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9.233

Effects of Spouse Bereavement in Old Age on Emotion and Social Interaction  

Son, Jong Mi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Byun, Sang-Hae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a preliminary study to analyze how emotion(depression and anxiety) after spouse bereavement in old age affects social interaction and to set a direction of developing programs based on the cause and period of bereavement to promote social interaction for those bereaved people. To that end, welfare facilities and schools for the elderly and churches located in Seoul, and Suwon and Osan areas were visited and surveys were executed on 350 aged people who had experienced spouse bereavement from September 26 through October 25, 2014. Analysis was executed for 325 questionnaires out of the total of 350 using SPSS WIN 20.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emotion and social interaction due to bereave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second, the average of emotion and social interaction due to bereavement perio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ird, the impact of bereavement type and perio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implies that social interaction programs for the aged people can be developed regardless of bereavement cause or period.
Keywords
Emotion; Old Age; Social Interaction; Spouse Bereave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이정, 죽음학 총론, 학지사, 2011.
2 장수지, "노년기 배우자 사별 후 적응과정에서의 개인적 성장", 한국사회복지학, 제65권, 제4호, pp.165-193, 2013.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4 통계청, 사망원인통계결과, 2013.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고령자통계, 2013.
6 박혜옥, 육성필, "부부친밀감에 따른 배우자 사별 노인의 사별스트레스가 우울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중재.매개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5권, 제4호, pp.933-951, 2013.
7 김승연 외, "노인 집단에서 배우자의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사회적 지지와 대처 행동의 조절효과",임상심리학회지, 제26권, 제3호, pp.573-596, 2007.
8 M. L. Cooley, "Bereavement care: A role for nursing. Cancer Nursing", Vol.15, No.2, pp.125-129, 1992.
9 C. M. Parkes and R. S. Weiss, Recovery from bereavement, New York Basic, 1983
10 유영주, 새로운 가족학, 신정, 2007.
11 C. M. Parkes, Bereavement: Studies of grief in adult life,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9
12 G. Christ, G. Bonanno, R. Malkinson, and Rubin, "Bereavement experiences after the death of a child. In Institute of Medicine. M. Field & R. Behrman(Eds.), When children die; improving palliative and end of life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pp.553-579, 2003.
13 S. L. O'Bryant and R. O. Hansson, Widowhood, in Handbook of Aging and the Family, edited by Blieszner. R. and Bedford. V. H. Westport. CT: Greenwood Press. 1995.
14 C. M. Parkes, "Psychiatric Problems Following Bereavement by Murder or Manslaughter," BEREAVEMENT CARE, Vol.12, No.1/1, 1993.
15 장희선, 농촌여성노인 배우자 사별 후 적응과정,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6 백옥미, "중.노년기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 은퇴와 사별요인의 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1권, 제4호, pp.94-115, 2013.
17 오세근, 조준, 김영희, 최정민, "노인의 우울감과 죽음불안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243-254, 2015.
18 전길양, 김정옥, "배우자사별 노인의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학회지, 제38권, 제1호, pp.155-170, 2000.
19 장신재, 조자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회적지지(사회활동, 가족/사회관계), 정서문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4호, pp.225-235, 2014.
20 R. Schulz, S. Beach, B. Lind, L. Martire, B.. Zdanink. C. Hirsch, S. Jackson, and L. Burton, "Involvement in caregiving and adjustment to death of a spouse: Findings from the caregiver health effects study", JAMA, Vol.285, pp.3123-3129, 2001.   DOI   ScienceOn
21 김근면, 차선경, "간호대학 신입생의 정서인식, 정서 표현, 정서표현 양면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3호, pp.322-332, 2013.
22 M. Snyder and J. Simpson, "The Self-Monitoring of Expressive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December), pp.297-300, 1974.
23 M. Friedman and R. H. Rosenman, "Association of specific overt behavior pattern with blood and cardiovascular findings",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169, No.0, pp.1286-1296, 1974. Type A Behavior and Your Heart, New York: Knopf., 2007.
24 유지영, "노인무용 교육효과의 치유작용 메커니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114-121, 2015.   DOI
25 유광욱, 원유병, "노인들의 신체활동 유뮤.부정 정서.경제적 수준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21권, 제4호, pp.197-205, 2010.
26 D. Blazer 저, 김동배, 김유심, 문수경 역, 노년기 정신건강-노인의 정서문제를 다루는 전문가의 개입전략, 학지사, 2007.
27 Maren, "Synaptic mechanism of associative memory in the amygdala", Neuron, Vo1.47, No.6, pp.783-786, 2005.
28 S. Peck and D. Dukes, In heaven as on earth: a vision of the afterlife, Hyperion, 1996.
29 김은경, 하규수, "노인의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12호, pp.811-820, 2013.
30 최형임, 채현탁, 송인욱,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스트레스적 생활경험과 절망감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43권, pp.83-202, 2009.
31 R. McPherson, "Socialogical perspectives on aging and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Aging and Physicial Activity, Vol.2, pp.329-353, 1994.   DOI
32 펑펑, 정용길, "서비스 환경이 서비스 품질과 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390-400, 2012.
33 김경, 노인 수영참여자의 참여행동 결정요인 분석,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4 김초록, 신희천, "긍정적 정서와 긍정적 대처의 종단적 인과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 치료, 제23권, 제2호, pp.451-469, 2011.
35 Holmes, Jeremy and Y. K. Lee, John Bowlby and attachment theory, Seoul, Hakjisa, 2005.
36 이행옥, "노년기 부부의 상호작용과 이론적용," 원주대학교 학술논집, 제2권, pp.101-113, 2001.
37 C. B. Shearer, "The multiple intelligences and MIDAS sub-scale", 1995.
38 J. N. Giger and Ruth Elaine Davidhizar, "An Exceptional and Phenomenal Woman for All Seasons", N. Journal-National Black Nurses Association, Vol.19, No.2, 2008.
39 김정유, 최유석, "사회적 지지가 중소도시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208-219, 2015.   DOI
40 김창수, 불안-우울 통합척도의 임상적 적용,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41 김창수, 정성덕, "불안, 우울 통합척도의 임상적 적용", 신경정신의학, 제28권, 제6호, pp.67-147, 1989.
42 김현주, 포크댄스 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43 염형욱, 정성덕, 서완석, 구본훈, 배대석, "노년기영성과 불안.우울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영남의대학술지, 제22권, 제1호, pp.27-42, 2005.
44 B. W. Lemon, W. L. Bengston, and J. A. Peterson, "An exploration of the activity theory of aging: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movers to a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of Gerontology, Vo1.27, pp.511-523, 1972.
45 J. B. Beard and M. G. Ragheb,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siure Research, Vo1.12, pp.20-33, 1980.   DOI
46 이종길,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47 김지혜, 김영환, 오상우, 임영란, 홍상황, 성격평가 질문지, 서울: 학지심리검사소, 2001.
48 김연수,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건강과 스포츠 활동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