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1.205

Effect of Bullying-Related Experience upon Bullying Conformity Types: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Lee, Hyun-Ju (김해대학 사회복지과)
Kwon, Soo-Jung (동의과학대학 사회복지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which may operate within bulling-related experience and bulling conformity types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parameter name is ego-resilience.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445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main result are the following. First, bulling-related experiences had a direct influence upon bulling conformity types (attacker conformity to the victims. conformity, bystander) without using the parametric ego-resilience. Expecially, the bulling-related experienc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ttacker conformity.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ing-related experience and bulling conformity types, using the parametric ego-resilience, it was found out that the bulling-related experience have an effect on bulling conformity typ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Concretely, the parametric ego-resilience has increased from victim conformity and bystander, but decreased from attacker conformity.
Keywords
Bulling-related Experience; Bulling Conformity Typescience; ego-resilience; Mediating Effec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경인일보, "집단따돌림 더 이상은 안된다", 2013. 4. 17.
2 국민일보, "경산자살 고교생 괴롭혔던 학생들에게 실형선고", 2013. 8. 23.
3 KBS 뉴스, 2013. 03. 25, 노준철 기자 리포터.
4 J. G. Paker and S. R. Asher,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hood: link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Dev Psychol, Vol.29, No.2, pp.611-621, 1993.   DOI   ScienceOn
5 이상균, "중학생 또래따돌림('왕따')의 예측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37권, pp.357-379, 1999.
6 박나영, 고재홍, "남녀중학생 집단따돌림 발생원천의 성분비교: 사회관계모형분석", 청소년상담연구, 제13권, 제1호, pp.43-54, 2005.
7 서정애, 초등학생의 폭력노출과 비행경험이 집단 괴롭힘 가해행동과 피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8 이혜영, 학생의 집단따돌림 및 괴롭힘 현상에 대한 대책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9.
9 곽금주, "학교폭력 및 왕따예방프로그램",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5권, 제2호, pp.105-122, 1999.
10 한국폭력예방재단, 전국학교폭력실태조사보고서,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1.
11 김현주, 집단따돌림에서의 동조집단유형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03.
12 손향숙, "집단따돌림 지속의 결정요인-피해아동의 대처방식, 사회적지지 및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제12권, 제3호, pp.223-244, 2005.
13 D. Olweus, "Annotation: bullying at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35, pp.1171-1190, 1994.   DOI   ScienceOn
14 고지현, 중.고등학생의 집단따돌림과 자아개념 및 정신건강상태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5 J. Block and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n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Vol.7, pp.349-361, 1996.
16 김영길, 집단따돌림의 실태분석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7 김옥엽, "전라북도 지역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논문집, 제23권, pp.85-124, 1999.
18 D. Olweus, Aggressors and their victims: bullying at school, In N. Frude & H. Gault(Eds), Disruptive behavior in school, New York: John Wiley, 1984.
19 N. R. Crick, J. F. Casas, and M. Mosher,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in pre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3, pp.579-588, 1997.   DOI   ScienceOn
20 S. R. Asher, Recent advances in the study of peer rejection, In S. R. Asher & J. D. Coie (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21 김현미,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제11권, 제4호, pp.518-527, 2002.
22 김혜원, 이해경, "학생들의 집단괴롭힘의 가해와 피해아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심리적 변이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4권, 제1호, pp.45-64, 2001.
23 이은주, "집단괴롭힘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대한 단기종단적 연구, 청소년학 연구, 제11권, 제1호, pp.141-165, 2004.
24 김광수, "경험과학적 용서연구의 반성적 고찰과 제언,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4호, pp.33-39, 2004.
25 최미경, "아동의 또래괴롭힘 및 자아존중감과 외로움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27권, 제4호, pp.133-145, 2006.
26 김예성, 김광혁, "초등학교 아동의 또래 괴롭힘 경험유형에 따른 우울불안, 학교유대감, 공격성의 차이 및 피해경험을 통한 가해 경험변화", 아동학회지, 제29권, 제4호, pp.213-229, 2008.
27 곽금주, "한국의 왕따와 예방프로그램",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4권, 제1호, pp.255-272, 2008.
28 이희경, "문화성향, 공감과 동조가 집단따돌림현상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17권, 제4호, pp.1-25, 2002.
29 이상균,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30 이은경, 유나현, 전주연, 이기학, "개인심리적 특성이 집단따돌림에 대한 동조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연차학술발표논문집, 제1권, 제1호, pp.265-266, 2004.
31 유귀순, 따돌림 아동을 위한 사회적 기술 향상프로그램의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2 김서주, 집단응집력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집단 따돌림에 대한 방관적 태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3 윤성우, 이영호, "집단따돌림 방관자에 대한 또래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6권, 제2호, pp.271-292, 2007.
34 J. H. Block and J. Block,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A. Collins(Ed.). Minnesota symposia an child psychology, Vol.13, pp.39-101, 1980.
35 정성근, 초등학생의 가정폭력경험과 자아탄력성의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6 최윤경, 진혜경, 김종원, "학령기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 아동의 인격성향에 관한 연구.-한국아동인성검사를 이용하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12권, 제1호, pp.94-102, 2001.
37 김용태, 박한샘, 청소년 친구따돌림에 대한 실태 조사, 청소년대화의 광장편,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을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7.
38 M. R. Crick and J. K. Grotpeter, "Children's treatment by peers: victims of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Vol.6, pp.367-380, 1996.
39 임지영, 또래괴롭힘이 아동의 외로움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가정학과 석사학위논문, 1997.
40 김현주, "동조집단 유형화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제5권, 제2호, pp.103-118, 2003.
41 김혜원, 이해경, "학생들의 집단괴롭힘 관련 경험에 대한 예언변인들의 탐색-초.중.고등학생간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제15권, 제1호, pp.183-210, 2000.
42 P. K. Smith and P. Brain, "Bullying in school: lessons from two decades of research," Aggssive Behavior, Vol.l, pp.1-9, 2000.
43 최연희, 김나영, "집단따돌림 피해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14-224.
44 송혜리,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경험 및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5 이현주, 권수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347-355, 2013.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46 박미경,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집단따돌리 경험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7 D. L. Haynie, T. R. Nansel, P. Eitel, A. D. Crump, K. Saylor, K. Yu, and B. Simons-Morton, "Bullies, victims, and bully/victims: Distinct group of at-risk youth,"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21, pp.29-49, 2001.   DOI   ScienceOn
48 구본영, 청소년집단 따돌림의 원인과 지도방안.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7.
49 채호숙,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