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7.179

Research Trends of Korean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Lee, Sungjoon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aim of this study is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ure in the field of Korean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For this purpose,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keywords in the abstracts of published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from 2005 to 2015. The results showed that "frame", "Twitter", "content analysis" and "social media" are among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in the abstracts during this period. With regards to degree and eigenvector centrality, "social capital", "trust" and "twitter" were among the highest. The findings of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revealed that there are more studies that employ the traditional media effect theories including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Agenda Setting Theory, and Framing Theory before the year of 2010 while those that focus on the specific new media such as smartphones and twitter after 2011.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e sense that it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making a curriculum or establishing the research system for Korean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in the future.
Keywords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Semantic Network; Research Trend; Centrality; Social Network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장윤미, 정연경, "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4권, 제1호, pp.25-44, 2013.   DOI
2 김용학, 김영진, 김영석, "한국 언론학 분야 지식 생산과 확산 구조,"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1호, pp.117-140, 2008.
3 T. S. Kuhn,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London: Chicago, 1970.
4 S. Lee, J. H. Choi, and H. W. Kim,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the MIS research keywords: APJIS and MIS Quarterly 2005-2009,"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0, No.4, pp.25-51, 2010.   DOI
5 임영호, "한국 언론학의 제도적 성공담과 내재적 위기론," 커뮤니케이션이론, 제9권, 제1호, pp.6-38, 2013.
6 H. W. Park and L. Leydesdorff, "Knowledge likage structures in communication studies using citation analysis among communication journals," Scientometrics, Vol.81, No.1, pp.157-175, 2009.   DOI
7 G. A. Barnett, C. Huh, Y. J. Kim, and H. W. Park, "Citation among communication journals and other disciplines: A network analysis," Scientometrics, Vol.88, No.2, pp.449-469, 2011.   DOI
8 안수찬, 민혜영, 장바울, 박재영, "한국 저널리즘 연구의 메타 분석: 1990-2014년 국내 12개 언론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6호, pp.246-280, 2015.
9 김은미, 나은경, "커뮤니케이션학 분야의 인터넷 관련 연구 10년: PC 통신에서 웹 2.0까지,"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5권, 제1호, pp.243-288, 2008.
10 김대욱, 최명일, 김수연, "1988년부터 2012년까지 의 한국 광고홍보학 연구 경향 분석: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시기별 비교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4권, 제6호, pp.95-120, 2013.
11 전범수, 한상권, "한국 언론학 연구의 지식생산 연결망 구조,"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5호, pp.197-215, 2007.
12 김영준, 김채환, "국내 언론학의 지적 구조 매핑(Mapping)에 관한 연구: 1989-2006년 저자동시인용 분석,"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15권, 제3호, pp.155-184, 2007.
13 양승목, "한국 언론학 연구 50주년 개관," 제15회 한.일 국제심포지움 자료집, pp.5-18, 2009.
14 김광재, 박종구, "저자동시인용 분석방법을 이용한 혁신확산 연구의 지적구조: 커뮤니케이션학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6호, pp.52-87, 2011.
15 최현주, 이강형, "지역 언론학 연구의 동향과 특성: 1960년-2008년까지의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8권, 제4호, pp.37-67, 2008.
16 P. R. Monge and N. S. Contractor, Theories of communication network,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3.
17 S. Wasserman and K. Faust.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1994.
18 R. E. Rice, "New media/internet research topics of the Association of Internet research," The Information Society, Vol.21, pp.285-299, 2005.   DOI
19 양승돈,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민간경비 분야의 연구 동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894-901, 2013.
20 김유정, 최준호, 이성준, "방통융합 환경에서의 주파수 정책 이슈의 국가간 비교 연구: 미국과 한국의 주파수 관련 뉴스보도의 의미 연결망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 제17권, 제4호, pp.107-139, 2010.
21 박지영, 김태호, 박한우,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셀레브리티의 SNS 메시지 탐구: 아이돌의 미투데이 메시지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제82권, pp.36-74, 2013.
22 이수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제31권, 제4호, pp.49-68, 2014.   DOI
23 박한우, 이연옥, "복합적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포털 댓글에 관한 연구: 17대 대통령 선거 기간 미디어 '다음'에 게시된 광운대 BBK 동영상,"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1권, 제2호, pp.731-744.
24 김용학, 사회연결망 분석, 경문사, 2005.
25 이현우, "국회 상임위원회의 법안 공동발의 연결망 분석:18대 문방위 발의안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제4호, pp.99-131, 2011.
26 C. J. Chung, S. Lee, G. A. Barnett, and J. H. Kim, "A comparative network analysis of the Korean Society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in the era of hybridization,"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19, No.2, pp.170-191, 2009.   DOI
27 박한우, L. Leydesdoff, "한국어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Vol.6, No.5, pp.1377-1388, 2004.
28 차민경, 권상희, "언론의 '창조경제'에 대한 의제설정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2호, pp.88-120, 2015.
29 박성희, "제17대 대통령 후보 합동 토론 언어네트워크 분석: 북한 관련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45권, pp.200-254, 2009.
30 S. P. Borgartti, M. G. Everett, and L. C. Freeman, UCINET VI 6.90. Natick, Canada: Analytic Technologies.
31 R. M. Entman, "Framing, towards class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1, No.4, pp.51-58, 1993.
32 S. W. Littlejohn and K.A.Foss. Theory of human communication, CA, USA: Thomson Higher Education, 2010.
33 G. F. Khan, S. Lee, J. Y. Park, and H. W. Park, "Theories in communication science: A strucutral analysis using webometrics and social network approach," Scientometrics. http://dx.doi.org/10.1007%2Fs11192-015-1822-0.   DOI
34 C. J. Chung and H. W. Park, "Web visibility of scholars in media and communication journals," Scientometrics, Vol.93, No.1, pp.207-215, 2012.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