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2.12.10.054

The Alteration of Female opposant Types Shown in Melodramas -From 1992 to 2011-  

Lee, Hwa-Jeong (부천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pposant of conventional images of women against heroines in the genre of TV melodramas having been produced since 2005. To attain the goal, it investigates the alteration of female opposant types in 27 dramas with female opposant in them among the melodramas positioned high in terms of ratings from 1992 to 2011. As a result, first, after 2005, docile tendencies increased in female opposant. Second, pure and feminine appearance increased. Third, women with conservative sexual consciousness increased. Fourth,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y showed more dependent tendencies. Although female opposant in the past were characterized by strong character, unfeminine attitudes, or dressing up the outside, after 2005, female opposant tended to show characteristics more like heroines' in the past. This research result implies that after 2005, there has been alteration in the paradigm defining female image.
Keywords
Melodramas; Female; Opposant; Female Imag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윤선희, "신데렐라 콤플렉스의 역 전이와 코라: 페미니즘 정신분석학의 시각에서 텔레비전 드라마 다시 읽기", 한국언론학회, 제49권, 제2호, 2005.
2 김승현, 한진만, 한국사회와 텔레비전 드라마. 한울아카데미, 2001.
3 이화정, 한국 TV드라마에 재현된 여성 주인공의 여성상 유형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학과 박사학위논문, pp.55-61, 2011.
4 김훈순, 김은정, "한국멜로영화의 장르연구: 관습의 반복과 변형", 한국방송학보, 제14권, 제1호, p.140, 2000.
5 김영숙, "지배하는 이성과 배려하는 이성이라는 개념쌍을 통해 본 영화 <피아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2011.
6 http://www.imbc.com/broad/tv/drama/samsoon/cast/cast3/index.html
7 이화정, 한국 TV드라마에 재현된 여성 주인공의 여성상 유형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8 김훈순, 김명혜, "텔레비전 드라마의 가부장적 서사전략", 언론과사회, 제12권, 여름호, pp.23-24, 1996.
9 홍지아, "TV드라마를 통해 재현된 여성의 몸 담론", 한국언론정보학보, 제49권, 2010.
10 김훈순, 김미선, "여성 담론 생산의 장으로써 텔레 비전 드라마 - 30대 미혼여성의 일과 사랑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1호, 2008.
11 하윤금, "멜로드라마의 이성애적 서사구조에 대한 해석 <청춘의 덫>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연구, 창간호, 1999.
12 G. Tuchman, "Women's depictions by the mass media," signs, Vol.4, No.3, Spring, pp.528-542, 1979.   DOI   ScienceOn
13 윤태일, "여성의 날씬한 몸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 한국 언론학회, 제48권, 제4호, p.13, 2004.
14 공현희, 행위소 모형과 에니어그램으로 본 캐릭터의 역할과 성격의 상관성 연구:애니메이션의 표현양상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5 조은선, "전후 한국 멜로드라마 담론을 통해 본 영화적 근대성과 근대적 여성상", 문학과 영상, 겨울호, p.232, 2007.
16 박유희, "한국 멜로드라마의 형성 과정 연구-저널리즘에 나타난 '멜로드라마' 장르 개념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 연구, 제38호, p.182, 2009.
17 타니아 모들스키, 1991, 노영숙 옮김, 여성 없는 페미니즘. 여이연,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