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7.170

Design of Edutainment Contents Using Motion Recognition for Enhancing Sociability and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Park, Yoon (한독미디어대학원대학교 뉴미디어학부)
Yang, Janghoon (한독미디어대학원대학교 뉴미디어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With progress in emerging new media technology and associated device,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a new type of contents in the filed of children education.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edutainment content for enhancing sociability and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exploiting kinect. Recreating what is visually perceived with physical movement is adopted to develop visual perception. It is also designed such that one's sociability can be enhanced through experiencing natural physical contact and collaboration while interacting with the developed content. The prototype of the content was created through development of character to boost interest, a short animation for storytelling, and interactive programming. In the second pilot test which was done with the content improved through the first pilot test, it was observed that children easily played with it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experiencing it. From this observ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content may work as a promising edutainment content which fosters children to enhance visual perception and sociability through natural interaction.
Keywords
Visual Perception; Sociabi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KINECT; Edutainment Cont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에듀테인먼트 국내 시장 조사 연구,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6.
2 조두영, G-Learning 초기유저의 특성이 사용 동기 및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 장윤제, 김형기, "유아를 위한 다수 참여형 미디어 인터페이스 연구 : 어린이 체험전시를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제13권, 제2호, pp.335-344, 2013.
4 김미정, 아동의 동작표현활동 강화가 사회성 및 성격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 최은영, 손영수, 정경욱, "자폐성 아동의 사회성증진을 위한 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재활심리연구, 제10권, 제1호, pp.65-76, 2003.
6 이현남, 미술활동이 유아의 인지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공주교대논총, 제23권, 제1호, pp.83-94, 1987.
7 심상인, 팀-모델 기법을 이용한 시지각 운동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8 이근매, 오순이, "기초조형 중심의 미술활동프로 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시지각 발달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제5권, 제3호, pp.431-455, 2004.
9 양은주, "자페성 아동의 또래관계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 재활심리연구, 제11권, 제1호, pp.95-116, 2005.
10 조현정, 통합학급에서 장애유아의 사회성 능력 향상을 위한 또래 중재에 관한 관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1 김민영, 게슈탈트 이론을 활용한 종이입체조형학습 모형,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2 김경희, 미술요소를 중심으로 한 통합 유아미술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3 차은미, 이경미, 이정욱, "유아의 공간감각 향상을 위한 가상학습공간 구측",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6호, pp.154-160, 2007.   DOI
14 유상조, 한경임, 김봉석, 박동규, "위모트를 활용한 시지각 장애아동 교육 콘텐츠개발",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1547-1556, 2010.
15 옥수열, "전자주사위 및 손동작 인식을 활용한 아동용 에듀테인먼트 게임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1348-1364, 2011.
16 유한구, 정승일, 이종원, "키넥트 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에 따른 인식 범위 실험",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pp.715-717, 2013.
17 이주원, 오경수, "키넥트를 활용한 요가 학습 콘텐츠",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pp.221-223, 2012.
18 안정호, "제스처인식을 이용한 퀴즈게임 콘텐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 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3권, 제1호, pp.91-99, 2012.
19 고병준, 게슈탈트(Gestalt) 시지각 이론을 바탕으로 한 만화연출 연구 : M. 베르트하이머의 집 단화 이론을 중심으로,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0 김민영, 게슈탈트 이론을 활용한 종이입체조형학습 모형,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1 김경화, 나지영, "우유 Packaging 색채 마케팅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197-210, 2012.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