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Service Quality of Fashion Retail Stores, using the Kano Model &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 Focused on Department Stores -  

Han, Sang-In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Joongbu University)
Hwang, Sun-Jin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61, no.1, 2011 , pp. 34-4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apparel service quality elements using the Kano's model, and to identify how much service quality can increase the degree of customer satisfaction when the service quality is fully fulfilled. Women over 20 years-old from metropolitan area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from 25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17 service quality elements were categorized into one-dimensional quality which could lead to both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and 3 services quality elements were categorized into indifferent quality which neither result in satisfaction nor dissatisfaction. Second,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PCSI) Index was developed using Kano model and CS coeffient.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both industry and academic researchers with a guide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in fashion retail store.
Keywords
cs-coefficient; Kands model; PCSI Index; service qua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진기, 권업, 김규정 (2004). 스포츠센터 서비스품질의 종목별 Kano모형적 평가. 한국체육학회지, 43(5), pp. 523-532.
2 유한주, 송광석, 김종천 (2004). 카노모델을 활용한 고객군의 분류와 고객군별 고객만족 및 전환장벽에 관한 연구-백화점과 대형할인점 고객을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5(2), pp. 3-32.
3 윤호철, 이상복 (2006). Kano 모델 및 PCSI 지수를 통한 패밀리레스토랑 이용고객 Needs에 관한 연구: 젊은 여성고객을 중심으로. 대한산업공학회지, 32(2), pp. 153-162.
4 임정훈, 민대기, 김광제 (2003). Kano모형에 기반한 소비자 요구사항 분류: 퍼지접근방법. 품질경영학회지, 31(3), pp. 98-113.
5 Timko, M. (1993). An experiment in continuous analysis. In Kano's Method for understanding customer-defined quality. Center for Quality of Management Journal, 2(4), pp. 17-20.
6 임성욱 (2005).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 지수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안민영 (2006). 의류제품개발시 고객만족에 기초한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Kano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수영 (2007).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제품 구매 시 고객만족을 위한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Kano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Parasuraman, A., Zeithaml, V. A., and Berry, L. L. (1988).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pp. 12-29.
10 진희숙. 쇼핑가치유형과 상황에 따른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정영주. 의류점포유형에 따른 고객자발성 형성과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지연, 이은영 (2004). 의류점포의 서비스품질, 제품품질과 가격이 점포애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8(1), pp. 12-21.
13 유한주, 송광석 (2005). 카노모델을 활용한 고속철도 고객의 분류와 고객군별 고객만족 및 전환장벽에 관한 연구: 항공기 및 고속버스 고객과의 비교. 품질경영학회지, 33(3), pp. 71-90.
14 윤성필 (2007). QFD의 고객요구속성을 이용한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의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성희 (2001). 패션 점포 유형별 소비자 만족과 재구매의도-의류 제품품질 및 서비스 품질의 영향을 중심으로-. 복식, 51(1), pp. 61-74.
16 Parasuraman, A., Zeithaml, V. A., and Berry, L. L. (1985). SERVQUAL: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3), pp. 41-50.
17 박은주, 강은미 (2005). 서비스품질과 쇼핑가치가 소비자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50, 60대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3(10), pp. 115-124.
18 김수진, 정명선 (2006). 의류제품 구매 시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상징적 점포이미지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쾌락적 쇼핑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1), pp. 48-58.
19 김정임 (2002). 의류제품의 구매과정과 구매 후의 소비자 불만족 요인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지혜경 (1994). 의류제품의 구매과정에 나타난 소비자 불만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Kano, N., Seraku, N. and Takahashi, F. (1984). Attractive quality and must be quality. The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for Quality Control, 14(2), pp. 39-48.
22 김경섭, 문정희, 송옥현 (2000). 존숄의 고품질 서비스. 김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