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1.11.7.285

Policing for Juvenile Delinquency in Korea  

Lee, Ha-Sub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Jo, Hyun-Bin (순천향대학교 경찰행정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At recent years, juvenile crime that occurred, that young people have done incredibly cruel and serious intelligence community is making a serious scandal.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youth crime under the influence of family environment factors and the hypothetical failure of school maladjustment and school factors due to contact with friends, around the area due to hazardous environment, local surroundings and social factors that committed a crime by were Juvenile crime in the real statistics on the rise again, starting the year 2005, and is increasingly young, violent crimes showed a high percentage increases. In order to prevent juvenile crime, these homes, schools, community work together to raise sustainable alternatives are needed. The police, as well as the maintenance of law and institutions, cooperation of youth organizations, increasing activity, such as removing harmful environmental youth leadership program, the flight needs to be improved. Today, juvenile crime is not simply a matter of police activities, school-linked program, police, community-linked programs, such as police comprehensive preparedness and commitment of the authorities is required.
Keywords
Juvenile Crime; Juvenile Delinquency; Diversion; Removing Hazardous Environm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종수, "소년경찰 업무에 대한 경찰관의 의식 및 역할", 한국공안행정학회, 제25호, pp.177-208, 2006.
2 박은민, "아동학대로 인한 가출.비행 청소년의 현상과 경찰의 조력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1호, pp.316-324, 2009.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3 이창한, "경찰의 소년범 다이버젼에 대한 효과성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37호, pp.345-367, 2009.
4 원혜욱, "소년비행예방센터의 현황과 과제", 소년보호연구, 제12호, pp.69-92, 2009.
5 노호래, "청소년범죄자에 대한 경찰단계의 다이버젼", 법학연구, 제19호, pp.347-366, 2005.
6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백서, 보건복지가족부, 2009.
7 박상주, "경찰의 청소년비행예방 활동에 있어 유관기관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33호, pp.135-168, 2008.
8 이수정, "경찰단계에서의 범죄소년 다이버젼을 위한 비행성 평가절차의 재범예측력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21권, 제2호, pp.47-57, 2007.
9 곽대경, 청소년비행론, 청목출판사, 2009.
10 석청호, "경찰관의 비행청소년 처리태도에 관한 연구", 민간경비학회보, 제5호, 2005.
11 이수정, "청소년비행의 발생현황과 사법처리 상의 문제점 및 보완책", 경기교육논총, 제16호, 2007.
12 경찰청, 경찰백서, 경찰청, 2010.
13 김종양, "비행청소년 선도를 위한 경찰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제6호, pp.37-61, 2003.
14 이종복, "청소년 비행방지를 위한 경찰의 유해환경 정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1권, 제2호, pp.81-100, 2001.
15 이수정, "경찰단계에서의 다이버젼 대상 범죄소년의 비행성 평가", 경기교육논총, 제15호, pp.37-60, 2006.
16 김 경, "청소년 비행행동에 있어서 부모요인과 친구요인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연구", 청소년 복지연구, 제12권, 제4호, pp.1-21,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