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2.025

Mutually Perceive between Military Executive Members and Local Residents on the Military Family Welfare Support  

Jeong, Mee-Kyung (강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how military executive members and local residents mutually perceive the military family support. The 217 individuals from the military executive and the 191 local residents took part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sense of the agreement, the respondents from the military executive had higher perception when it comes to the necessity of the community support, whilst the answer from their counterparts did not. Second of all, in terms of the congruence(1) on this issue, the perception levels that the each group of respondents showed are not corresponded, besides each group had different level of demands on the community resour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ngruence(2). Third, regarding the accuracy(1), the military executive members called for higher coverage of community supports whilst the local residents perceived that the executive members might be having less demands. The accuracy(2) too shows the different perception on the resources that the each group has. Last of all, for the meta-agreement, which indicates how each group found its counterpart's perception, were only corresponded at the lower level.
Keywords
Military Family Welfare; Military Executive Members; Perception on the Resources; Mutual Percep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정선구, 직업군인 복지증진 방안 연구, 서울:한국국방연구원, 1992.
2 조흥식, 강민철, "군인부인의 결혼초기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군사회복지학, 제1권, 제1호, pp.165-198, 2008.
3 홍두승, 한국 군대의 사회학, 서울:나남출판사, 1996.
4 C. C. Moskos, "Armed Force And Society: Trend in Military Organization," Institution to Occupation, Vol.4(Fall), pp.41-50, 1977.
5 M. W. Segal, The Nature of Work and Family Linkages:A Theoretical Perspective, The Organization Family. 1989.
6 김명수, 박하일, 손기웅, 김현주, "민군관계의 발전방향,"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연구총서, 제13집, pp.155-175, 1994.
7 J. M, Mateczum and E. K. Holmes, Return, readjustment, and reintegration:The three R's of family reunion, In R. J. Ursano & A. E. Norwood(Eds), Emotional after mathod the Persian GulfWar: Veterans, families, communities, andnations, pp.250-28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Inc., 1996.
8 A. Martin, "Life Satisfaction for Military Wives," Military Medicine, Vol.149, No.9, pp.512-514, 1984.   DOI
9 박문규, 육군 군 간부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족복지제도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0 정한수, 군 간부의 복지정책과 발전방향,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1 강민철, 군인부인의 결혼초기 적응에 관한 연구: 군인부인을 중심으로 한 스트레스와 대처,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2 장지환, 군 간부의 주거지원 정책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육군주거정책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3 정미경, "지역사회 복지자원 활용을 통한 군인가족지원센터의 미래지향적 발전방안," 한국군사회복지학, 제4권, 제2호, pp.39-72, 2011.
14 정미경, "군인가족의 통합적 지원을 위한 지역복지서비스 연계방안," 한국군사회복지학, 제5권, 제1호, pp.5-34, 2012.
15 한국일보, "군 간부가 불안하다", 2014.03.08.
16 F. W. Kaslow and R. I. Ridenour, The Military Family, NY:Guilford Press, 1984.
17 P. A. Neenan, "Marital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of Male Air Force Personnel: a test of the spillover hypothesis," The Organization Family, Vol.17, pp.59-76, 1989.
18 국방부, 2008년 군인복지실태조사, 2009.
19 정미경, "군과 지역사회 간 조직-공중 관계성에 대한 상호 이해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187-205, 2014.
20 정미경, "지역사회 복지자원 활용을 통한 군인가족지원센터의 미래지향적 발전방안," 한국군사회복지학, 제4권, 제2호, pp.39-72, 2011.
21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경기도 군인가족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2011.
22 국방부, 2012년 군인복지실태조사, 2013.
23 국방부, 2010 회계연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개요, 2010.
24 D. Darley, The Military Family, New York:Guilford Press, 1984.
25 김현주, 홍두승, "한국의 군인가족: 자립과 적응을 중심으로," 전략논총, 제2권, pp.305-356, 1994.
26 조일님, 강진희, "일부 군인의 아버지 역할수행에 대한 조사연구," 국군간호사관학교논문집, 제20권, pp.256-288, 2001.
27 김현주, 군 자녀 보육시설 이용실태와 보육욕구에 관한 연구:군인 아내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8 김혜원, 군인가족의 학령전기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가족기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9 박기수, 군 간부 가족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0 이진욱, 군 간부의 직장-가정 균형이 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1 주석진, 조성심, 김근아, "군인가정 자녀의 우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가족건강성과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권, pp.69-95, 2013.
32 박미은, "군 간부 아내들이 인식한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군사회복지학, 제6권, 제2호, pp.39-63, 2013.
33 정효현, 군 사회복지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34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군인가족, 현주소 진단과 지원방안, 2010.
35 양정선, 최윤선, 이정화, 경기도 군인가족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연구, 수원: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1.
36 이채항, "직업군인의 직장-가정 갈등 원인과 완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군사회복지학, 제4권, 제2호, pp.5-37, 2011.
37 권현숙, 직업군인가족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육군항공가족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8 K. L. Kelly, The effect of military-induced separation on family factors and child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4.
39 함명화, 군인가족 중년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갱년기 증상:일반가족 중년여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0 태유월, 구자경, "군인가족 중년여성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상담학연구, 제15권, 제1호, pp.519-534, 2014.
41 Army Research Institute for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 NJ: Prentice-Hall, 1997.
42 오기택, 군인가족 부모자녀 관계와 자녀의 적응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43 이민정, 군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무의 양육태도,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방법과 창소년의 문제행동 및 정서상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4 L. N. Rosen, and J. M. Teitelbaum, and D. J. Westhuis, "Children's reactions to the Dessert Storm Deployment:Initial findings from a survey of Arm families," Military Medicine, Vol.15, pp.465-469, 1993.
45 M. Kelley, E. Hock, K. Smith, M. Jarvis, J, Bonney, and M. Gaffney,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of students with enlisted Navy mothers experiencing military induced separation,"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ol.40, pp.461-471, 2001.
46 N. Ryan-Wenger, "Impact of the threat of war on children in military familie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chiatry, Vol.71, pp.236-244, 2001.   DOI
47 A. Lincoln, E. Swift, and M. Shoteno-Fraser,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treatment of children and families with parents deployed in military combat,"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4, No.8, pp.984-992, 2008.   DOI
48 이영균, 최복희, "직업군인 가족의 삶의 질 실태 분석," 한국군사회복지학, 제3권, 제2호, pp.25-45, 2010.
49 방은상, "군인자녀 지원정책 발전방안, 한국군사회복지학," 제5권, 제1호, pp.35-70, 2011.
50 문채봉, 미군의 가족지원정책과 우리 군의 정책방향, 한국국방연구원, 2009.
51 최병순, 문영세, "직업군인제 발전을 위한 정책대안 분석:육군 장교 인사관리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0권, 제1호, pp.51-78, 2006.
52 강한구, 백재옥, 성채기, 김상호, 안용희, 김규석, 군 주둔 지역경제 효과분석, 한국국방연구원, 2009.
53 허훈, "군과 지역사회의 협동거버넌스 구축방안,"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2권, 제4호, pp.27-50, 2008
54 김명환, "지역사회와 군 관계의 특성과 협력 구축방안," 지방정부연구, 제14권, 제4호, pp.149-170, 2010.
55 강원일보, 군 당국 1년간 주민 의견수렴 한번도 안해, 2014.12.16.
56 국방부, 14년 군인가족행복지원서비스 수요조사 결과 통보, 2014.01.13.
57 연합뉴스, 강원지사 후보들 맞춤형 공약으로 표심 공략, 2014.05.29.
58 주석진, 조성심, "군인가정의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수준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요인 비교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44권, 제 6호, pp.57-80, 2014.
59 S. H. Chaffee and J. M. McLeod. "Interpersonal approaches to communication research,"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16, pp.46-501, 1973.
60 정미경, "군인가족의 통합적 지원을 위한 지역복지서비스 연계방안," 한국군사회복지학, 제5권, 제1호, pp.5-34, 2012.
61 김봉철, 최양호, "대학구성원들의 위기지각에 대한 상호지향성 분석:언론의 위기보도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7권, 제3호, pp.7-41,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