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0.10.2.402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Related with the Level of Activity and the Grade of Activity in the Elderly Residing among City, Farmimg and Fishing Area  

Lee, Taek-Young (한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Kim, Jin-Kyung (한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ctivity in the elderly residing in city and rural area and to determine the contributing factors to quality of life (QOL). Subjects were 537 who were older than 60 years of age. QOL was assessed by the SF-36, and the level of activity was assessed by the Korean Activity Checklist. QOL in the elderly residing in city was higher than that in the elderly residing in rural area, and the level of activity was also higher in the elderly residing in city i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low and high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activity compared with the elderly residing in rural area.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activity and QOL. The contributing factors to QOL were QOL lower level scores, the Korean Activity Checklist scores, health status, and occupation in the elderly residing in city, whereas the contributing factors to QOL were QOL lower level scores, the Korean Activity Checklist scores, health status, age, and level of education in the elderly residing in rural area.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environment in that the elderly can enjoy meaningful activity should be constructed and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Keywords
the Elderly; Farming and Fishing Area; City; Quality of Life; Meaningful Activ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L. I. Pearlin and J. S. Johnson. "Marital status, life strains, and depression," Am Sociol Rev, Vol.42, pp.704-715, 1977.   DOI   ScienceOn
2 고승덕, 조숙행,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요인추출”, 한국노년학, 제17권, 제2호, pp.17-36, 1997.
3 문명자, “재가노인의 일상생활기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제4권, 제1호, pp.46-57, 2001.
4 박소연, 김진경, “SF-36을 이용한 산업재해 환자의 삶의 질 평가”,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6권, 제2호, pp.73-90. 2008.
5 G. Kielhofner, "A Model of Human Occupation: Theory and application," 4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2007.
6 오승환, 윤동성,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농어촌지역을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32권, pp.119-147. 2006.
7 석소현, 김귀분,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비교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11-321, 2008.
8 Y. Funaki, F. Kaneko, and H. Okamura,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es in quality of life of demented elderly persons in group homes," Scand J Occup Ther, Vol.12. pp.4-9. 2005.   DOI   ScienceOn
9 현승권, “노인의 건강행동과 삶의 질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6권, 제3호, pp.133-144. 2006.
10 윤순덕, 박공주, 이동현, 윤성인, “농촌.도시 노인의 삶의 질 비교분석”, 서울: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5.
11 최정신, “농촌노인의 일상생활과 삶의 질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19권, 제3호, pp.121-139. 1999.
12 전봉천, 남철현, 최상규, 신두만, 김기열, “대도시 노인의 삶의 질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보건연구, 제31권, 제2호, pp.124-137. 2005.
13 서병숙, “노후적응에 관한 연구: 생활만족도 및 가족의 교류도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14 N, R. Smith, G. Kielhofner, and J. H. Watts, "The relationships between volition, activity patter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Am J Occup Ther, Vol.40, pp.278-283, 1986.   DOI   ScienceOn
15 K. F. Schuessler and G. A. Fisher, "Quality of life research and socilogy," Annu Rev Sociol, Vol.11, pp.129-149, 1985.   DOI   ScienceOn
16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 요인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2호, pp.197-222.
17 N. R. Hooyman and H. A. Kiyak. "Social geront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Allyn and Bacon, 2002.
18 김수옥, 박영주, “지역사회노인의 건강행위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2권, 제1호, pp.59-71. 2000.
19 손신영,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 제26권, 제3호, pp.601-615, 2006.
20 김태일, 김준희, “노인대학 수상생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1권, 제4호, pp.285-292. 2007.
21 김숙경, “농촌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제23권, 봄호, pp.179-202, 2004.
22 김태현, 김동배, 김미혜, 이영진, 김애순,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II)”. 한국노년학, Vol.19, No.1, pp.61-81, 1999.
23 이형석, 김도관, 고혜정, 구형모, 권의정, 김지혜, “노인삶의질척도의 표준화”,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2권, 제4호, pp.859-881. 2003.
24 G. V. Padilla and M. M. Grant, "Quality of life as a cancer nursing outcome variable," Ans Adv Nurs Sci, Vol.8. No.1, pp.45-60, 1985.   DOI
25 김애련, 채옥희,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5권, 제1호, pp.49-60. 2001.
26 박승한, 류호상, 김규호, 허용, 장지영, “노인들의 신체활동과 삶의 질”, 제16권, 제6호, pp.197-204. 2005.
27 M. C. Baum and D. Edward, "Activity Card Sort," St. Louis, Missouri: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000.
28 이택영, 정민예, 유은영, 정보인, 장세진, 남은우, “작업모델(Model of Human Occupation)을 중심으로한 노인의 활동 수준과 삶의 질”,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16. 2009.
29 남봉현, 이승욱, “건강수준 측정도구 SF-36의 타당성 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통계학회지, 제28권, 제2호, pp.3-24.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