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4.065

Semiotic Analysis of Film Sound in Hitchcock's <The Man Who Knew Too Much(1956)>  

Park, Byung-Kyu (경기대학교 전자디지털음악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is dealing with sound of Hitchcock's movie <The Man Who Knew Too Much (1956)> from Peirce's semiotic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d Peirce's theory prior to semiotic discussion, and analyzed the three elements of sound(speech, noise, music) depending on the type of sign that he presented. Music is possible to express emotions as an index through intervals. The instrument sound under firstness works as the element of narrative and it may be a dynamic object, transferred to the dicisign of secondness. Also, a word in speech is possible to represent an object allusively through an icon in the film. Noise and music as an index are serving to increase the tension of film. Meanwhile, two different genres of music on the juxtaposition are in charge of narrative function as a dicisign. Thus, Hitchcock's sound has various semiotic qualities of signification depending on the context.
Keywords
Film Sound; Hitchcock; The Man Who Knew Too Much; Film Music;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동환, "영화 사운드디자인의 내러티브 기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2013.
2 크리스티앙 메츠, 이수진 옮김,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2, 문학과 지성사, p.124, 2011.
3 찰스 샌더스 퍼스, 김성도 옮김, 퍼스의 기호 사상, 민음사, p.19, 2006.
4 찰스 샌더스 퍼스, 김성도 옮김, 퍼스의 기호 사상, 민음사, p.21. 2006.
5 찰스 샌더스 퍼스, 김성도 옮김, 퍼스의 기호 사상, 민음사, p.11. 2006.
6 질 들뢰즈, 유진상 옮김,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26, 2002.
7 질 들뢰즈, 유진상 옮김,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25. 2002.
8 질 들뢰즈, 이정하 옮김, 시네마 II 시간-이미지, 시각과 언어, p.73, 2005.
9 James Jakob Liszka, 이윤희 옮김, 퍼스 기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p.73, 2013.
10 James Jakob Liszka, 이윤희 옮김, 퍼스 기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p.78. 2013.
11 찰스 샌더스 퍼스, 김성도 옮김, 퍼스의 기호 사상, 민음사, p.136. 2006.
12 James Jakob Liszka, 이윤희 옮김, 퍼스 기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p.111. 2013.
13 김치수, 김성도, 박인철, 박일우, 현대기호학의 발전, 서울대학교출판부, p.33, 1998.
14 James Jakob Liszka, 이윤희 옮김, 퍼스 기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p.118. 2013.
15 James Jakob Liszka, 이윤희 옮김, 퍼스 기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p.120. 2013.
16 김미애, "바로크 시대의 감정이론에 관한 고찰", 이화음악논집, 제3권, p.36, 1999.
17 J. Ph. Kirnberger, The art of strict musical composition, Yale University Press, p.373, 1982.
18 B. Krohn, Hitchcock at work, Phaidon, p.158, 2003.
19 프랑수아 트뤼포, 곽한주 외 옮김, 히치콕과의 대화, 한나래, p.106, 1994.
20 찰스 샌더스 퍼스, 김성도 옮김, 퍼스의 기호 사상, 민음사, p.239.
21 세미오시스 연구센터, 감정의 코드 감정의 해석,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p.26, 2013.
22 S. C. Smith, A Heart at Fire's Center: The Life and Music of Bernard Herrman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196, 2002.
23 G. Bruce, Bernard Herrmann : film music and narrative, UMI Research Press, p.124, 1985.
24 S. Sadie, ed.,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Vol.15 "Rhetoric and Music", McMillan, p.798, 1980.
25 프랑수아 트뤼포, 곽한주 외 옮김, 히치콕과의 대화, 한나래, p.69. 1994.
26 James Jakob Liszka, 이윤희 옮김, 퍼스 기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p.81. 2013.
27 James Jakob Liszka, 이윤희 옮김, 퍼스 기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p.80. 2013.
28 James Jakob Liszka, 이윤희 옮김, 퍼스 기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p.113. 2013.
29 R. 랩슬리, 이영재 옮김, 현대 영화이론의 이해, 시각과 언어, p.70, 1999.
30 L. Bernstein, The unanswered question : six talks at Harvard, Harvard University Press, p.131, 1976.
31 크리스티앙 메츠, 이수진 옮김,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 문학과 지성사, p.75, 2011.
32 S. Hervey, Semiotic Perspectives, Allen & Unwin, p.36, 1982.
33 P. Wollen, Signs and meaning in the cinema, Indiana University Press, p.141, 1972.
34 C. McArthur, DIALECTIC!, Key Texts, p.38, 1982.
35 S. Worth, "Cognitive Aspects of Sequence in Visual Communication," Audio Visual Review, Vol.16, 1968. (프란체스코 카세티, 김길훈 외 옮김, 현대 영화 이론, 한국문화사, p.200, 2012에서 재인용)
36 G. P. Brunetta, Forma e parola nel cinema, Liviana, 1970. (프란체스코 카세티, 현대 영화 이론, 한국문화사, p.196에서 재인용)
37 B. F. Kawin, Mindscreen, Princeton Univ Press, 1978.
38 김호, "<환타지아>와 <환타지아 2000>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요소와 내러티브 상관관계의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2011.
39 James Jakob Liszka, 이윤희 옮김, 퍼스 기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p.117.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