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Comparative Analysis of Upper-Torso Bodice Pattern for Elderly Women of Her Late 60s - On the Focus of Bunka and New Bunka Style Basic Pattern -  

Moon, Soon-Ei (Dept. of Clothing & Testil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ark, Kil-Soon (Dept. of Clothing & Testil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v.18, no.6, 2010 , pp. 1242-125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esigning method with excellent body suitability by analyzing clothingwearing porosity, comparing and analyzing patterns, and evaluating outer appearances by designing a prototype of study applied with design measurements for categories that have influence on the outer appearance of clothing through diverse research methods, by comparing and analyzing bunka and new bunka style basic pattern, which are proportional basic patterns most frequently used in schools for educational use to design bodice pattern for elderly women in their late 60s. As for the process of this study, the first stage selected study subjects, measured bodies. The second stage compared patterns of bunka and new bunka style basic pattern and evaluated outer appearances that deduced important pattern designing categories to design upper-torso bodice pattern of elderly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bunka and new bunka style basic pattern, overall evaluation of outer appearance was excellent for new bunka style basic pattern, and bunka basic pattern received better reviews for the width and depth of front neck. In terms of waist circumference, waist front length, bust point location and bust point-bust point, bunka and new bunka style basic patter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new bunka style basic pattern had 4.5cm larger front armhole depth than bunka basic pattern, so it was evaluated to have more appropriate front armhole length, bust point location, and bust point-bust point. Through observation for primary excellent categories and precedent studies, 7 categories of front neck width, front neck depth, front interscye, back neck width, back neck depth, back interscye, and back armhole depth were deduced to have relations to the extra room around arm holes and waist that affect pattern designing method and porosity and evaluations of outer appearance.
Keywords
elderly women; bunka basic pattern; new bunka basic pattern; comparative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최인순 (2002). "노년 여성의 상반신 체형 특성과 상의원형 설계." 생활과학논집 6권 1호.
2 통계청자료 (2006). 통계자료조사. http://www.kosis.nso.go.kr/
3 함옥상, 정혜락 (2000). "중년 여성을 위한 기본 원형설계." 한국의류학회지 24권 1호.
4 김소라 (2003). "중년 여성의 상반신 측면 체형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권 11호.   과학기술학회마을
5 강순희, 서미아 (2006). 의복의 입체구성. 서울: 교문사.
6 구본정 (2007). "신축성 유무와 소매산의 높이에 따른 동작기능성에 관한 연구: 여고생 하복 블라우스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권영희 (1986). "노년기 여성을 위한 Skirt 원형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유덕, 김미영 (2004). "중.노년층 여성의 의복추구 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8권 6호.   과학기술학회마을
9 김인순, 성화경 (2002). "노년기 여성의 체형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권 1호.   과학기술학회마을
10 김혜경 (1993). "노년 여성의 체형분석에 따른 의복 설계." 생활과학논집 7권.
11 김희숙 (2001). "성인여성의 頸部 및 肩部의 유형에 따른 길원형 및 칼라원형의 설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권 5호.
12 배주형 (2006). "노년 여성을 위한 재킷패턴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2005). 제5차 한국인 인체 치수조사자료: 직접측정에 의한 인체치수통계.
14 三吉滿智子 (2002). 복장조형학 이론편. 서울: 교학연구사.
15 이소영 (2003). "60대 노년 여성의 체간부 체형 분류 및 길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영주 (2001). "신․구 문화식 원형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논문집 22권 1호.
17 이영주 (2003). "60대 남녀노인의 신체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권 9/10호.   과학기술학회마을
18 이용재 (2003). "노년기 여성의 체형에 관한 연구: 65-75세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정임, 주소령, 남윤자, 문지연 (2002). "노년 여성의 표준치수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권 1호.   과학기술학회마을
20 이종남 (1982). "노년기 여성의 의복제작을 위한 체형연구: 주성분 분석에 의한 분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효진 (1986). "노년기 여성의 슬랙스제작을 위한 원형연구: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정삼오, 김수아 (2006). "실버의류 기성업체의 실태 조사 연구." 복식 56권 4호.   과학기술학회마을
23 최선윤, 이정란 (2003). "성인여성의 등면 형상 유형화와 길원형 설계." 한국의류학회지 27권 7호.   과학기술학회마을
24 조현정 (2001). "중년 여성을 위한 토루소 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 복식 51권 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