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6.350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Kim, Young-Suk (고신대학교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Purpose: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t sample of 330 female university students. Results: The mean score for knowledge of breast self-examination was 6.60/17 and attitude toward breast self-examination 42.34/64 and Practice level for breast self-examination was 13.23/24. The level of knowledge was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t=11.013 p<.001), Grade(t=12.725, p<.001), hearing experience of BSE(t=6.661, p<.001), experience of recommendation by others about BSE(t=3.426, p<.001), Educational experience of BSE(t=5.825, p<.001), experience of performance of BSE(t=2.789, p=.005). Practice level was differed significantly by hearing experience of BSE(t=5.250, p<.001), Educational experience of BSE(t=4.493, p<.001), Plan of BSE(F=3.910, p=.013). Slightly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knowledge and practice. Conclusion: The study suggested that we need to develop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for breast self examination to promote practice level of female students in university.
Keywords
Female Students in University; Breast Self-Examination(BSE); Knowledge; Attitude; Practi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L. Baxter, N. Egbert, and E. Ho, "Everyday health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Vol.56, No.4, pp.427-435, 2008.   DOI   ScienceOn
2 이선영, "30대 여성과 4.50대 중장년 여성의 유방암 검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4호, pp.417-455, 2011.
3 박은하, 유방자가검진 참여 교육프로그램이 유방자가검진 이행과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4 한미연, 정재원, "직장여성의 유방암 검진행위 분석",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2권, 제4호, pp.363-370, 2004.   과학기술학회마을
5 허혜경, 박소미, "유방자가검진 행위단계에 따른 의사결정균형과 확신성 비교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493-500, 2004.
6 김미옥, 박영미, "산과 간호사의 유방암과 유방 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88-98, 2011.
7 강현주, 건강신념 모형에 따른 유방자가검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연구,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8 양영희, "중년여성의 유방자가검진 교육이 유방자가검진 지식, 자기효능감 및 수행에 미치 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89-197, 2007.   과학기술학회마을
9 송진미, 성남 안양교육청 중학교 교사들의 건강관련 운동지식과 행동,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0 J. F. Sallis and M. Hovell, "Determinants of exercise behavior," Exercise and Sports Sciences Review, Vol.18, pp.307-330, 1990.
11 민혜진, 여대생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을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2 변영순, 강석은, "20대 여성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과 수행에 관한 연구", 이화간호학회지, 제40호, pp.99-109, 2006.
13 석현아, 염가연, 윤지은. 이승현. 이진아, 이현숙, 최지은, "여대생들의 유방암 및 유방가검진에 대한 지식과 시행정도에 관한 연구", 이화간호학회지, 제42호, pp.23-33, 2008.
14 조홍숙, 중년여성의 유방암 위험 정도와 유방자가검진 지식 및 수행여부와의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5 이경혜, 김현경, 고은혜, 권형지, 김선주, 심소연, 안선례, 이지은, "성인초기 여성의 건강신념과 유방자가검진 양상 연구", 이화간호학회지, 제 40호, pp.23-39, 2006.
16 J. A. Mamon and J. G. Zapka., "Improving frequency and proficiency of breast Self-examination: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 program.," American Journal off public Health, Vol.75, No.6. pp.618-624, 1985.   DOI
17 K. Umeh and L. Jones, "Mutually Dependent Health Beliefs Associated With Breast Self-examination in British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Vol.59, No.2, 2010.
18 유양경, 최순기, 황순정, 김희숙, "생활습관에 따른 유방암의 위험요인",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3권, 제4호, pp.262-272, 2013.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19 V. L. Champion, "Instrument refinement for Research, Vol.42 No.3, pp.139-143, 1993.
20 이은주, 간호사들의 유방자가검진 실천도 관련 요인,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1 이영희, 이은현, 신공법, 송미숙, "국내여성과 미국이주여성의 유방암에 대한 건강신념과 유방자가검진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제2호, pp.307-314, 2004.
22 유근영, 안윤옥, "유방암의 원인", 대한의학협회지, 제35권, 제4호, pp.475-478, 1992.
23 백명, 유방 자가검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7.
24 김미향, 유방암 자가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25 이자형, "20대여성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연구", 이화간호학회지, 제43호, pp.29-40, 2009.
26 양남영, 문선영, "경기지역 여대생이 지각한 유방자가검진의 지식, 자기효능감 및 이행간의 관계", 한국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 제26권, 제3호, pp.22-37, 2009.
27 성미혜, "일부 성인여성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검진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 제21권, 제2호, pp.187-198, 2004.   과학기술학회마을
28 M. N. Fouad, E. Partridge, M. Dignan, C. Holt, R. Johnson, C. Nagy, S. Person, T. Wynn, I. Scarinci, "Targetted intervention strategies to increase and maintain mammography utilization among African American wome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100, No.12, pp.2526-2531, 2010.   DOI   ScienceOn
29 최선미, 일 병원 간호사의 유방자가검진 실천 관련요인, 대전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30 http://www.cancer.go.kr/candat/cms_renewal/english/01/index.html.
31 http://www.kbcs.or.kr/journal/file/2010_2012_Breast_Cancer_Facts_and_Figures_updated.pdf
32 http://www.nhic.or.kr/cms/board/board/Board.jspact=VIEW&communityKey=B0070&boardId=20108
33 http://www.kbcf.or.kr/kbcfInfo/definition.jsp
34 http://www.cancer.org.
35 하귀현, 문영자, "일부 대학생의 식품의 영양 성분 표시에 대한 인지도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2호, pp.291-300, 2008.
36 김애경, "건강행위에 대한 한국청년의 주관성 연구", 대한간호, 제34권, 제1호, pp.50-54, 1995.   과학기술학회마을
37 김은경, 이해정, 안숙희, 정은순, "일부 지역 간호사의 유방자가검진 이행 예측요소", 대한간호학회지, 제22권, 제7호, pp.1047-1056, 2003.
38 황미애, 간호사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과 실천과의 관계,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9 태영숙, 김성진, "간호사의 유방자가검진에 관한 지식, 태도. 실천", 고신대학교 의학부 학술지, 제18권, 제1호, pp.128-141,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