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4.148

Comparison of Local Educational Autonomy between Korea and the U.S.  

Lee, In-Hoi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Ko, Su-Hyung (제주대학교 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analyze local educational autonomy(LEA) between Korea and the U.S. and investigate the new directions that Korea can follow. To do so, a comparative analysis was employed to study the background, development process, principles and structural elements of the respective LEA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 of the Korean LEA should be selected and established. Second, the LEA principles should be discussed again and decided anew to accomplish the goals of the LEA by mobilizing all local potential resources. Third, 'control by people,' one of essential LEA principles,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Keywords
Local Educational Autonomy; Local Autonomy; Control by People; Management by Professional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흥주, 고전, 김이경, 지방교육분권 성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2 박삼철, "지방교육행정기관의 기능과 역할 조정", 지방교육행정체제 선진화 방안 학술세미나 자료집, pp. 97-125, 2010.
3 김용, "지방교육자치제도의 변천과정에 대한 평가와 전망", 교육발전연구, 제27권, 제1호, pp. 89-110, 2011.
4 김종철,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p. 102, 1978.
5 이인회, 이혜정, "교육자치와 일반자치간의 교육협력 발전방안 모색:우수 교육협력사업을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제33권, 제2호, pp. 57-79, 2012.
6 백종억, 주요국의 교육행정제도와 교육개혁 동향, 교육과학사, 2002.
7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1조.
8 조성일, 안세근, 지방교육자치론:이론과 실제, 양서원, 1998.
9 양승실, 지방교육 행.재정 체제 선진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10 J. D. Folt, History of the University of the State of New York and the State Education Department: 1784-1996, Albany, NY: The University of the State of New York and the Board of Regents, 1996.
11 C. Bloomfield, S. Cooper, Re-centralizationor Strategic Management, New York:Teachers College Press, 1998.
12 L. Olson, More Power to Schools, Education Week, Vol. 27, No. 13, pp. 23-26, 2007.
13 이종재, 이차영, 김용, 송경오, 한국교육행정론, 교육과학사, 2012.
14 남정걸,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교육과학사, 2012.
15 고전, "지방교육자치제도 개정에 관한 논의:민주주의, 지방자치, 교육자주 및 제도 원리 관점", 지방자치법연구, 제10권, 제2호, pp. 65-90, 2010.
16 이기우, "지방교육행정기관과 일반교육행정기관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지방자치학보, 제13권, 제2호, pp. 67-81, 2001.
17 이인회, "미국 뉴욕시 교육개혁 동향 분석:교육행정체제 개혁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제26권, 제4호, pp. 77-101, 2008.
18 황아란, 박수정, "미국 교육감 선출제도의 특징과 시사점",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6권, 제2호, pp. 101-122, 2012.
19 박수정, "지방교육자치의 연구 성과와 과제", 교육연구논총, 제33권, 제1호, pp. 119-139, 2012.
20 D. Doyle, B. Cooper, and R. Trachtman, Taking Charge:State Action on School Reform in 1980s, Indianapolis:Hudson Institute, 1991.
21 고승희, "지방자치의식 실태와 정책적 함의", 한국콘텐츠학괴논문지, 제8권, 제1호, pp. 1-8, 2008.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2 M. Kirst, Turning Points:A History of American School Governance. In N. Epstein(Ed.), Who's In Charge Here? The Tangled Web of School Governance and Policy, pp. 14-41, Washington, DC: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4.
23 이종재, "한국 지방교육의 진단과 발전과제", 한국지방교육연구센터 창립2주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pp. 11-34, 2010.
24 M. Fulton, State Notes:State Education Governance Model. Denver: Education Commission of the States, 2013(8).
25 F. Lunenburg, A. Ornste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5th ed), Belmont, CA:The Thomson Cor., 2008.
26 정영수, "한국 지방교육자치제도의 한계 극복", 한국교육학회 뉴스레터, 제46권, 제2호, pp. 1-5, 2010.
27 장성호, "교육감선거의 매니페스토 실현방안", 한국콘텐츠학괴논문지, 제9권, 제2호, pp. 301-308, 2009.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8 김용, "교육자치의 운영제도:지자체장, 교육감, 지방의회, 교육위원회의 관계", 교육비평, 제27권, pp. 10-23, 2010.
29 이차영, "지방교육 자치제도의 기본원리와 운영구조:주장의 끝과 이론의 시작", 교육정치학연구, 제4권, 제1호, pp. 119-158, 1997
30 M. McCarthy, C. Langdon, and J. Olson, State Education Governance Structure, Education Commission of the States, 1993.
31 D. Ravitch, The Great School Wars:A History of the New York City Public Schools(3rd ed.), Baltimore, ML: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