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Use of Traditional Mask Images in Design Development for Fashion-Cultural Products  

Kim, Sun-Yo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v.19, no.3, 2011 , pp. 460-47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paper developed motifs through the use of images of masks with which the Korean innate consciousness of aesthetics is expressed. The motifs were applied to fashion item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ncept, origin and types of traditional masks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Using the computer graphic programs of Illustrator and Photoshop CS2, three basic motifs were set from the images of the nobleman, Bune of Hahoi Tal and Byeongsan Tal. Each motif was extended into two motifs by changing shape and color. For the basic motif design, this study sought to express contemporary images, suitably for each fashion item, while maintaining the basic shape of the masks and their traditional images. In addition, this study set the concept of the design so that could be accepted by various age groups. For the design of handkerchiefs, a rotating array, involving enlargement, reduction, repetition, and the gradation of motifs, as well as a diagonal symmetric array, and all-over patterns were developed. The T-shirt design created here was divided into a half-sleeve box type, a round neckline sleeveless type, a V-neckline close-fitting sleeveless type, and a V-neckline close-fitting cap sleeve type. For the design of necklaces, OLED or LED, which are considered as a future display type, was used. Additionally, the production of an entertainment styled new atmosphere is proposed.
Keywords
Hahoi Tal; Byeongsan Tal; fashion culture goods; OLED; LED;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시정 (2003). "한국 전통 탈의 감성표현기법과 적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국립민속박물관 (1982). 한국의 탈. 서울: 통천문화사.
3 김선영 (2008). "현대패션에 나타난 가면의 형태와 특성." 복식 58권 4호.
4 "한국탈의 역사" (2010년 6월 [2010년 7월 13일 검 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mask. kr
5 "한국탈춤자료" (2010년 7월 [2010년 7월 13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maskdance.com
6 "전통탈" (2010년 7월 [2010년 7월 13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koreagood.net/www.minsokmadang.com/www.koreasang.co.kr/www.gaya365.co.kr/www.auction.co.kr/www.talbang.com/www.festivalshop.or.kr
7 Ingelore, E. (1984). Musken und Maskierung, Kult, Kunt and Kosmetik. Koln: Vonden Naturvilkern bis zur Gegenwart.
8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시장동향" (2010년 5월 [2010년 7월 13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unitronics.co.kr
9 "서낭신제탈" (2010년 6월 [2010년 7월 13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mask.kr
10 "하회탈의 개관" (2010년 5월 [2010년 7월 13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talbang.com
11 "하회탈 및 병산탈" (2010년 7월 [2010년 7월 13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cha.go.kr
12 "한국의 탈" (2010년 6월 [2010년 7월 13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mask.kr
13 이정민 (2009). "한국 전통 탈의 조형성을 활용한 분장 디자인." 복식 59권 4호.
14 이화순 (2005). "한국 전통 탈의 조형미를 응용한 아트 메이컵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권 2호.
15 임재해 (1994). 한국민속과 오늘날의 문화 . 서울: 지식산업사.
16 제갈미, 이연희 (2008). "미디어아트를 이용한 패션액세서리 디자인." 복식 58권 4호.
17 전원희 (1992). "섬유로 표현한 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경희, 이미숙 (2010). "문화 관광 축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전략 연구 제2보." 복식 60권 2호.
19 정병선 (2002). "문화상품 대중화를 위한 전략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채하연 (2003). "문화상품으로서의 탈춤의 엔터테인먼트적 기능과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한국박물관연구회 (2001). 한국의 박물관 1. 서울: 문예마당.
22 황병권 (2007). "탈의 제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민혜원 (2003). "한국의 탈을 형상화한 타피스트리표현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서경현 (2000). "한국인의 탈에 나타난 미의식과 전통미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심우성 (1995). 탈 . 서울: 대원사.
26 심이석, 김영수 (1993). 한국의 나무 탈. 서울: 열화당.
27 이나영 (2004). "한국의 전통적 탈에 관한 조형성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두현 (1989). 한국의 가면극 . 서울: 일지사.
29 이인호 (20089).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IT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