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6.695

Study of Academic Effect of NIE  

Hwang, Yoosun (중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Kim, Jae Sun (중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Recently, the status of public education has fallen and instead, the fever of private education has caused various social problem. Because of this private education,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 has become more serious. Under this circumstances,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effect of NIE (Newspaper in Education) which is expected to bring about some positive educational result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North America and European countries, NIE has already been introduced to schools. The educational effects of NIE has also been recognized. Korea also accepted NIE and expect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Therefore, the experimental study has been performed to prove the educational effect of NIE. Both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divided. After that, with the same study plan, experimental group studied with NIE method and control group studied with regular method. The results revealed that NIE method was effective to raise test scores. However, the subject interest and study attitude were not found to be related with the study method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NIE; Public Education; Private Education; Educational Effec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황치성, 정완규, 신문사 NIE 활성화 방안,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2 황유선, 박진우, 김위근, NIE와 교육효과,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3 한국신문협회, NIE 교사용 가이드북, 한국신문협회, 2010.
4 황유선, 주민정, 김재선, NIE 연구학교 운영효과 분석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5 나경애, 이상식, "청소년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내용과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3호, pp.349-373, 2010.
6 박유진, 정동빈, "도식 구성도(graphic organizers)를 활용한 영어 동화 읽기 지도가 유아의 영어 학습흥미도와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제61권, pp.89-131, 2010.
7 J. E. Lee and S. Y. Choi, "The effects of using multimedia title on preschool children's English Listening skills, vocabulary, story recall ability and affective domains,"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Vol.13, No.3, pp.237-252, 2010.
8 마현정, 이시원, "NIE를 활용한 환경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25, 2010.
9 김정실, NIE를 활용한 경제교육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 방인숙, 사회과 교육에서 NIE를 통한 경제교육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1 임선애, 신문자료를 활용한 문제해결 학습이 초등경제 교육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2 신금호, "창의적 동작 표현활동 중심 환경 교육이 유아의 정서 지능과 친환경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유학, 제66권, pp.25-43, 2011.
13 E. F. Deroch, The newspaper-A reference book for teachers and librarians, ABC CLIO, 1991.
14 이태종, NIE 원론I: NIE 이론과 다양한 활용법, 도서출판 통기, 2000.
15 A. S. Rausch, "'Newspaper in Education' in rural Japan," J. of Asian Pacific Communication, Vol.14, No.2, pp.223-244, 2004.   DOI
16 Newspaper Association of America, Newspaper in Education: A guide for weekly/community newspapers, NAA, 2005.
17 http://nie.seattletimes.com/
18 W. S. Burns, "The newspaper in education program," Ph.D. Dissertation,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91.
19 정문선, 김양은, 은지용, 최상희, NIE가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20 이종희, 윤혜정, "신문활용교육(NIE)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학교수학, 제2권, 제1호, pp.145-164, 2000.
21 김숙영, "NIE 프로그램이 과학과 관련된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 대학원, 1998.
22 이원섭, "미디어 교육 경험과 미디어 리터러시가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중고등학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795-809, 2014.
23 최경진, "교수학습 자료로서의 영상 콘텐츠 활용과 인식," 학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173-181, 2012.
24 김경환, NIE 강사 육성시스템 제도화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25 여성가족부, 2013 청소년 매체 이용 실태 조사, 여성가족부, 2013.
26 최상희, "사회과 학습 자료로써 신문의 효과적인 재구성 방안 연구," 교육문화연구, 제16권, 제1호, pp.197-224, 2010.
27 구정화, "초등학생의 NIE 학습유형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관련성," 사회과교육, 제51권, 제4호, pp.93-108,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