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3.123

Acceptance Patterns and Meaning of Tales Appearing on Dance as a Performing Arts Contents for the Journal of Korean Contents  

Jung, Eun-Young (경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Choi, Hyun-Ju (경희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ales are accepted and embodied as a new work in dance as performing arts, which are getting attention for its rapid growth in the area of cultural industries. Major performances of recently created and performed ancient tales including Baridaegi, Chun-Hyang story, Yeonohrangseohnye are analyzed here. With acceptance of tales into dance, vitality of creation by the eternal word of mouth, rich information contained in each tale and the variety of interpretation showed the possibility of a new interpretation based on the existing perspectives. There are three kinds of acceptances: diversification of narrative techniques of the subject, adoption of the issue of moral values as a topic, and acceptance of tradition and national consciousness. To satisfy the fundamental concern about the universe and human, and to create both worldwide and Korean dance contents, the images of tales are being reinterpreted into a new dimension beyond the boundary of time.
Keywords
Performing Arts; Contents; Dance; Acceptance Patters of Tales; Meaning of Tal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2009년 5월 22일 서울시무용단 2009 정기공연 팜플랫 인용.
2 유인화, 춤 6월호, p.124, 2009.
3 설성경, 춘향전, 시인사, p.12, 1986.
4 연합뉴스(2007. 8. 17). 국립무용단 '춤, 춘향'.
5 일연, 이민수 역, 삼국유사, 서울: 을유문화사, p.75, 1996.
6 황윤이, 스토리텔링기법을 활용한 공연예술소재의 교육콘텐츠 개발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pp.199-200, 1994.
8 한국문화경제학회, 문화경제학 만나기, 김영사, p.66, 2001.
9 이문희, 공연제작의 과정과 실무, pp.14-15, 2007.
10 이문희, 공연제작의 과정과 실무, pp.16-17, 2007.
11 김두련, 창작의 세계, 서울: 한성음악 출판사, p.19, 1994.
12 Martin John, The Modern Dance, New York: Dance Horizons Inc, p13, 1993.
13 김복희, 김화숙, 무용론, 서울: 보진재, p.166, 1986.
14 안지형,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을 중심으로 본 무용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4, 2008.
15 우민경, 무용공연의 대중화와 콘텐츠 개발을 위한 제작자 사례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58, 2010.
16 이창식, 구비문학교육론, 동국어문학 6, 동국대학교 국어교육과, p.229, 1994.
17 최운식, 김기창, 전래동화 교육 이론과 실제, 집문당, p.28, 1998.
18 장순덕,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p.19, 2006
19 조동일, 서사민요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70.
20 이현미, 전국 시도립무용단의 한국무용공연에 관한 활용빈도 및 내용분석, 부산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2,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