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3.13.11.297

Treatment Course of the Historical Trauma -Viewed from the Novel, Uncle Suni by Hyun Ki-young  

Eum, Yeong-Cheol (삼육대학교 교양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thesis is a result of a study of the treatment course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because of the historical incident which is described in the novel, Uncle Suni by Hyun Ki-young. Uncle Suni survived the massacre which happened during the 4.3 Incident in Jeju Island. However, living a buried life, she suffers a historical trauma. To cure her disorder, she had to know the cause of her illness, such as auditory hallucination, mysophobia, etc. The author describes that kinds of patients should be ensured to get help not only in duty of the society but of the country and that historical justice should stand right. Uncle Suni reexperienced the incident when she happened to discover 'the white bones' and 'the lead bullets' while she was working in her 'Ohmpang field'. To cure her illness, she needed to confess her guilt that she had escaped from the massacre, and deep appreciation about the incident, which means she had to testify, and in the course of the testimony, she had to confess her inner feelings. To solve the historical trauma, there should be a recovery of connection between the patient and the society. The course of treatment should go from the patient herself to the realm of the society through which the patient, Uncle Suni can reach the recovery.
Keywords
Uncle Suni; Historical Trauma; Post Stress Disorder; Self-narrative; Condole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양정심, 제주4.3항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 2005.
2 김점곤, 한국전쟁과 노동당전략, 박영사, 1973.
3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6/27/0200000000AKR20130627187100056.HTML?from
4 김학동, "김석범의 한글 '화산도' 론- 한글 '화산도' 의 집필배경과 '까마귀의 죽음' 및 '火山島' 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연구, 제62권, 2007.
5 한순미, "역사적 물음을 구조화하는 이미지의 위상학-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 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제39권, 2009.
6 황상익, "의학사(醫學史)적 측면에서 본 '4.3'", 제주4.3연구, 역사비평사, 1999.
7 김유경, "제주4.3생존자의 트라우마와 미술치료적 접근",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3호, 2012.
8 주디스 허먼, 최현정 역, 트라우마, 열린책들, 2012.
9 왕철, "소설과 역사적 상상력-임철우와 현기영의 소설에 나타난 5.18과 4.3의 의미", 민주주의와 인권, 제2권, 제2호, p.202, 2002.
10 카를 슈미트, 김효전, 정태호 역, 정치적인 것의 개념, 살림, 2012.
11 카를 슈미트, 김향 역, 정치신학: 주권론에 관한 네개의 장, 그린비, 2010.
12 조르조 아감벤, 박진우 역, 호모 사케르: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13 지그문트 프로이트, 윤희기, 박찬부 역, 쾌락원칙을 넘어서,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1997.
14 전찬희, 지용수, "언론의 자유와 명예훼손 구제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161-162, 2012.
15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 선인, 2003.
16 이주미, "현기영 소설에 나타난(火印)의 기억과 역사의식", 현대소설연구, pp.249-250, 2005
17 진은영, 기억과 망각의 아고니즘-기억의 정치학 을 위한 철학적 예비고찰, 시대와 철학, 제21권, 제1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pp.181-182, 2010.
18 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nid=69697
19 양정심, 제주4.3항쟁: 저항과 아픔의 역사, 선인, 2008.
20 강신주, 철학 VS 철학, 그린비, 2010.
21 카를 슈미트, 김효전, 정태호 역, 정치적인 것의 개념, 살림,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