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7.453

Evaluation on Quality of Life in Urban with Weighting Analysis by Cohort  

Kim, Sun-Ho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Cheong, Hye-Young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Lee, Myeong-Hun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of life and provide an objective evaluation, and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ocal population for the realization of the quality of life policies are intended to provide baseline data. This study analyzed to the Development of Quality of Life indicators and weights for ag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first to select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alyzing the primary evaluation criteria. Second, the final evaluation of professional conduct FGI indicators are derived. Third, experts will conduct analysis to target weights. As a result of the first domain-specific weights family safety, economic stability, residential culture, health and welfare, and traffic environment in order. In particular, a family safe zone more than twice that of the other areas appeared to be important. Is determined. Second, age weighted analysis, the higher the age, economic stability, while important, safe area for families, the more the weight of age shows a deterioration. As income increases per capita housing area and the city park area, the exhibition shows the importance of housing across all age, environment, culture, suggests that increasing interest will.
Keywords
Cohort; Qualityof Life; Evaluation; AHP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권용현, "삶의 질(QOL) 평가지표의 구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12권, 제4호, 2008.
2 김용하, 윤강재, 김계연, "OECD 국가 행복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3 김태환 , 김광익, 류승한, 변필성, 황승미, " 자립적 지역발전을 위한 잠재력 분석연구(1)", 국토연구원, 2004.
4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2010년 OECD 통계연보 (Factbook)", 한국개발연구원, 2010.
5 박준화, 지역진단 지표개발 및 발전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6 소진광, 지방자치와 지역발전, 박영사, 2006.
7 유병규, 김동열, 조호정, "소득과 삶의 질 격차 확대되고 있다 - 삶의 질 지수(HQLI) 추이와 시사점",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경제주평, 제476호, 2012.
8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 "지역균형발전 목표설정 및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건설교통부, 2003.
9 윤병식, 정우진, 이현송. 정하정, 한성덕, 박주헌, " 한국인의 삶의 질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
10 이수애, 주관적 삶의 질 설명모형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1 이승철, "도시유형별 삶의 질 수준과 영향요인: 대구,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5 권, 제2호, 2011.
12 이영균,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회보, 제11권, 제4호, 2007.
13 Andrews, Frank M. and Stephen B. Withey,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n's Perception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Press, 1976.
14 C. Augus, P. E. Converse, and W. L. Rodgers,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1976.
15 www.abs.gov.au/quality declarations-a brief summary.
16 www.mercer.com/Quality of Living survey
17 OECD Factbook homepage.
18 이창우, 지역효용에 따른 지역간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 성별, 연령별 인구이동 예측모형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9 이원일, 김상구, 김도엽, "도시성장지표로서의 '삶의 질'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2권, 제1 호, 2000.
20 이현송, " 한국인의 삶의 질", 한국사회학, 1997.
21 임진택, 지방자치단체 주민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시, 군 자치단체의 객관적 지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22 정준금, "지방정부 삶의 질 행정의 실태와 과제: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2권, 제2호, 2008.
23 장영식, 고경환, 손창균, 이수현, "한국인의 삶의 질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24 최열, "대도시 삶의 질과 토지이용간의 상관분석", 국토계획, 제36권, 제4호, 2001
25 하오근, 주거지역 가로망 평가를 위한 통합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6 황명진, 심수진, "한국의 행복지수 개발", 조사연구, 제9권, 제3호, 2008.
2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한국의 사회지표 체계개편 연구", 통계청, 2004.
28 Richard Florida, "Who's your city," Perseus Books Group, 2010.
29 한승희, "계층적 GIS분석 모델링에 의한 주거지 개발 적지선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440-447, 2011.
30 허철행, 김도엽,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른 삶의 질 경정요인 분석", 한국행정논집, 제12권, 제4호, pp.637-655, 2000.
31 Global power city index YEARBOOK 2010, The Mori Memorial Foundation, 2011.
32 Elena G. Irwin, Andrew M. Isserman, Maureen Kilkenny, and M. D. Partridge, "A Century of Research on Rural Development and Regional Issu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92, No.2, pp.522-553, 2010.
33 Wong Cecilia, Indicators for urban and regional planning,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