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7.27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Da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Elderly  

Ha, Kyoung-Poon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Song, Sun-Hee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da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elderly people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promotion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people was unde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f their family relations, health problems and sense of loss among the subfactors of daily stress. As for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support from friend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at.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boos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ey should be helped to cope with various stress that they face in daily routine life, and a variety of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bolster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In addition, the kind of community programs in which they can participate with their friends should be prepared, and how to provide them with better emotional support should carefully be studied.
Keywords
Elderly; Daily Stress;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안정신, "중.노년기 미국 성인들의 심리적 복지감: 전 생애 발달과정의 부모자녀 관계와 생산감 발달의 영향", 한국노년학, 제25권, 제2호, pp.245-266, 2005.
2 최형임, 채현탁, 송인욱,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스트레스적 생활경험과 절망감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43호, pp.183-202, 2009.
3 고승덕, 손애리, 최윤신,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 제6권, 제1호, pp.145-162, 2001.
4 정미경, 이규미,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낙관주의 및 적응유연성의 경로분석", 한국노년학, 제30권, 제2호, pp.629-642, 2010.
5 이평숙, 이영미, 임지영, 황라일, 박은영, "노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관계", 대한 간호학회지, 제34권, 제3호, pp.477-484, 2004.
6 이정임, 사회적 지지가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7 윤가현, "노년기의 고독감: 자녀와의 갈등에 대한 대처행동", 한국노년학, 제14권, 제1호, pp.17-32, 1991.
8 이소정, 성격, 스트레스 및 대처 그리고 노년기 우울간의 관계,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9 백경숙, 권용신, "노인이 지각한 스트레스, 대처 방법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노인복지연구, 제28권, 제2호, pp.379-402, 2005
10 이혜자, 신명옥, 신윤아, "대도시 여성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인구학적 관련변인", 노인복지연구, 제22호, pp.304-315, 2003.
11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No.2, pp.99-125, 1993.
12 I. G. Sarason and B. R. Sarason,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pplication, Dorrecht, Netherlands; Martinus Nijhoff, 1985.
13 진기남, 조성남, 윤경아, "농촌노인들의 사회적 지원망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제15권, 제2호, pp1-13, 1995.
14 이신숙, 이경주,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2호, pp.1-20, 2002.
15 김효심, 경제상태, 사회적 활동정도, 사회적 지원에 따른 의 생활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16 김정엽, 이제모, "노인교육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48호, pp.7-29, 2010
17 C. D. Ryff and C. L. M. Keyes, "The structure of psychologo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9, No.4, pp.719-727, 1995.   DOI   ScienceOn
18 R. Veenhoven,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24, pp.1-34, 1991.   DOI   ScienceOn
19 통계청, 2011 고령자통계, 2011.
20 T. Farley, A. Galves, L. M. Dickinson, and M. D. J. D. Perez, "Stress, coping and health: a comparison of Mexican immigrants, Mexican-Americans, and non-Hispanic whites," Journal of Immigrant Health, Vol.7, No.3, pp.213-220, 2005.   DOI
21 김효심, 신효식,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일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3권, 제3호, pp.66-73, 1995.
22 J. Cassell, "The contribution of the social environment to host resistance,"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104, No.2, pp.107-123, 1976.   DOI
23 김익균, 김인수, 이형진, 정용민, 최윤신, 노인복지론, 교문사, 2008.
24 D. Sutherland and E. Murphy, "Social support. Among elderly in two community programs," J Gerontol Nurs., Vol.21, No.2, pp.31-38, 1995.
25 김미애, 노인이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6 서현미, 하양숙, "노인의 스트레스원과 스트레스 인지정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간호학논문지, 제11권, 제1호, pp.39-58, 1997.
27 원영희, "동.별거 형태가 한국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15권, 제2호, pp.97-116, 1995.
28 윤현희, 김명자, "남녀노인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 한국노년학, 제14권, 제1호, pp.17-32,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