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4.156

Meaning of 'Writing of Picture' in the Digital Era  

Kim, Ji-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n 2011, in the Olympus advertisement appeared a copy of 'Writing of Picture'. Usually, the verb of 'Shoot' is commonly attached behind the picture, but a new sentence was made connecting 'writing' into the picture in the advertisement. With entrance of the digital era, the digital devices became popular, and the behaviors people post messages and pictures together on the internet site also became popular. Whether we first take a picture and then make a writing later, or whether we first make a writing and then take a picture later, the meaning of 'writing' and 'shooting' is actually alike in the digital era. People now use various images and writings, at the same time, of the pictures in expressing their own selves positively. This soon means not only that the pictures are helpful for writings, but also that the delivery of the meaning is not carried out only by characters. To the digital natives who have grown within many images, this atmosphere is a natural thing.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of making use of the pictures and media for writings is in progress.
Keywords
Digital; Digital Image; Media Language Edu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한정식, 사진과 현실, 눈빛, pp.53-54, 2003.
2 매체철학연구회, 매체철학의 이해, 인간사랑, p.253, 2005.
3 윤영두, 최은영, "디지털 이미지의 미학적 수용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152, 2010.
4 Don Tapscott, Growing up digital:The Rise of the Net Generation, NY:McGraw-Hill, 1998.
5 Seymour Papett, The Children's Machine, NY:Basic Books.
6 심혜련, "매체와 공감각, 그리고 자연적 인터페이스", 미학, 제60집, p.118, 2009.
7 조은하, 이대범, 디지털 스토리텔링, 북스힐, pp.259, 2008.
8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이용 실태조사", 2010.
9 전혜숙, "개념미술 속의 사진들:존 발데사리의 적품을 중심으로", 현대미술사연구, 제14집, pp.204-205, 2002.
10 한국인터넷진흥원, "UCC이용 실태조사", 2007.
11 정현선, "디지털 시대 글쓰기에 있어 '표현도구'와 '매체특성' 이해의 필요성:초등학교 어린이의 사진과 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어문학, 제106집, p.102, 2009.
12 이영준, "디지털 사진에서의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 영상예술연구, 제6집, p.95, 2005.
13 김기국, "사진 텍스트와 몸 기호의 상관성", 기호학연구, 제12집, p.43, 2002.
14 전국국어교사모임 매체연구부, 국어시간에 매체 읽기, 나라말, 2007.
15 최미숙, 이은희,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국어교육학연구, 제28집, p.78, 2007.
16 최숙기, "국어교육과 매체언어 이해교육", 청람어문교육, 제42집, p.69, 2010.
17 정현선, "기호와 소통으로서의 언어관에 따른 매체언어교육의 목표에 관한 고찰", 국어교육연구, 제19집, pp.97-98, 2007.
18 박인기, "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국어교육학연구, 제37집, 2010
19 김정우, "이미지를 중심으로 본 매체교육의 방향", 선청어문, 제28집, p.505, 2000.
20 장화심, 사진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 석사논문, p.38, 2006.
21 한정식, 사진예술개론, 눈빛, p.53,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