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2.173

Use and Perception of the Video Contents as Teaching Materials  

Choi, Kyung-Jin (대구가톨릭대학교 언론광고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education method using visual materials such as video contents is getting more attentions in the education field. This study researched how undergraduate students perceive the objective of education method utilizing video contents, what types of education using video contents they put a great importance on, and what kinds of correlations exist between the video contents method and the ability of discussing about a topic in essay-type examinations.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video contents was perceived as one of the attractive teaching methods increasing students' comprehension of lectures. Also, students evaluated that the video contents method c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be exposed to the vivid scene of the journalistic environment and make them learn practical cases at second hand. Moreover, they perceived the video contents method as a very effective learning method improving their ability to discuss about a topic in essay-type exams.
Keywords
Video Contents; Media Contents; Media Edu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정춘, 김은규, 강진숙, "중고등학생들의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미디어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37권, pp.43-72, 2007.
2 문혜성, 미디어 교육학,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4.
3 이정춘, 미디어 교육론: 미디어 시대에 살다, 집문당, 2004.
4 김영순, 미디어 교육과 교과과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a.
5 김영순, 미디어 교육과 교수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b.
6 이성균, 윤영두, "미디어 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모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468-476.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7 D. Buckingham, Media Education: Literacy, Learning and Contemporary Culture, 기선정, 김아미 역, 미디어 교육: 리터러시, 학습 그리고 현대문화, 제이앤북스, 2004.
8 배천웅, 한국청소년의 TV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5.
9 김양은, 안정임, 미디어 교육의 개념 및 학교 미디어 교육의 방향. 한국언론학회 미디어 교육위원회 1차 컨퍼런스 자료집, 2004.
10 강진숙, "미디어 능력 제고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과제와 문제점 인식 사례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1호, pp.91-113, 2007.
11 김기태, "한국 미디어 교육의 성격 분석 및 논의 ", 한국언론정보학보, 제37권, pp.139-167, 2007.
12 D. Baacke, "Medienkompetenz als Netzwerk. Reichweite und Fokussierung eines Begriffs, der Konjunktur hat," medien praktisch, 20.Jg., Heft 7/8, pp.4-10, 1996.
13 강진숙, "미디어 능력의 개념과 촉진 사례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3호, pp.52-77, 2005.
14 최창섭, 미디어 교육론, 나남, 1985.
15 최선열, "비판적 텔레비전 시청 교육 과정에 관한 연구", 신문학보, 제24호, pp.311-362, 1989.
16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보, 제28권, pp.77-110, 2005.
17 http://office.kbs.co.kr/tie
18 안성훈, 박혜영, 고대곤, "교육용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6호, pp.293-300.
19 김양은,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미디어 교육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1.
20 김기태, 미디어 교육의 이해와 활용,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
21 안정임, 전경란, 미디어 교육의 이해, 한나래, 1999.
22 최창섭, 미디어 교육론, 나남, 1985.
23 설진아, 미디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에피스테메, 2008.
24 강진숙, "미디어 능력의 개념과 촉진사례연구. 독일의 연방 프로젝트 "학교를 네트워크로(Schulenans Netz)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9권, 3 호, pp.52-79,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