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Hakchangui, the Scholar's Robe with Dark Trim  

Park, Sun-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Hong, Na-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61, no.2, 2011 , pp. 60-7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Hakchangui worn in Joseon around the 18th century and furth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nese Hakchang and Joseon Hakchangui, as well as to figure out spread factors of Hakchangui. The study proceeded as follows: 1)The Hakchangui was examined those appearing in the collections of works and paintings after the 17th century. 2)The Zhuge Liang's Hakchang was researched through Romance of Three Kingdoms, paintings and sculptures. 3)The images of Hakchangui wearers described in literature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symbolic meanings of Hakchangui in Joseon those days. Those research efforts revealed four findings: 1)In many cases, the Hakchangui worn in Joseon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has side slits, but no back slit. It's both sides of the center front were parallel, not overlapped. 2)Hakchangui was strange to the Joseon people until the end of the 18th century but started to permeate among those who liked classic style. 3)The aspects of Zhuge Liang were standardized in the combination of 'Yungeon, Hakchang, a feather fan and a wagon' in Romance of Three Kingdoms. 4)Zhuge Liang was considered as a symbol of wisdom and loyalty and had an image of a Taoist hermit who transcended the mundane world.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findings led to two following conclusions: 1)ln Joseon the Chinese Hakchang was introduced to people who had exchanges with Chinese or liked classic style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and gradually spread by their advocates. 2)The Hakchangui must have been increasingly worn by more Joseon scholars because they started to borrow the image of Zhuge Liang driven by the popularity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tendency of reinforcing Zhuge Liang's image as a loyal subject by the kings of Joseon.
Keywords
Hakchangll; Scholar's Robe; Tongshinsa; Zhuge Liang; 18th centur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네이버 사전. 자료검색일 2010. 3. 19. 자료출처 http://100.naver.com/100.nhn?docid=86074
2 국내최초 '삼국지연의' 나왔다. 한겨레2010. 1. 18 자료검색일 2010. 3. 19. 자료출처 http://www.hani .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399673.html
3 김만중. 서포만필. 홍인표 역 (1987). 서포만필. 서울:일지사, pp. 384-385.
4 김구용 역 (2002a). 정본완역삼국지2. 서울: 솔출판사, pp. 294-296
5 羅貫中(1971). 中國古典名著 第11卷 三國演義. 臺北: 三民書局, p. 181.
6 김구용 역 (2002b). 정본완역삼국지3. 서울: 솔출판사. p. 127
7 羅貫中(1971). 中國古典名著 第11卷 三國演義. 臺北: 三民書局, p. 235.
8 김구용 역 (2002c). 정본완역삼국지6. 서울: 솔출판사. p. 128
9 羅貫中(1971). 中國古典名著 第11卷 三國演義. 臺北: 三民書局, p. 568.
10 김창업 (1713). 연행일기. 민족문화추진회 (1976a). 국역연행록선집4.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236-237(八一)
11 김경선 (1833). 연원직지. 민족문화추진회 (1977a). 국역연행록선집10.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417(一六二)
12 서유구. 임원경제지. 서유구 (1983). 임원경제지二. 서울: 보경문화사, p. 431.
13 유희경, 김문자 (2000).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239.
14 이익. 성호사설. 민족문화추진회 (1977b). 국역성호사설 V.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19-20(三)
15 유송옥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수학사, p. 241.
16 윤미화 (1982). 창의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희정 (2001). 조선후기 편복포에 관한 연구: 형태, 종류의 다양성이 주는 의미.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민주 (2005). 옥소(玉所) 권섭(權燮)의 학창의에 관한 연구: 옥소고(玉所稿) 소재 학창의 관계자료를 대상으로. 복식문화연구, 13(2), pp. 269-279.
19 이은주 (2008). 임하필기의 복식 문화. 문헌과 해석, 43, pp. 183-197.
20 송시열. 송자대전. 민족문화추진회 (1981). 국역송자대전XIV.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236-237(一○一-一○二)
21 권상하. 한수재집. 민족문화추진회 (1991a). 국역한수재집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325(一○五)
22 송시열. 송자대전. 민족문화추진회 (1993). 한국문집총간112-송자대전V.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484.
23 김육 저․김상수 역 (2007). 잠곡김육문중소장고문서: 실학박물관 기증기념 도록. 수원: 경기문화재단, p. 9.
24 민족문화추진회 (1992). 현종개수실록8.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37(八)
25 김인겸 (1764). 일동장유가. 최강현 역 (2007). 일동장유가. 서울: 보고사, p. 112.
26 김지남, 김경문. 통문관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국역통문관지1.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 302(八八)
27 서영보, 심상규 (1808). 만기요람. 민족문화추진회(1971). 국역만기요람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603(二一九)
28 민족문화추진회 (1989). 신증동국여지승람6. 서울: 민문고, p. 480
29 민족문화추진회 (1967). 국역 연려실기술IX.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58(631)
30 민족문화추진회 (1991b). 현종개수실록3.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29(二六)
3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2). 영조실록23.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 37(七)
32 민족문화추진회 (1995). 국역국조보감V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187-188(八八)
33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3). 정조실록11.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 168(三三), p. 195(三九)
34 최덕중 (1713). 연행록. 민족문화추진회 (1976b). 국역연행록선집3.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66(九五)
35 김구용 역 (2002d). 정본완역삼국지4. 서울: 솔출판사, p. 61
36 홍대용. 담헌서. 민족문화추진회 (1985). 국역담헌서IV. 서울: 민족문화문고간행회, p. 34(四)
37 김구용 역 (2002c). 정본완역삼국지6. 서울: 솔출판사. p. 350-353.
38 羅貫中(1971). 中國古典名著 第11卷 三國演義. 臺北: 三民書局, p. 638.
39 김구용 역 (2002c). 정본완역삼국지6. 서울: 솔출판사. p. 80, p. 161, p. 177, p. 288, p. 294
40 羅貫中(1971). 中國古典名著第11卷三 國演義. 臺北: 三民書局, p. 321, p. 553, p. 579, p. 584, p. 601, p. 620.
41 김구용 역 (2002e). 정본완역삼국지7. 서울: 솔출판사, p. 54, pp. 304-305
42 羅貫中(1971). 中國古典名著 第11卷 三國演義. 臺北: 三民書局, p. 664, pp. 738-739.
43 김구용 역 (2002e). 정본완역삼국지7. 서울: 솔출판사, pp. 282-284.
44 羅貫中(1971). 中國古典名著 第11卷 三國演義. 臺北: 三民書局, p. 732.
45 이전원, 이소선 저, 손경숙, 김진철 역 (1997). 삼국지 고증학 1. 서울: 도서출판 청양, pp. 177-184.
46 이전원, 이소선 저, 손경숙, 김진철 역 (1997). 삼국지 고증학 1. 서울: 도서출판 청양, p. 179.
47 심백준․담량소 편, 정원기 외 역 (2000). 삼국지사전, 서울; 범우사, p. 503.
48 김원중 역 (1994). 정사 삼국지 제5권 촉서. 서울: 신원문화사.
49 정원기 역 (2000). 삼국지평화. 서울: 도서출판청양.
50 成都武侯祠 자료검색일 2010. 1. 13 자료출처 http://www.wuhouci.net.cn/PhotoShow.asp? TypeClass=Photo&PhotoID=12
51 서성 (2010). 삼국지, 그림으로 만나다. 서울: 천지인. p. 164.
52 서성 (2010). 삼국지, 그림으로 만나다. 서울: 천지인. p. 497.
53 편자미상(편년미상). 중국역사회모본(支那歷史繪模本), p. 40
54 서울역사박물관 (2008). 우리의 삼국지 이야기.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pp. 28-29.
55 서울역사박물관 (2008). 우리의 삼국지 이야기.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pp. 92, p. 96.
56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편 (2008). 왕의 글이 있는 그림: 御製,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25.
5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8). 숙종실록15.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p. 44-45(八)
58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편 (2008). 왕의 글이 있는 그림: 御製,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24.
59 김육. 잠곡유고. 민족문화추진회 (1998a). 잠곡유고1.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60(三○)
60 전라남도 문화예술과 (1998). 문화재도록. 전라남도. p. 232.
61 권섭. 옥소고. 이창희 외 편 (2007). 옥소고9. 서울:다운샘, p. 296.
62 권섭. 옥소고. 이창희 외 편 (2007). 옥소고9. 서울: 다운샘, p. 291-292.
63 빙허각 이씨 (1809). 규합총서. 정양완 역 (2008). 규합총서. 파주: 보진재, p. 151.
64 경상북도 (2003). 문화재대관V. 경상북도, p. 461.
65 정조. 홍재전서. 민족문화추진회 (1998b). 국역홍재전서2.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312(一三九), p. 355 (一五八-一五九)
66 박지원. 연암집. 신호열, 김명호 역 (2007). 연암집 상. 파주: 돌베개, pp. 269-257(487-488)
67 박종채 (1826). 과정록. 김윤조 역 (1997). 역주 과정록. 서울: 태학사, pp. 137-141(336-338)
68 이덕무. 청장관전서. 민족문화추진회 (1980). 국역청장관전서V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23-24(七)
69 심백준․담량소 편, 정원기 외 역 (2000). 삼국지사전, 서울; 범우사, p. 473.
70 두산동아백과사전연구소 (2002). 두산세계대백과사전1 4(재판4쇄). 서울: 두산동아, p.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