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소연, 미술매체를 이용한 집단상담이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2 |
Z. Winstok, "From self-control capabilities and the need to control otehers to proactive and reactive aggress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Vol.32, No.3, pp.455-466, 2009.
DOI
|
3 |
김선영, 김정희, 이경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공격성, 자기통제력 및 자기존중감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 상담학연구, 제5권, 제3호, 2004.
|
4 |
조은경, "충동성과 공격성향이 강력범죄에 미치는 영향," 형사정책연구, 제8권, 제2호, pp.125-178, 1997.
|
5 |
정태연, 윤진, "충동성과 공격성이 좌절상황에서의 사회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5권, 제1호, pp.29-40, 1992.
|
6 |
김진아, 자존감과 기분통제가 자기조절의 실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7 |
신지현, 저소득가정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과 환경변인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8 |
윤명숙, 최정민,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안녕감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청소년복지연구, 제13권, 제2호, pp.55-78, 2011.
|
9 |
김준영,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기통제에 있어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아동복지학, 제40권, pp.229-253, 2012.
|
10 |
D. P. MacKinnon, C. M. Lockwood, J. M. Hoffman, S. G. West, and V. Sheets,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Psychological Methods, No.7, pp.83-104, 2002.
|
11 |
M. Lei and R. G. Lomax, "The effect of varying degrees of nonnormality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12, No.1, pp.1-27, 2005
DOI
|
12 |
홍영수, 오선영, "애착과 감독이 청소년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2호, pp.319-336, 2010.
|
13 |
문영숙, 한수정, "중학생의 부모-자녀 애착과 자기통제력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학회지, 제15권, 제2호, pp.302-310, 2009.
|
14 |
변경보,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과의 상관관계 연구,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15 |
주성연,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자기통제력, 공격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16 |
송진영,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자녀의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7호, 2016.
|
17 |
심응철, "청소년의 충동성 및 공격성과 폭력행동의 상관관계," 한국발달심릭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4-34, 1999.
|
18 |
도금혜, 이지민, "청소년의 인터넷중독, 자아존중감, 자기통제, 공격성 간의 관계구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권, 제3호, pp.59-69, 2011.
|
19 |
강귀애, 부모-자녀 애착관계가 청소년의 공격성과 대인관계 및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20 |
최해림, "부모애착, 자동적사고, 성역할 정체감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제17권, 제3호, pp.599-616, 2005.
|
21 |
정병삼, "부모-자녀 애착과 부모지도감독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제21권, 제4호, pp.5-30, 2010.
|
22 |
이경님, "청소년의 애착, 자아존중감 및 충동통제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0권, 제8호, pp.191-206, 2002.
|
23 |
이성식, "낮은 자기통제력과 비행친구의 청소년 비행에의 영향: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2호, pp.159-181, 2007.
|
24 |
R. F. Baumeister, T. F. Heatherton, and D. M. Tice, Losing control: How and why people fail at self-regulation, San Diego: Academic Press, 1994.
|
25 |
R. F. Baumeister and J. Tirney, Willpower: Rediscovering the Greatest Human Strength, The Penguin Press, 2011.
|
26 |
J. P. Tangney, R. F. Baumeister, and A. L. Boone,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Vol.72, No.2, pp.271-324, 2004.
DOI
|
27 |
김은미, 병사들의 군복무 부적응에 영향을 주는 입대전 생활사와 성격특성탐색,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28 |
김연이, 군사회복지사 도입의 필요성과 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29 |
박영실, 청소년 범죄피해경험에 대한 자기통제력과 기회요인의 영향,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30 |
Y. G. Nie, J. B. Li, and A. T. Vazsonyi, "Self-control mediates the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prosocial behavior among Chinese adolesc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96, pp.36-39, 2016.
DOI
|
31 |
김세경, 자기통제력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32 |
K. J. Preacher and A. F. Hayes, "A 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0, No.3, pp.879-891, 2008.
DOI
|
33 |
A. T. Vazsonyi and L. M. Belliston, "The family low self-control deviance : A cross-cultural and cross-national test of self-control theory,"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Vol.34, pp.505-530, 2007.
DOI
|
34 |
M. R. Gottfredson and T. Hirschi,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C. 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
35 |
J. Bowlby, A secure base: Parental-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New York: Basic Books, 1988.
|
36 |
J. B. Lie, E. Delvecchio, A. Lis, Y. G. Nie, and D. Di Riso, "Parental attachment, self-control and depresssive symptoms in Chinese and Italian adolescents: Test of mediation model," Journal of adolescence, Vol.43, pp.159-170, 2015.
DOI
|
37 |
D. V. Blalock, A. T. Franzese, K. A. Machell, and T. J. Strauman, "Attachment style and self-regulation: How our patterns in relationships reflect broader motivational styl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efferences, Vol.87, pp.90-98, 2015.
DOI
|
38 |
목점선,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애착.학교생활적응 및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39 |
이윤미, 애착과 자기통제력이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40 |
김경숙, 중학생의 또래동조성 및 애착과 집단따돌림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