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9.512

Analysis on Textbook Contents & Proposition on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for 'Teaching Practice'  

Kwon, Choong-Hoon (광주여자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Cho, Heung-Soon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Recently, the criterion of teachers' qualification has been changed in Korea. 'Teaching Practice' was included new subject in the teaching training system since 200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extbook contents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for 'teaching practice'. So the study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 First, it is to identify the changes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and the principles of collection on textbook materials. Second, it is to review the trends of the authors' character and the textbook contents on 'Teaching practice'. Finally, it is to proposal the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for 'teaching practice'.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llected 15 textbook published in Korea from 2009 to 2011.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esearchers to present the authors' number, authors' position, the system of chapter topics on the textbook. Based on these finding, the proposition of the textbook writing were present as follows: First, to change the criterion of national documents. Second, to collect the needs on the school fields widely. Third, to grasp the unique identity of subject that is isolated from the previous subjects, Fourth, it is to promote the joint writing form which is include professors and experts in the school field.
Keywords
Teaching Practice; Textbook Content Analysis;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형행, 교육학개론(전정3판), 양서원, p.349, 2011.
2 교육과학기술부, 교원자격검정령, [시행 2012.1.1].
3 교육인적자원부, 학교 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양성제체 개선 방안, 2006.
4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2012.
5 최영희,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교재분석과 개선방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6 손효상,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영어 교과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7 최형찬, 도덕 교과서 연구: 2007 개정 교육과정 중․고 검정 교과서 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8 박경일, "사회복지행정 교재의 검토와 교육의 방향", 한국사회복지교육, 제4권, 제1호, pp.69-95, 2008.
9 이상균, 윤철수,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교육 내용에 대한 분석 : 교과과정 및 교재분석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제18권, pp.53-85, 2010.
10 장인실, "교재분석을 통한 교육과정학의 영역과 발전 동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제23권, 제2호, pp.17-37, 2005
11 조희성, 교직과목의 교재내용과 교육학 시험내용과의 관련성 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2 정진, 성원경, 이춘자, 조인경, "유아교육 전공 및 교직과목 교재를 통한 교과 내용 분석", 유아교육연구, 제27권, 제1호, pp.221-248, 2007.
13 허유성, 이우진, "예비 일반교사를 위한 교직소양과목으로서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에 적합한 내용 탐색",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0권, 제4호, pp.311-330, 2011.
14 R. W. Tyler,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15 권충훈, 김훈희,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 선정 아이디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8호, pp.293-302, 2008.
16 김대현, 교육과정의 이해, 학지사, 2011.
17 김명수, 김보경, 김선혜, 박정환, 백영균, 이태상, 한상훈, 교직실무, 학지사, 2010.
18 한상길, 교직실무, 공동체, 2011.
19 R. Hyman, Approaches in Curriculum, New Jersey: Prentice-Hall, 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