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3.229

Attitudes towards Death and Euthanasia among Nurses and General Population  

Ko, Gyu-Hee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Cho, In-Sook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towards death and euthanasia among nurses and general popul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92 nurses and 255 peopl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March 5 to May 30. 2010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by using SAS Program 12.0. Results: The attitudes towards deat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nurses than general population. The attitudes towards euthanasi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nurse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s towards death and euthanasia in nurses and. people.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level of cognition towards death,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euthanasia. Besides, nurses treating with terminal illness were higher level of cognition on death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s euthanasia. Therefore, we should established the strategy and education program to understand on death and euthanasia for people including the health care providers.
Keywords
Nurse; Death; Euthanasia; Attitud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정현숙, 일개지역 의사와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 류현주, 간호사의 영적건강, 정신건강, 죽음 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행, 한양대학교 임상간호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 유문숙, 죽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 김지연,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전문간호사와 간호사의 태도, 중앙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 김삼덕, 경기지역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에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 요인 분석, 카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6 O. P. Ryynanen, M. Myllykangas, M. Vien, and H. Heino, "Attitudes towards euthanasia among physicians, nurses and the general public in Finland," Public Health, Vol.116, pp.322-331, 2002.   DOI
7 권혁남, "생명윤리의 관점에서 본 연명치료중단에 의한 연구", 생명윤리, 제10권, 제2호, pp.35-47, 2009.
8 홍명선, "안락사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446-463, 2000.
9 한성숙, 엄영란, 안성희, 김중호, 차성호, 권복규, 구인회, 임종식, 구영모, 간호윤리학, 대한간호협회출판부, 2004.
10 성미혜, 전종철, 모형중, "안락사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종양간호학회지, 제7권, 제2호, pp.140-149, 2007.
11 동아일보, 논의테이블에 오른 '연명치료 중단' 법제화 여부가 쟁점, A23, 2013,06,03.
12 윤영애, 임상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경북대학교대학원 간호학 석사학위논문, 2009.
13 차영례, 간호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도 연구,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4 조옥희, 한종숙, 황경혜, "간호사의 주관적 건강상태,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영적 안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375-384, 2013.   DOI
15 김숙남, "의사와 간호사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정신간호학회지, 제18권, 제2호, pp.137-146, 2009.
16 허향희, 일반인과 간호사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7 김선현, 이혜리, "안락사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6권, 제2호, pp.133-143, 2000.
18 김애경, "간호사의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태도 조사", 기본간호학회지, 제9권, 제1호, pp.76-85, 2002.
19 B. Spika, L. Stout, B. Minton, and D. Sizemore, "Death and personal faith: A psychomeic investigation, Journal for the Scientific of Riligion," Vol.16, pp.169-178, 1977.   DOI   ScienceOn
20 이누미야 요시유키, 사생관 척도개발 및 그 하위 요인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내세관,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생명존중의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21 L. J. Collet and D. Lester, "The Fear of Death and Fear of Dying, The Journal of Psychology," Vol.72, No.7, pp.179-181, 1969.   DOI
22 서혜경, "한 미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노년학회, 제7권, 제1호, pp.39-60, 1987.
23 조지연, 죽음에 대한 불안태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24 장휘숙, "애착과 죽음불안 및 관련변인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제13권, 제1호, 2000.
25 이상목, 김성연, "삶과 죽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연구", 한국생명윤리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18,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