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3.166

The Aspect of Disaster and Aesthetic Cultivation in Film  

Han, Young-Kyun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negative influence by disaster on human's life could be so tremendous. I like to give attention to the disaster, considerable many cases, that disaster was used as stimulation or motivation for artist's creativity, especially in the film among various art activities. The reason I focus on disaster through art activities is disaster is closely related to human's daily life and also aesthetic consciousness. I like to look into the flood disasters' appearances described in the both films, and and the people's aesthetic consciousness expressed from the flood disasters. In the traditional education of the East. 'cultivation' has been used as the meaning of self education which develops mostly one's personality by doing self practice, and self insight meditation. And In the modern western education, cultivation has been identified as the meaning of unique mission, that each human being expresses one's own individuality, that is personality, progressively. I think 'the aesthetic ' already immanence in human's mind. Analysis for The beauty of Kant is also starts from special nature, delightfulness. The aesthetic doesn't appears in sight easely because it always exists in one's bottom of heart like mist. That's the reason we try to reach to the aesthetic through the medium, that's art. Human can achieve aesthetic cultivation which reaches to the aesthetic by having lot of events and experiences in the process.
Keywords
Aesthetic; Aesthetic Cultivation; Self Education; Film; Pleasure Delightfuln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문한, 예술과 윤리의식, 소학사, p.185, 2003.
2 이소영, 인물화의 사의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44, 2006.
3 이중톈, 곽수경 역, 이중톈 미학강의, 김영사, p.103, 2009.
4 이화식, "실러에 근거한 미적 교육 방안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제32호, p.31, 2012.
5 이화식, "실러에 근거한 미적 교육 방안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제32호, p.33, 2012.
6 프리드리히 실러, 안인희 역, 미학 편지 -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실러의 미학 이론, 휴머니스트 출판 그룹, p.123, 2012.
7 이화식, "실러에 근거한 미적 교육 방안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제32호, p.33, 2012.
8 박성봉, 대중예술의 미학, 동연, p.128, 1995.
9 박성봉, 대중예술의 미학, 동연, pp.128-129, 1995.
10 왕필, 노자주, 2장, 美者, 人心之所樂進也.
11 정혜정, 서산 휴정의 삼가귀감에 나타난 심성 이해와 마음도야, 치유와 도야, 마음의 실천적 이해 공동체,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 연구소, p.254, 2013.
12 정영근, "도야 개념의 현대 교육적 의미", 인문과학연구, 제14호, p.3, 2004.
13 정영근, "도야 개념의 현대 교육적 의미", 인문과학연구, 제14호, pp.3-4, 2004.
14 김백만, "성명학(姓名學)에 대한 인식", 새국어생활, 제1권, 제1호. p.116, 1991.
15 Alain, Systeme des Beaux - Arts, Gallimard, "le sentiment du beau," p.10, 1926.
16 이화식, "실러에 근거한 미적 교육 방안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제32호, p.43, 2012.
17 김언종, 한자의 뿌리 2, 문학 동네, pp.790-791, 2001.
18 "孟子" 公孫丑上, 4章, 太甲曰, 天作孼, 猶可違, 自作孼, 不可活.
19 자크 오몽, 영화미학, 이용주 역, 동문선, p.21, 2003.
20 정재서, 이야기 동양신화, 황금부엉이, pp.56-59, 2004.
21 건설교통부, 건설교통재난대책편람, 건설교통부 기술안전국 안전정책과, p.3, 2004.
22 "東國李相國集", 제2권,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 DB) 해당 자료의 한국고전번역원의 번역을 참고 하였다.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23 서형범, "홍수의 서사화를 통해 본 재난서사의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 제36집, p.79, 2012.
24 "歷代名畫記, 卷一", 夫畫者,成敎化, 助人倫, 窮神變, 測幽微, 與六籍同功, 四時並運, 發於天然, 非繇 書畫譜作由, 下同 述作.
25 "禮記", 德成而上 藝成而下.
26 프리드리히 실러, 안인희 역,미학 편지 -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실러의 미학 이론, 휴머니스트 출판 그룹, p.122,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