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황옥철, 심재영 (1999). 우리나라 놀이문화의 변천사 연구. 움직임의 철학, 7(1).
|
2 |
전경욱 (2004). 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의 놀이문화. 고구려연구, 17.
|
3 |
주재걸 (1982). 벽화무덤을 통해 본 고구려의 교예. 력사과학, 2.
|
4 |
晉書. 卷25, 志 第15, 與服. 武弁, 大冠, 繁冠, 建冠, 籠冠, 惠文官.
|
5 |
공석구 (1998). 안악 3호분 주인공의 관모에 대하여. 고구려 연구, 5, pp. 174-178.
|
6 |
舊唐書. 卷199 列傳 高麗條. 唯王五綵以白羅爲冠白皮小帶其冠及帶感以金飾, 官之貴者則靑羅爲冠次以緋羅插二鳥羽及金銀爲飾.
|
7 |
이경희 (2007). 고구려 책(幘)에 관하여. 한국학연구, 17, p. 129.
|
8 |
임재해 (1995). 민속놀이의 주술적 의도와 생산적 구실. 연속학회, 27(1).
|
9 |
고승길 (1996).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의 곡예와 아시아의 곡예. 연극연구, 10.
|
10 |
이태호 (1984). 삼국시대의 미술회화. 한국미술사. 서울: 대한민국예술원.
|
11 |
김은정, 임린 (2009). 역사속의 우리옷 변천사.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p. 29.
|
12 |
이태호, 유홍준 (1995). 고구려고분벽화와 삼국시대 회화. 고구려고분벽화 해설. 서울: 풀빛, pp. 5-16.
|
13 |
유홍준, 이태호 (1997) 고구려 벽화고분의 발굴. 한국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 서울: 학고재, pp. 228-286.
|
14 |
이태호 (2007). 평양지역 8기의 고구려 벽화고분-벽화의 내용과 화풍-. 국립문화재연구소.남북역사학자협의회, 남북공동 고구려벽화고분 보존질태 보고서. 제1권 조사보고, pp. 86-111.
|
15 |
전호태 (2003).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154.
|
16 |
박춘순 (1998). 바지의 문화사. 서울: 민속원, p. 204.
|
17 |
이애주 (1997). 고구려 춤의 민속학적 연구. 고구려연구, 3, pp. 132-133.
|
18 |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I.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241.
|
19 |
김미자 (1997).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 복식에 관한 연구. 고구려연구, 4집, p. 516.
|
20 |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윤화재와 문화유적 I.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20, 51-52, 130.
|
21 |
채금석 (2001). 수렵총, 수산리고분벽화에 나타난 복식 연구. 한복문화, 4(3), p. 71.
|
22 |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I.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17.
|
23 |
정연학 (1996). 출토문물을 통해 본 중국의 씨름과 手搏, 비교민속학, 13, p. 651, 680.
|
24 |
舊唐書. 卷199上 列傳 第149上, 東夷傳, 高麗條, 好園棊投壺之戲人能蹴鞠.
|
25 |
전경욱 (2004). 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의 놀이문화. 고구려연구, pp. 142-143.
|
26 |
三國史記. 百濟本紀, 阿莘王條.
|
27 |
李白集校注 卷6, 高句麗.
|
28 |
舊唐書, 卷29, 志第9, 音樂2. 高麗樂. 舞者四人推髻於後以綘抹額飾以金璫. 二人黃裙糯赤黃袴極長基袖鳥皮靴雙雙立而舞.
|
29 |
정완진 (2003).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의 지역적과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4.
|
30 |
박춘순 (1998). 바지의 문화사. 서울: 민속원, p. 21.
|
31 |
박춘순 (1998). 바지의 문화사. 서울: 민속원, p. 208.
|
32 |
김인숙 (1987). 바지袴(I)-바지 形態에 대한 小考-. 대한가정학회지, 25(2), p. 27.
|
33 |
홍나영, 이미현 (2005). 고구려 복식의 양식 분석-고구려 바지를 중심으로-. 복식, 55(2), p. 89.
과학기술학회마을
|
34 |
전미선 (2005).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놀이문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9-50.
|
35 |
隋書. 卷81, 列傳 第46, 高麗條.
|
36 |
전미선 (2005).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놀이문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
37 |
유홍준, 이태호 (1997). 고구려 벽화고분의 발굴. 한국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 서울: 학고재, pp. 276-279: 기준으로 추정 연대 작성.
|
38 |
황옥철, 심재영 (1999). 우리나라 놀이문화의 변천사 연구. 움직임의 철학, 7(1), pp. 129-130.
|
39 |
김진구 (1995). 절풍의 연구. 복식문화연구, 3(1), p. 10.
|
40 |
정완진 (2003).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의 지역적과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49.
|
41 |
권준희 (2003). 고구려와 신라의 절풍(折風)형 관모. 한복문화, 6(3), p. 77.
|
42 |
이경희 (2007). 고구려 책(幘)에 관하여. 한국학연구, 17, pp. 134-145.
|
43 |
임린, 김은정 (2009). 한국 고대 가계의 기능과 의미. 복식, 59(2), p. 19.
과학기술학회마을
|
44 |
윤지원 (2000). 漢代와 고구려의 長袖衣 무용복 비교. 복식, 50(5), pp. 41-42.
|
45 |
박경자 (1981). 덕흥리 고분벽화의 복식사적 연구. 복식, 5, p. 47.
|
46 |
김미자 (1997).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 복식에 관한 연구. 고구려연구, 4집, p. 503.
|
47 |
홍나영, 이미현 (2005). 고구려 복식의 양식 분석-고구려 바지를 중심으로-. 복식, 55(2), p. 84.
과학기술학회마을
|
48 |
김윤주 역 (2008). 호모 루덴스. 서울: 도서출판 까치, pp. 13-46.
|
49 |
R. Caillois (1958). LES JEUX ET LES HOMMES. 이상률 역 (2003). 놀이와 인간. 서울: 문예출판사, pp. 25-34.
|
50 |
김윤주 역 (2008). 호모 루덴스. 서울: 도서출판 까치, pp. 66-67, 78-79.
|
51 |
三國志, 魏志, 東夷, 高句麗條. 其公會衣服皆金繍金銀以自飾 大加主簿頭著幘如幘而無後 其小如著折風 形如弁.
|
52 |
정완진, 이순원 (1994). 고구려 관모 연구. 복식, 23, p. 164
|
53 |
이여성 (1947). 조선복식고. 서울: 백양당, p. 167.
|
54 |
전미선 (2005).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놀이문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55 |
고영미 (2007). 고대 문헌에 나타난 고구려 춤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56 |
J. Huizinga (1955).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김윤주 역 (2008). 호모 루덴스. 서울: 도서출판 까치, p. 13.
|
57 |
박선희 (2003). 한국고대복식. 서울: 지식산업사, p. 234
|
58 |
정완진 (2003).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의 지역적 특성과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94.
|
59 |
유홍준, 이태호 (1997). 고구려 벽화고분의 발굴. 한국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 서울: 학고재, pp. 245-246.
|
60 |
전호태 (2003).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304.
|
61 |
정연학 (1996). 출토문물을 통해 본 중국의 씨름과 手搏, 비교민속학, 13.
|
62 |
이애주 (1997). 고구려 춤의 민속학적 연구. 고구려연구, 3.
|
63 |
이중구 (1998). 한국전통사회 놀이문화의 변천과정. 관광학연구, 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