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alysis and Illustration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o Discovered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1592-1598)  

Lee, Joo-Young (Dept. of Fashion Design, Tong Myoung University)
Lee, Ky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60, no.9, 2010 , pp. 58-7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shapes of po worn by military officers who serv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1592-1598) were investigated.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Various types of po that military officers usually wor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cludes jikryeong, dapho, dopo, cheolik, aekjureum, jangeui, jungchimak and bangryeongpo. Out of these types, cheolik and jungchimak were most often used by the officers. Po that were usually worn by military officer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as above mentioned is characterized as no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front and back of the costume, kalgit and a pair of coat strings which are directly attached to po. The sleeves of the costume are bean chaff-shaped in some cases and just narrowly shaped in other cases. Similarly, the outer seop of po was either double-layered or single-layered. For jikryeong and dapho, mu is usually type of outside wrinkle. For dopo, its rear kit has the inner hem whose right and left edges are usually distant, respectively by 6~16cm, from the back center of the costume. Cheolik and aekjureum usually have either fine or broad pleats. For jangeui and jungchimak, mu is usually trapezoid in shape. Among various types of po which were usually worn by military officer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most representative are jikryeong from the tombs of Bae Cheon jo, dapho from Shin Yeo Gwan, dopo from general Bak and Bae Cheon Jo, cheolik from Nam Yoo and Cho Gyeong, aekjureum from Shin Yeo Gwan, jangeui from Kim Ham, jungchimak from Bae Cheon jo and bangryeongpo from Cho Gyeong.
Keywords
Japanese Invasion of Korea; military officers; po; analysis formative characteristics; illustr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권오창 (1998). 인물화로 보는 조선시대 우리옷. 서울: 현암사.
2 이주영 (2009). 여산송씨일가 묘 출토 남자 포의 가장자리 구성법 연구. 服飾, 59(9). p. 171.
3 한국국학진흥원 (2007). 기품과 절조의 미학 갓. 유교 문화박물관 리플릿(2007 중요무형문화재 초청특별전 제4호 입자장 박창영), p. 11.
4 양진숙 (2005). 조선시대 관모(冠帽) 사전. 서울: 화산문화, p. 52.
5 김영숙 편저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p. 429.
6 서울역사박물관 (2003). 豊壤趙氏寄贈趙儆墓出土遺衣. pp. 90-91.
7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 144, 157, 381
8 문화관광부, 한국복식문화 2000년 조직위원회 (2001). 우리옷 이천년. 서울: 미술문화, pp. 71-74
9 강순제 (1997). 우리나라 관모의 변천. 국립민속박물관(편) 한국복식2천년, 서울: 신유, p. 214.
10 충주박물관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pp. 16-17
11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 144
12 남이흥(1576-1627), 자료검색일 2010. 3. 9, 자료출처 http://www.cha.go.kr
13 서울역사박물관 (2003). 豊壤趙氏寄贈趙儆墓出土遺衣. pp. 90-91
14 충주박물관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pp. 18-21
15 박성실, 김향미 (2002). 조선시대 기능적 馬上衣類의 실증적 고찰. 韓國服飾, 20, pp. 49-50.
16 홍나영 (1999). 後短方領半臂에 관한 고찰. 服飾, 44, p. 124.
17 장인우 (1995). 우리나라 16.17세기 출토복식. 서울: 학연문화사, pp. 48
18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 321-322
19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1996). 韓國服飾, 16, p. 74
20 朴聖實(1992). 朝鮮前期出土服飾硏究. 世宗大學校大學院家政學科 박사학위논문. pp. 223-224
21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2000). 韓國服飾, 20, pp. 86-87
22 건국대학교 박물관 (2007). 충북 영동 성산 배씨 문중 기증 16.17세기 출토복식. pp. 78-83
23 서울역사박물관 (2003). 豊壤趙氏寄贈趙儆墓出土遺衣. pp. 118-119
24 장인우 (1995). 우리나라 16.17세기 출토복식. 서울: 학연문화사, pp. 46-47
25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 322-323
26 충주박물관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pp. 46-57, 141-147.
27 건국대학교 박물관 (2007). 충북 영동 성산 배씨 문중 기증 16.17세기 출토복식. p. 20, p. 82.
28 충북대학교 박물관 (1983). 壬亂前後의 出土服飾및 喪禮. 충북대학교박물관 조사보고(8), pp. 51-52.
29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 337
30 이주영, 권영숙 (2004). 직령의 부위별 형태특성과 상호간의 관련성 연구. 服飾, 54(5). p. 121.
31 朴聖實(1992). 朝鮮前期出土服飾硏究. 世宗大學校大學院家政學科 박사학위논문. p. 394.
32 朴聖實(1992). 朝鮮前期出土服飾硏究. 世宗大學校大學院家政學科 박사학위논문. pp. 389-398
33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 338
34 장인우 (2010). 풍공유보도략(豊公遺寶圖略)의 복식사적 의미. 服飾, 59(10), p. 53.
35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p. 322-323
36 朴聖實(1992). 朝鮮前期出土服飾硏究. 世宗大學校大學院家政學科 박사학위논문. pp. 250-251.
37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 148
38 서울역사박물관 (2003). 豊壤趙氏寄贈趙儆墓出土遺衣. pp. 104-109.
39 이주영 (2009). 여산송씨일가 묘 출토 남자 포의 조형 및 구성특성. 대전선사박물관 학술총서 옷섶 사이로 비치는 조선, pp. 169-171.
40 朴聖實(1992). 朝鮮前期出土服飾硏究. 世宗大學校大學院家政學科 박사학위논문. pp. 246-251
41 이황조 (2006). 조선시대 腋注音의 조형적 특징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2 서울역사박물관 (2003). 豊壤趙氏寄贈趙儆墓出土遺衣. pp. 100-101
43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999). 韓國服飾, p. 76
44 충주박물관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pp. 22-25
4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韓國服飾, 23, pp. 66-81.
46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994). 韓國服飾, 12, p. 115
47 장인우 (2010). 풍공유보도략(豊公遺寶圖略)의 복식사적 의미. 服飾, 59(10), p. 125.
48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 147
49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999). 韓國服飾, pp. 71-73
50 건국대학교 박물관 (2007). 충북 영동 성산 배씨 문중 기증 16.17세기 출토복식. p. 14, p. 76.
51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p. 183-184
52 서울역사박물관 (2003). 豊壤趙氏寄贈趙儆墓出土遺衣. pp. 98-103.
53 충주박물관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pp. 40-45, 138-141
54 이은주 (1998). 道袍양식의 발전에 대한 갈등.기능론적 분석. 서울여대 박사학위논문. pp.122-124.
55 이은주 (1998). 道袍양식의 발전에 대한 갈등.기능론적 분석. 서울여대 박사학위논문. pp. 117-119.
56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 320
57 건국대학교 박물관 (2007). 충북 영동 성산 배씨 문중 기증 16.17세기 출토복식. pp. 76-77;
58 장인우 (1995). 우리나라 16.17세기 출토복식. 서울: 학연문화사, p. 50
59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p. 319-320
6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999). 韓國服飾, 17. p. 74.
61 서울역사박물관 (2003). 豊壤趙氏寄贈趙儆墓出土遺衣. pp. 110-113.
62 송미경 (2009). 조선시대 답호[塔胡] 연구 -17세기 전기까지. 服飾, 59(10). p. 59.
63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p. 146-147
64 조선희 (2009). 충남 당진 남이흥 장군 복식유물에 관한 연구. 韓服文化, 12(2), pp. 162-166
6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999). 韓國服飾, 17. pp. 74-75
66 건국대학교 박물관 (2007). 충북 영동 성산 배씨 문중 기증 16.17세기 출토복식. p. 12, p. 74.
67 충주박물관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pp. 34-39, 134-138.
68 네이버 백과사전
69 건국대학교 박물관 (2007). 충북 영동 성산 배씨 문중 기증 16.17세기 출토복식. p. 14
70 朴聖實(1992). 朝鮮前期出土服飾硏究. 世宗大學校大學院家政學科 박사학위논문. pp. 233-234, 244-245
71 이주영 (2001). 조선시대 직령(直領)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6
72 이주영 (2001). 조선시대 직령(直領)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pp. 71-76.
73 권영숙, 이주영 (2006). 출토복식을 통해 본 임란전후 대전지역의 염습제도와 의생활 양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3).
74 이주영 (2001). 조선시대 직령(直領)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2-105.
75 김명숙 (2004). 충북 옥천 출토 17세기 복식 연구. 韓服文化, 7(1).
76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77 홍나영 (2008).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服飾, 58(5).   과학기술학회마을
78 대전광역시, 한국전통복식연구소 (2007). 대전 목달동 출토 조선 초.중기 여산송씨 출토복식.
79 송미경 (2007). 김확묘 유물을 통해 본 17세기 남자 포에 관한 연구. 服飾, 57(7).   과학기술학회마을
80 건국대학교 박물관 (2007). 충북 영동 성산 배씨 문중 기증 16.17세기 출토복식.
81 이주영 (2008). 여산송씨일가 묘 출토 직령교임식 남자포의 조형 특성. 服飾, 58(9).   과학기술학회마을
82 이주영 (2009). 여산송씨일가 묘 출토 남자 포의 가장자리 구성법 연구. 服飾, 59(9).   과학기술학회마을
83 송미경 (2009). 조선시대 답호[塔胡] 연구 -17세기 전기까지. 服飾, 59(10).   과학기술학회마을
84 송미경 (2009). 조선시대 전기 철릭을 통해 본 진주류씨 묘 출토 복식 연대 추정. 韓服文化, 12(2).
85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www.http://people.aks.ac.kr)
86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 143.
87 건국대학교 박물관 (2007). 충북 영동 성산 배씨 문중 기증 16.17세기 출토복식. p. 65.
88 자료검색일 2010. 3. 9, 자료출처 www.http://people.aks.ac.kr
89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 283.
90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 337.
91 서울역사박물관 (2003). 豊壤趙氏寄贈趙儆墓出土遺衣. pp. 39-40.
92 이은주 (1998). 道袍양식의 발전에 대한 갈등.기능론적 분석. 서울여대 박사학위논문. p. 123.
93 충주박물관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pp. 82-83.
94 김동욱 (1983). 壬亂前後의 出土服飾. 충북대학교박물관 조사보고(8), p. 21.
95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 복식.자수편-. p. 319.
96 충주박물관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pp. 148-149.
97 고부자 (1999). 일영 출토 고령 신씨 유물 소고. 韓國服飾, 17.
98 朴聖實(1992). 朝鮮前期出土服飾硏究. 世宗大學校大學院家政學科박사학위논문.
99 이은주 (1998). 道袍양식의 발전에 대한 갈등.기능론적 분석. 서울여대 박사학위논문.
100 장인우 (1999). 16.17世紀出土服飾과 風俗. 朝鮮時代 服飾硏究, 學硏文化社.
101 서울역사박물관 (2003). 豊壤趙氏寄贈趙儆墓出土遺衣.
102 이주영 (2001). 조선시대 직령(直領)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3 이주영, 권영숙 (2004). 직령의 부위별 형태특성과 상호간의 관련성 연구. 服飾, 54(5).   과학기술학회마을
104 이주영, 권영숙 (2003). 조선시대 직령의 유형과 특성. 服飾, 53(6).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