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1.11.12.68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Publicity for Stairs in the Office Buildings  

Lee, Kyung-Eun (한세대학교 디자인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stairs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exploring desirable directions for stairs' designs by analyzing the architectural publicity characteristics for stairs in the office buildings. The research method was as follows: 1) Preparatory study and literature reviews to extract the elements of architectural publicity 2) Based on the elements of architectural publicity, each stairs in the office building was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show that the stairs of office building built since 2000 were characterized by improved architectural publicity. It was concluded that the stairs in an office building should accommodate and provide architectural publicity characteristics such as approachability, openness and amenity for enhancing the interactive atmosphere within the people in the office building.
Keywords
Publicity; Approachability; Openness; Amen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창훈, 건축물의 오픈 스페이스를 통한 '공공성' 증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6.
2 임상진, 건축적 공공성의 구현에 관한 연구, 서울 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1997.
3 장은영, 랜드스케이프건축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2002.
4 차홍년, 공공성 향상을 위한 고층 오피스빌딩 저층부의 전이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논문집, 2004.
5 최기원, 지역문화시설의 공공성과 계획 요소에 관한 연구, 서울대, 2005.
6 김해창, 어메니티, 도서출판 따님, 1998.
7 C. Norberg-Schulz, 김광현 역, Meaning in western Architecture, Rizzoli.
8 J. E. Gibson, "A Systemic Approach," Wiley-Interscience Publisher: New York, 1977.
9 박정아, 도시 복합용도시설의 건축적 '공공성'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 2008.
10 신중진, 초고층건물의 공공성 증진을 위한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10, 2004(10).
11 오영석, 도심 오피스 빌딩의 공공편의를 고려한 공용공간 계획, 충남대학교, 1999.
12 윤지혜, 김정곤, 실내공적공간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6(10).
13 이승우, 계단의 공간적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3(8).
14 이은비, 도시건축공간을 통한 도시건축 공공성 확보방안-서울시 서초구 사무건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