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5.668

Development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Anger Control Ability of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Lee, Jae-Taek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When the parents are unable to control anger properly, it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ir children. Therefore, parents need anger control ability very m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anger control ability of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o that it could help them to perform their parental role.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llowed the procedure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execution, and assesment. In the analysis stage, previous studies were examined to explore in depth the ways to improve anger control ability. In the design stage, the goals were confirmed and learning objective for each session was defined, and according to this, the contents of education were selected. In the development stage, 8 sessions of education activities were formulated with 2 hours for each session and experts were consult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In the execution stage, the operating method was proposed and the program was applied with a total of 8 sessions, 1 session for a week. In the final assessment stage,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assessed. Assessment of the program was carried out b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e quantitative method was verified by pre-and-post comparison, and analyzed by Wilcoxon Signed Ranks Test. For the qualitative method,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ere use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pre-and-post comparison was carried out. The result shows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anger control ability of parents and parenting efficacy. Also, participants reported the program was very helpful for increasing parenting skills in many aspects. Lastl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proposed the direction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program.
Keywords
Anger; Anger Control Ability; Parent Education Progra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성진, 전환기 자녀지도를 위한 부모교육 요구 조사: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으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 강신덕, "비행청소년 분노조절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청소년상담연구, Vol.5, No.1, pp.81-143, 1997.
3 권남행, 청소년의 분노조절을 위한 인지행동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 김경희, 어머니와 아동용 분노조절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 김유정, 분노조절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6 김정은, 김유미, "아동의 분노감소를 위한 정서중심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아동교육, Vol.22, No.1, pp.163-176, 2013.
7 김종주, 유형근, 권순영, "중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REBT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4, pp.57-75, 2011.
8 김진이, 유아의 어머니를 위한 상담활용 부모교육 (CUPEM)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9 김진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론, 서울: 동문사, 2005.
10 김현주,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부모의 분노수준,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영화를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과 일반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1 김홍운, 성인아이의 분노조절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12 류권옥, 채유경, "중학생을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Vol.3, No.2, pp.79-94, 2007.
13 문은주, "고등학생용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중등교육연구, Vol59, No.2, pp.443-480, 2011.
14 박경애, 상담의 주요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아카데미, 2005.
15 박명화, "외현화 행동문제를 가진 아동의 교우관계와 사회적기술 향상을 위한 분노관리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정서.행동장애연구, Vol.29, No.2, pp.45-67, 2013.
16 박미경, 초등학생의 분노표현능력과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7 박연주, 유형근, "고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상담연구, Vol.20, No.2, pp.295-314, 2012.
18 서미화, 아동을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9 신숙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20 안윤영, 중학생의 분노 사고와 분노 표현의 관계 및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1 이경미, 이인수, "분노 다루기 부모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사티어 변형체계 치료 모델을 토대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Vol.21, No.2, pp.231-255, 2013.
22 전성희,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분노사고와 분노표현 방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3 이사라, 권정임, 이혜린, "자녀의 발달단계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도 조사연구: 학령기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국보육학회지, Vol.9, No.4, pp.1-23, 2009.
24 이정주, 이종연,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상담학연구, Vol.15, No.2, pp.943-967, 2014.
25 장남제, 스포츠 활동을 통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6 정미선, 교류분석이론에 근거한 부모의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7 정옥분, 정순화, 부모교육: 부모역할의 이해, 서울 양서원, 2002.
28 채유경, 청소년 분노표현 방식의 모델 및 조절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29 태양실,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시각장애아 어머니의 공격성, 분노, 양육스트레스,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0 홍상황, 곽경숙, 김미라, "아동용 분노조절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초등교육연구, Vol.9, pp.35-58, 2009.
31 황정희, "초등학생 공격행동 수준과 자아존중감,"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2 C. D. Spielberger, Test anxiety inventory. Preliminary professional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0.
33 E. Galinsky, The six stage of Parenthood, Reading, MA: Addison-Wesley, 1987.
34 E. K. T. Coles, Adult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New York: Pergamon Press, 1977.
35 H. G. Ginot, Between parent and child, New York: Avon, 1965.
36 J. L Deffenbacher, G. A. Thwaites, T. L. Wallace, and E. R. Oetting, "Social Skills and Cognitive-Relaxation Approaches to General Anger Reduc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1, No.3, pp.383-396, 1994.
37 I. G. Sarason and B. R. Sarason, "Teaching cognitive and social skills to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49, No.6, pp.908-918, 1981.   DOI
38 J. D. Larson, "Anger and aggression management techniques through the think first curriculum," Journal of Offender Rehabilitation, Vol.18, No.1/2, pp.101-117, 1992.   DOI
39 J. Gibaud-Wallston and L. P. Wandersman,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1978.
40 J. R. Averill, "Studies on anger and aggression: Implications for theories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November, pp.1145-1160, 1983.
41 J. Wolpe, The practice of behavior therapy, New York: Pergamon Press, 1958.
42 K. M. Williams,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anger management training and curricular infusion at an alternative school for students expelled for weapons," Urban Education, Vol.37, No.1, pp.59-76, 2002.   DOI
43 L. Carter and F. B. Minirth, The anger -workbook: A 13-step interactive plan to helf you, Nashville: Thomas Nelson, 1993.
44 M. McKay, P. Fanning, K. Paleg, and D. Landis, When anger hurts your kids, New York: MJF Books, 1996.
45 M. S. Knowles, The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 Andragogy versus Pedagogy, New York : Association Press, 1970.
46 R. W. Novaco, Anger as a risk factor for violence among the mentally disordered, In J. Monahan & H. J. Steadman (Eds.), Violence and mental disorder,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47 N. K. Denzin,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2nd ed.), New York: McGraw Hill, 1978.
48 P. C. Kendall, Child and Adolescent Therapy, Cognitive-Behavioral Procedures, Third Eds, 2006.
49 R. S. Morganett, Skills for Living: Group Counseling Activities for Elementary Students, Research Press(IL), 1994.
50 R. W. Novaco, Anger control: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xperimental treatment, Lexington, MA: D. C. Health, 1975.
51 S. Freeberg, "Anger in Adolescence," JPNMHS, Vol.20, pp.29-31, 1982.
52 S. L. Hazaleus and J. L. Deffenbacher, "Relaxation and cognitive treatments of ang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4, pp.222-226, 1986.   DOI
53 T. Gorden,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A preventive program and its effects on families, In M. J. Fine(Ed.). Handbook on parent education, New York: Academic Press, 1980.
54 T. J. Hammer and P. H. Turner, Parenting in Contemporary Society, Allyn & Bacon,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