Series, pp.225-246, 1989.
32 홍성우, 양채열, "실직근로자의 직업탐색과 재취업: 광주지역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논집, 제22권, 제1호, pp.1-29, 1999.
33 서미경, 최희진, "비취업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취업의사 결정요인 비교 연구," 한국노인복지학, 제53권, 제3호, pp.125-154, 2011.
34 김학주, 우경숙, "중고령자의 재취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4권, 제2호, pp.97-110, 2004.
35 김미희, 탁진국, 한태영, 한영석, 유태용, "중.장년층 재취업 결정요인과 재취업 고용의 질에 관한 연구 :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 제12권, 제4호, pp.537-557, 2007.
36 백주희, "한국 중.노년기 은퇴 경험자들의 노동 시장 재진입에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273-287, 2014.
37 이상록, "실직기간 구직활동이 실직자의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43권, pp.299-327,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