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233/jksc.2014.64.4.150

A Study on the Effects of Wearing of a Black Dress and Accessories on Image Perception  

Kim, Sungmin (Dept. of Clothing, Sungshin Women's University)
Lee, Myoung-Hee (Dept. of Clothing, Sungshin Wome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64, no.4, 2014 , pp. 150-16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image perception,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age and income inferences according to the wearing of accessories with black dress. A quasi-experimental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2{\times}3{\times}3$(necklace${\times}$earrings${\times}$corsage) factorial design. The subjects were 610 fe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Seoul. The model in the stimulus photographs was a woman with straight long hair. She wore a black one-piece dress with round neckline and short sleeve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wearing of a necklace enhanced individuality, attractiveness, and cuteness in women. Professionalism and individuality were heightened when she wore an earring. The red corsage enhanced individuality, but it had a negative effect in professionalism. As for the effect on interaction, attractiveness was more highly perceived when both necklace and large earrings were worn without a corsage. The absence of both necklace and earrings led to a low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ttractiveness, and individuality. The wearing of a necklace was more strongly linked to older age and high income than not wearing it, and it was perceived as more youthful if earrings were not worn. As for interactions, the wearing of small earrings and a red corsage was linked to the oldest age.
Keywords
accessory; corsage; earrings; image perception; neckla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9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혜원 외 (2012), 의상사회심리학 (제3판), 파주: 교문사, p. 323.
2 이소라, 김재숙 (2008), 의복의 색과 문양이 의복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7), pp.1160-1168.
3 조필교, 정혜민 (1998), 패션디자인과 색채, 서울: 전원문화사, pp. 79-81.
4 Lennon, S. J., & Miller, F. G. (1984-85), Attire, physical appearance, and first impressions: More is less, Clothing & Textiles Research Journal, 13(1), pp. 1-8.
5 오희선 (2005), 재미있는 패션 이야기, 서울: 교학연구사, pp. 83-85.
6 김일분, 유태순 (1999), 의복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복식, 45, pp. 103-119.
7 정수진, 최수경 (2009), 귀걸이, 네크라인, 헤어스타일의 코디네이션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지, 18(2), pp. 535-545.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8 백진주, 박천호, 곽병화 (1995), 우리나라 꽃장식의 화료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화훼연구회지, 4(2), pp. 63-72.
9 오종은 (1995), 신세대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4.
10 이미연 (1999), 디자인 요소에 따른 웨딩드레스의 이미지 지각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53.
11 이경림, 박숙현(2006), 의복의 조형요소에 따른 모던 이미지 분류, 한국의류학회지, 30(8), pp. 1222-1233.
12 정해선, 강경자 (2004), 헤어스타일, 길이와 모자유형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8(3/4), pp. 460-471.   과학기술학회마을
13 Thurston, J. L., Lennon, S. J., & Clayton, R. V. (1990), Influence of age, body type, fashion, and garment type on women's professional image,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9(2), pp. 139-150   DOI
14 이웅휘, 강경자 (1997), 원피스 드레스의 소매와 스커트 폭, 길이 변화가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1(8), pp. 1060-1071
15 이미연 (1999), 디자인 요소에 따른 웨딩드레스의 이미지 지각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4
16 김선영 (2007), 현대 패션에 나타난 리틀 블랙드레스의 미적 특성: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복식, 57(4), pp. 18-29.
17 박민아, 고현진 (2013), 레드 카펫 패션 스타일: 2000-2012년 아카데미 시상식과 그래미 시상식 비교를 중심으로, 복식, 63(2), pp. 14-28.
18 김수영, 이연희 (2010), 현대 패션 액세서리에 나타난 키치(Kitsch) 특성의 유희성,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1, pp. 140-143.
19 Birren, F. (2012), 색채심리, 김화중 역, 서울: 동국출판사, pp. 183-184.
20 김영인, 문영애, 한소원 (2000), 한국 성인남녀의 의복 선호색, 한국의류학회지, 24(7), pp. 1225-1151
21 류숙희, 최재란, 박종희 (2000), 의복색채에 의한 시각적 평가: 무채색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과학논집, 25, pp. 105-117.
22 최수경 (2010), 의복과 헤어스타일의 추구이미지에 따른 성인여성의 액세서리 착용 및 화장 정도,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1), pp. 336-344.
23 김혜경 (2008), 패션트랜드와 이미지, 서울: 교문사, p. 4.
24 조기년 (2004), 직장여성의 외적 Self Image Making 인식 정도에 관한 연구, 대구카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7-23.
25 신주동, 최종명 (2008), 여대생의 신체 만족도와 이미지에 따른 외모관리행동과 장신구 착용, 복식문화연구, 16(2), pp. 305-318.
26 한명숙 (2004), 남.여 대학생의 두발, 신발, 장신구의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 선생님과 학생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11), pp. 1401-1414.
27 이명희 (2006), 액세서리 착용이 여성의 전문성 및 매력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9(2), pp. 127-138.
28 윤영애 (2005), 액세서리에 따른 이미지 지각의 차이: 귀걸이 재료와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패션뷰티학회지, 3(3), pp. 1-10.
29 최경원, 김세나, 유재부 (2005), World fashion designer story, 서울: 패션인사이트, p. 31.
30 이명희, 송원영 (2011), 안경, 귀걸이, 헤어 길이와 의복 색이 20대 여성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여대생들의 평가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9(6), pp. 1221-1234.   과학기술학회마을
31 이명희, 강승희 (1998), 장신구와 재킷색이 여성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2(8), pp. 1111-1121.
32 박종희, 최재란, 류숙희 (2000), 4가지 무채색 의복의 형태변화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4(8), pp. 1177-1186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