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6.334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Usage Needs for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in Paren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ee, Yong-Pyo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Song, Seung-Yeon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usage related predictors to activate Adult Guardianship System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have analyzed the survey of paren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Andersen's behavioral model.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2011 Welfare Needs Assessment of Seoul middle and senior-aged Family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analysis method, the study applied used SPSS 22.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increases meaningfully if the parents does not have occupation, and the subject of Adult Guardianship System is male. In income and the social security system wise,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show remarkably large rating if the average income is high and the desire to be cared by others is high. But in cas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mmunication skills, the degree of disability, burden of caring does not have effect on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The conclusion for this research is, first, to activate vigorous usage of Adult Guardianship System, the government intervention is required. Second, the following study is needed to explain to the concept of the needs caring by others and the cultural factors relating to the usage needs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Keywords
Adult Guardianship System;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age Needs; The Andersen's Behavioral Mode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인환, "새로운 성년후견제도의 시행과 '결격조항' 정비의 과제," 비교사법연구, 제21권, 제3호, pp.1221-1254, 2014.
2 제철웅, "장애인 인권 보호를 위한 입법적 과제," 법학연구, 제44권, pp.153-182, 2015.
3 박인환, "새로운 성년후견제 시행에 따른 신상관계법령의 정비: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와 정신병원등 입원절차를 중심으로," 재산법연구, 제29권, 제3호, pp.1-50, 2012.
4 제철웅, 최윤영, "중증발달장애인의 보호를 위한 특별수요신탁제도의 도입 필요성," 비교사법, 제21권, 제3호, pp.1139-1184, 2014.
5 전병주, 김건호, "일본 성년후견인의 유형 동향과 한국에의 시사점: 岡山지역의 법인후견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187-197, 2013.   DOI
6 박인환, "고령인지장애인의 인권보호와 성년후견," 저스티스, 제146권, 제1호, pp.5-44, 2015.
7 이명현, "고령자보호를 위한 성년후견제도의 역할: 애드보커시(Advocacy)적 관점을 중심으로," 복지행정논총, 제13권, 제1호, pp.104-130, 2003.
8 제철웅, "요보호성인의 인권존중의 관점에서 본 새로운 성년후견제도: 그 특징, 문제점, 개선방안," 민사법학, 제56호, pp.277-331, 2011.
9 김시원, 김정연, "보완대체 의사소통 사용을 위한 행동관찰 중재가 중도 장애학생의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58권, 제1호, pp.167-191, 2015.
10 진영, 정원철, "장애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4호, pp.249-275, 2014.
11 이숙향, "중등 통합교육 현장의 장애학생을 위한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의 개발 및 적용 효과," 특수교육, 제13권, 제3호, pp.173-204, 2014.
12 김용득, 박숙경, "지적장애인의 거주시설 유형별 자기결정 경험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4호, pp.79-103, 2008.
13 이복실, 거주시설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 요인 연구,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4 변용찬, 강민희, 이송희, 전광석, 성년후견제 사회복지분야 지원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09.
15 전동일, 김경란, 제철웅,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성년후견수요자의 부모와 서비스제공자의 인식 비교,"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4호, pp.11-23, 2013.
16 박인환, "UN장애인권리협약과 성년후견 패러다임의 전환: 의사결정대행에서 의사결정지원으로," 가족법연구, 제28권, 제3호, pp.171-220, 2015.
17 M, Daly, Paid work, Unpaid work and welfare: Towards a framework for studying welrfare state variation, in T. Boje & Leira(eds.). Gender, Welfare State, and the Market: Towards a new division of labour, London: Routeledge, 2000.
18 장혜경, 홍승아, 이상원, 김영란, 강은화, 김고은, 가족 내 돌봄노동 실태조사, 한국여성개발원, 2006.
19 신권철, "사회복지서비스에서 성년후견인의 역할과 한계," 사회보장법연구, 제2호, pp.33-63, 2012.
20 이명헌, 강대선, "영국 권리옹호서비스의 자율적 의사결정 지원에 관한 연구: 의사대변인(IMCA) 제도의 분석과 전망," 한국장애인복지학, 제30권, pp.71-96, 2015.
21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74191
22 http://www.korea.go.kr/service/serviceInfo/366000000201
23 Abrams, 신용하 외 역, 역사사회학(Historical Sociology), 문학과지성사, 1986.
24 김성용, 강상경, "정신장애인 사회서비스 이용의 예측요인: Andersen모형을 이용하여," 사회복지연구, 제54권, 제1호, pp.175-202, 2014.
25 민소영, "지역거주 정신장애인을 위한 공식 및 비공식 지원 간의 상호관계와 영향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1권, 제1호, pp.5-31, 2013.
26 R. Andersen and J. F. Newman,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e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Health and Society, pp.95-124, 1973.
27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4063009563262183&outlink=1
28 김진, 김회성, 신용연, 서울시 중․장년 발달장애인가족 복지욕구조사, 서울시복지재단, 2011.
29 보건복지부, 2015 발달장애인지원 사업안내, 2015.
30 신권철, 성년후견제도와 사회복지제도의 연계, 집문당,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