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3.13.12.309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Social Skill Training for Schizophrenic Patients  

Park, Jung-Im (서일대학교 사회복지과)
Lee, Keum-Jin (한양여자대학교 아동복지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 social skills for people with schizophrenia by using method of meta-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up to July, 2013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s a result, a total of 22 studies were eligible for the inclusion criteria. The mean effect sizes and test for homogeneity of effect size(Q-statistic) were analyzed by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ect sizes for total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s were ES=0.838 of interpersonal capacity, ES=0.782 of social behavioral skills, ES=0.601 of self-assertiveness skills, and ES=0.293 of symptoms. Second, by analysing the moderate variables of the effect size for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s, 'a place of training', 'a major of trainer', 'running times' and 'sess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Meta-analysis; People with Schizophrenia; Mean Effect Size; Social Skill Train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구효진, 이봉건, "사회인지 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성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대인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0권, 제2호, pp.381-396, 2011.
2 김귀남,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에 대한 조망적 사회기술훈련과 행동적 사회기술훈련 비교,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 김상운, 정신분열병환자의 사회적 기능향상을 위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4 김승재, 청소년 정신분열병환자의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성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2002.
5 김영란, 낮병원을 이용하는 정신질환자의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6 김윤숙,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7 김윤영, 미술매체를 활용한 사회기술훈련이 정신 분열병환자의 불안, 대인관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8 김은희,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를 대상으로 얼굴표정 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성기술훈련의 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9 김이영, 박현숙, 배성우, "조망지향적 사회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기능과 증상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40-150, 2008.
10 김창곤, "중년기 만성정신분열병환자를 위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 예비 연구", 인지행동치료, 제5권, 제2호, pp.65-74, 2005.
11 김철권, 변원탄 공역, 만성정신과 환자를 위한 정신재활, 하나의학사, 1996.
12 김철권, 조진석 옮김,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사회기술훈련, 하나의학사, 2001
13 박정화,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4 박상규, 손명자,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9권, 제4호, pp.629-643, 2000.
15 방원우, 조망적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16 서지민, "사회기술훈련이 만성 정신분열병환자의 대화기술과 주장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Vol15, No.1, pp.22-30, 2006.
17 서미옥, "메타분석 연구의 고찰과 연구방법론적인 제한", 교육학연구, 제49권, 제2호, pp.1-23, 2011.
18 송진희,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9 송윤화, 인지분화 프로그램과 조망적 사회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정신분열증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0 손임진,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이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회기술 향상과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이학석사학위 청구논문, 2005.
21 양수, 김현실, "사회기술훈련이 만성 정신분열병 입원환자의 대인관계와 주장행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8권, 제2호, pp.331-342, 2000.
22 유승훈,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이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회기술능력 향상과 증상완화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
23 이광식, 현실지향적 사회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의사소통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4 이미경, 정신질환 청소년에 대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25 이용표, "현장과제를 활용한 정신장애인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4권, pp.77-105, 2003.
26 이채영, 정신요양시설에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7 임광례, 사회기술훈련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생활기술, 대인관계와 자기주장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간호학 석사학위논문, 2006.
28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7
29 이랑, 정신분열병환자의 사회적응을 위한 사회 기술훈련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평택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6
30 전석균,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회적응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집, pp.33-50, 1995.
31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32 홍세희, "행동과학 연구 메타분석의 적용", 제 11회 사회복지전문가를 위한 연구방법론 워크샵, 중부재단, 2012.
33 M. K. Benton and H. E. Schroeder, "Social Skills training with schizophrenics: A meta-analytic evalu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8, pp.741-747, 1990.   DOI   ScienceOn
34 A. S. Bellac, "Skills training for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Vol.27, pp.375-391, 2004.   DOI
35 M. N. Dilk and G. R. Bond, "Meta-analytic evaluation of skills training research for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 pp.1337-1346, 1996
36 T. A. Eckman, W. C. Wirshing, S. R. Marder, R. P. Liberman, K. Jphnson-Cronk, K. Zimmerman, and Mintz, "Technique for training schizophrenic patients in illness self-management: A controlled trial.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ic," Vol.149, pp.1549-1555, 1992.   DOI   ScienceOn
37 L. E. Gibbs and E. Gambrill, "Evidence-based practice : Counterarguments to objections," Research of social work practice, Vol.12, pp.452-476, 2002.   DOI   ScienceOn
38 M. M. Kurtz and K. T. Mueser, "A Meta-Analysis of Controlled Research on Social Skills Training for Schizophrenia,"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76, No.3, pp.491-504, 2008.   DOI   ScienceOn
39 S. Pilling, P. Bebbington, E. Kuipers, P. garety, J. Geddes, and B. Martindale, "Psychological treatments in schizophrenia: Meta-analys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social skills training and cognitive remediation," Psychological Medicine, Vol.32, pp.783-391, 2002.
40 M. Pfammatter, U. M. Junghan, and H. D. Brenner, "Efficacy of psychological therapy in schizophrenia: conclusions from meta-analyses," Schizophrenia Bulletin, Vol.32, pp.64-80, 2006.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