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12.426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e of Elder Who Lives Alone on the Influence of Those People's Stratum Consciousness on Their Depression  

Jeong, Weon-Cheol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Tae, Myeong-Ok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e of elder who lives alone on the influence of those people's stratum consciousness on their de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utilized the 5th version of Korea Longitudinal Study on Aging 2014 and analyzed data concerning 774 elder who lives alon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elder who lives alone were in subjective stratum consciousness, the lower they were in depression. Second, elder who lives alone were lower in depression when perceiving they were higher in health state. Third, the elder who lives alone were lower in depression when their perceived subjective health state was higher even if they were lower in stratum consciousness. All these findings clearly indicate that the stratum consciousness and depression of elder who lives alone are moderated by their perceived health state of their own. Last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Elder Who Lives Alone; Subjective Stratum Consciousness;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Stat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금현섭, 백승주, "사회보험과 주관적 계층의식의 변동,"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21권, 제3호, pp.61-86, 2011.
2 윤인진, 김상돈, "사회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계층의식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도시행정학보, 제21권, 제2호, pp.153-185, 2008.
3 장상수, "한국 사회에서의 주관적 계층위치," 사회와 역사, 제49권, pp.180-212, 1996.
4 김병조, "한국인 주관적 계층의식의 특성과 결정 요인," 한국사회학, 제34권, pp.241-268, 2000.
5 J. K. Yoon and H. H. Seok, "Conspicuous Consumption and Social status in Korea: An Assessment of Reciprocal Effect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and Development, Vol.25, No.2, pp.333-354, 1996.
6 A. Singh-Manoux, N. E. Adler, and M. G. Marmot, "Subjective social status: Its determinants and its association with measures of ill-health in the Whitehall II study," Social Science Medicine, Vol.56, No.6, pp.1321-1333, 2003.   DOI
7 이연경, 이승종, "사회계층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객관적 계층과 주관적 계층의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55권, 제1호, pp.1-39, 2017.
8 양동욱, 주관적 계층인식이 건강위험행동 및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9 심경선, 주관적, 객관적 사회적 지위와 청소년 비만의 연관성,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0 R. Vanneman and F. Pampel "The American perception of class and statu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42, No.3, pp.422-437, 1977.   DOI
11 신승배,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제1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발표논문집, pp.285-312, 2009.
12 조광덕, 계층의식과 가족으로 보는 건강불평등,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3 염동문, 정정숙,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30권, 제4호, pp.27-50, 2014.
14 김영태, "독거노인의 개인적 속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9권, pp.187-208, 2013.
15 이현경, 손민성, 최만규, "우리나라 노인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672-682, 2012.   DOI
16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5-2065년, 2016년 12월 8일 보도자료, 2016.
17 한혜경, 이유리,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과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제29권, 제3호, pp.805-822, 2009.
18 배지연, "노인의 자살생각에 관한 인과모형," 사회과학논문집, 제23권, 제2호, pp.343-375, 2005.
19 김영란, 일반노인 시설노인 독거노인의 우울감 비교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0 고정은, 이선혜, "노인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층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1호, pp.322-351, 2012.
21 김동배, 손의성, "한국노인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제25권, 제4호, pp.167-187, 2005.
22 오영희, 배화옥, 김윤신, "우리나라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상태의 관련성 연구," 한국노년학, 제26권, 제3호, pp.461-476, 2006.
23 최요한, "주관적 건강인식은 실제 건강상태의 유효한 대리변수인가: 주관적 건강상태(SRH)와 주관적 건강변화상태(SACH)의 비교,"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4호, pp.431-459, 2016.
24 전미애, 김정현, "노인 우울 관련 변인과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8권, pp.75-97, 2013.
25 Y. Benyamini, E. L. Idler, H. Leventhal, and E. A. Leventhal, "Positive affect and function as influences on self-assessment of health: Expanding our view beyond illness and disability," Journal of Gerontology, Vol.55B, pp.107-116, 2000.
26 A. S. Heller, T. Johnstone, A. J. Shackman, S. N. Light, M. J. Peterson, and G. G. Kolden, "Reduced capacity to sustain positive emotion in major depression reflects diminished maintenance of fronto-striatal brain activ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Vol.106, pp.22445-22450, 2009.   DOI
27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1, No.3, 1977.
28 S. C. Segerstrom, S. E. Taylor, M. E. Kemeny, and J. L. Fahey, "Optimism is associated with mood, coping, and immune change in response to str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4, No.6, pp.1646-1655, 1998.   DOI
29 N. E. Adler, "Health disparities through a psychological lens," American Psychologist, Vol.64, No.8, pp.663-673, 2009.   DOI
30 김진영,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 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1집, 제3호, pp.127-153, 2007.
31 김기태, 박봉길,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사회 지지망," 한국노년학, 제20권, 제1호, pp.153-168, 2000.
32 이종화,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및 건강증진행위,"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09-118, 2005.
33 최영, "독거노인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4호, pp.103-123, 2008.
34 김남현, 정민숙,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496-506, 2017.   DOI
35 M. Jackman and R. Jackman, "An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American Sociology Review, Vol.38, pp.569-582, 1973.   DOI
36 정경희, 노인단독가구의 생활 현황과 정책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No.2014-22-8, 2014.
37 송미령, 이용미, 천숙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치매노인 가족수발자의 휴식에 대한 의미분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0, No.4, pp.482-492, 2010   DOI
38 최은숙, 김완일, "초기부적응도식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료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5권, 제1호, pp.109-123, 2014.
39 이병훈, 윤정향, "사회계층의식의 변동에 관한 연구," 경제와 사회, 제70호, pp.111-140, 2006.
40 남은영, "외환위기 이후 사회적 위험과 주관적 계층의식,"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논문집, pp.67-80, 2012.
41 차종천, 현대 한국사회의 계층. 한국사회론: 제도와 사상(장상수 편.), 서울: 사회비평사, 1995.
42 이수애, 이경미,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증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1호, pp.209-226, 2002.
43 B. S. Hulka and J. R. Wheat, "Patterns of utilization. The patient perspective," Medical Care, Vol.23, No.5, pp.438-460, 1985.   DOI
44 F. D. Wolinsky, C. L. Arnold, and I. V. Nallapati, "Explaining the role of physician utilization among oldest old," Medical Care, Vol.26, No.6, pp.544-553, 1988.   DOI
45 권석만, 민병배, "노년기 정신장애," 상담과 선교, 제34권, pp.102-102, 2001.
46 이후연, 백종태, 조영채, "일부 도시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569-581, 2016.   DOI
47 박정숙, 오윤정,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허약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참여 및 역량강화,"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31권, 제2호, pp.244-256, 2017.   DOI
48 김선호, 오두남, "성공노화를 위한 포괄적 노인 평가 패키지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257-269, 2012.   DOI
49 양순미, 홍숙자, "농촌노인의 독거.동거 가구형태가 심리적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1권, 제6호, pp.129-139, 2003.
50 조맹제, 홍진표, 한국노인의 정신건강실태와 건강증진: 대도시 노인대상 연구, 집문당, 2000.
51 김문옥,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의무인증제에 대한 인식과 의무인증 시행 후 업무수행," 노인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68-76, 2014.
52 이미숙, "노인인구의 결혼관계와 우울증세 -결혼지위와 결혼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6권, 제4호, pp.176-204, 2010.
53 정영미, "여성노인의 우울에 따른 건강상태 및 우울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제27권, 제1호, pp.71-86, 2007.
54 R. E. Robert, G. A. Kaplan, S. J. Shema, and W. J. Strawbridge, "Does growing old increase the risk for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54, pp.1384-1390, 1997.   DOI
55 보건복지가족부,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2009.
56 보건복지부,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정책보고서, No.2014-61, 2014.
57 서경현, 김영숙,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9권, 제1호, pp.115-137, 2003.
58 박진경, 손숙미, "지역사회 거주 독거 여자 노인의 신체 계측치와 생화학적 지표 및 관련 인자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8권, 제5호, pp.726-735, 2003.
59 서홍란, 김희년, "요보호여성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5권, pp.176-202, 2010.
60 조경욱, "무의탁 독거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북지역 국민기초생활수급자를 대상으로," 노인복지연구, 제17권, pp.85-125, 2002.
61 K. B. Adams, S. Sanders, and E. A. Auth, "Loneliness and depression in independent living retirement communities: risk and resilience factors," Aging & Mental Health, Vol.8, No.6, pp.475-485, 2004.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