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신영헌,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연구적 영화읽기: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가을.겨울호, p.224, 2004.
|
2 |
신영헌,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연구적 영화읽기: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가을.겨울호, p.214, 2004.
|
3 |
강유원, 장미의 이름 읽기 - 텍스트 해석의 한계를 에코에게 묻다 -, 미토, 2004.
|
4 |
M. Foucault, Power/Knowledge: Selected Interviews and Other Writings, 1972-1977, ed. by C. Gordon, New York: Pantheon Books, p.133, 1980.
|
5 |
M. Foucault, Power/Knowledge: Selected Interviews and Other Writings, 1972-1977, ed. by C. Gordon, New York: Pantheon Books, p.131, 1980.
|
6 |
S. D. Brookfield,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2005. 기영화.김선주.조윤정 공역,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p.173, 2009.
|
7 |
신영헌,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연구적 영화읽기: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가을.겨울호, p.216, 2004.
|
8 |
신영헌,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연구적 영화읽기: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가을.겨울호, p.217, 2004.
|
9 |
신영헌,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연구적 영화읽기: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가을.겨울호, p.215, 2004.
|
10 |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p.480, 2003.
|
11 |
신영헌,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연구적 영화읽기: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가을.겨울호, p.228, 2004.
|
12 |
J. Boggs, The Art of Watching Films, 이용관 역, 영화 보기와 영화 읽기, 제3문학사, p.96, 1991.
|
13 |
미디어문화교육연구회, 문화콘텐츠학의 탄생, 다할미디어, p.113, 2005.
|
14 |
P. Young Won, "Interpreting Medieval Christianity through Literature: Beowulf, Gunnar's Daughter, and The Name of the Rose," 문학과 종교, 제18권, 제2호, p.162, 2013.
|
15 |
강영안, "기호와 진실 -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 기호학연구, 제1권, pp.283-284, 1995.
|
16 |
기독교사상 편집부, "장미의 이름과 지식", 권력, 기독교사상, 통권 제556호, p.271, 2005.
|
17 |
미디어문화교육연구회, 문화콘텐츠학의 탄생, 다할미디어, p.115, 2005.
|
18 |
신영헌,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연구적 영화읽기: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가을.겨울호, p.213, 2004.
|
19 |
J. Boggs, The Art of Watching Films, 이용관 역, 영화 보기와 영화 읽기, 제3문학사, p.251, 1991.
|
20 |
신원선, "팩션사극 <뿌리깊은 나무>의 대중화 전략", 인문연구, 제64호, p.339.
|
21 |
S. D. Brookfield,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2005. 기영화.김선주.조윤정 공역,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pp.172-173, 2009.
|
22 |
P. Young Won, "Interpreting Medieval Christianity through Literature: Beowulf, Gunnar's Daughter, and The Name of the Rose,"문학과 종교, 제18권, 제2호, pp.161-162, 2013.
|
23 |
S. D. Brookfield,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2005. 기영화.김선주.조윤정 공역,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p.172, 2009.
|
24 |
M. Foucault, Power/Knowledge: Selected Interviews and Other Writings, 1972-1977, ed. by C. Gordon, New York: Pantheon Books, p.69, 1980
|
25 |
김시무, "영화이론의 흐름 개관", 씨네포럼, Vol.4.0, pp.35-36, 2001.
|
26 |
J. Storey, Cultural Studies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 Theories and Methods, 1996. 박만준 역, 문화연구의 이론과 방법들, 경문사, p.74, 2002.
|
27 |
R. Barthes, Mythologies. Paris, Editions du Seuil, 1957.
|
28 |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p.18, 2003.
|
29 |
J. Storey, Cultural Studies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 Theories and Methods, 1996. 박만준 역, 문화연구의 이론과 방법들, 경문사, p.75, 2002.
|
30 |
F. D. Saussure,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London : Fontana, 1974.
|
31 |
한국기호학회, "기호학의 고전, 교육, 그리고 실천", 한국기호학회, p.10, 2015.
|
32 |
김시무, "영화이론의 흐름 개관", 씨네포럼, Vol.4.0, p.36, 2001.
|
33 |
J. Storey, Cultural Studies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 Theories and Methods, 1996. 박만준 역, 문화연구의 이론과 방법들, 경문사, p.76, 2002.
|
34 |
C. Levi-Strauss, Structural Anthropology, New York : Basic Books, 1968.
|
35 |
J. Storey, Cultural Studies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 Theories and Methods, 1996. 박만준 역, 문화연구의 이론과 방법들, 경문사, pp.76-77, 2002.
|
36 |
W. Wright, Sixguns and Society, Berkele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23, 1975.
|
37 |
J. Storey, Cultural Studies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 Theories and Methods, 1996. 박만준 역, 문화연구의 이론과 방법들, 경문사, pp.78-80, 2002
|
38 |
원용진, 새로 쓴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pp.290-291, 2010.
|
39 |
A. A. Berger, Media Analysis Techniques, (1982), 한국사회언론연구회 매체비평분과 역 (1990), 대중 매체 비평의 기초, 이론과 실천, pp.30-32, 1990.
|
40 |
김은영, "어린이 텔레비전 단편영화의 서사구조 분석 : EBS의 2009 ABU 어린이 드라마 시리즈 5개국 편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4호, p.14, 2010.
|
41 |
이서라, 정의준, "역사드라마의 콘텐츠 재목적화에 관한 연구 :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의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5권, 제3호, pp.131-132, 2014.
|
42 |
안상혁, 주용성, "훈민정음 창제에 나타난 세종의 이상 :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와 원전 해례본과의 비교를 통해", 인문과학, 제49권, p.117, 2012.
|
43 |
원용진, 새로 쓴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p.300, 2010.
|
44 |
P. C. Hogan, The mind and its story Narrative Universals and Human Emo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7, 2003.
|
45 |
P. C. Hogan, The mind and its story Narrative Universals and Human Emo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53-154, 2003.
|
46 |
최용호, 서사로 읽는 서사학-인지주의 시학의 관점에서-,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p.111, 2009.
|
47 |
김영성, "한국 추리서사의 서사성과 대중성에 관 한 연구(1) - 추리서사의 사적(史的) 개념과 적용 범주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화, 제29집, p.188, 2006.
|
48 |
김정희, 스토리텔링이랑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49 |
P. C. Hogan, The mind and its story Narrative Universals and Human Emo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76, 2003.
|
50 |
김영성, "한국 추리서사의 서사성과 대중성에 관한 연구(1) - 추리서사의 사적(史的) 개념과 적용범주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화, 제29집, pp.185-188, 2006.
|
51 |
송명진, "서사 전략과 대중문화 콘텐츠 - 방송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 K'와 '위대한 탄생'을 중심으로 -", 대중서사연구, 제25호, pp.206-207, 2011.
|
52 |
최혜실, 문화 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삼성경제연구소, p.5, 2006.
|
53 |
S. D. Brookfield,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2005. 기영화.김선주.조윤정 공역,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p.160, 2009.
|
54 |
M. Foucault,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2005. 기영화.김선주.조윤정 공역,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p.39, 1980.
|
55 |
M. Foucault,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2005. 기영화.김선주.조윤정 공역,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p.93, 1980.
|
56 |
S. D. Brookfield,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2005. 기영화.김선주.조윤정 공역,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p.155, 2009.
|
57 |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p.489, 2003.
|
58 |
L. Althusser, "Ideology and Ideological Apparatus,"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New York: Monthly Review, 19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