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f Gwa-du (裹肚) in the Joseon Dynasty  

Song, Mi-Kyung (Dept. of Clothing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60, no.1, 2010 , pp. 76-9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Gwa-du(裹肚), name of a garment, appears often from documentary records of Joseon Dynasty. It is assumed as one of the upper garments for men, and according to the record, it was worn as a set with Dan-ryung(團領), Dap-ho(搭胡), Chul-rik(帖裏), Han-sam(汗衫), pants and sock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17th century, it changes to a shape of wrapping clothes with straps at four corners, and used to cover the stomach of a corpse like sash. From 16th-17th century,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excavated costume shows a clothing which takes a role of Jegori, longer than Han-sam(汗衫) and shorter than Po(袍). In this study, this clothing is called Gwa-du(裹肚). This study examined the usage and shape of Kwa-du from some documentary records- "朝鮮王朝實錄-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禮書- Book of Manners", "宮中件記- Googjoonghalkee, recording court goods and commodities lists" and more with actual clothing. Kwa-du is presumed to have changed to men's Jegori So-chang-ui(小氅衣) after 17th century.
Keywords
Joseon dynasty period; men's upper garment; under clothes; Gwa-du;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박성실, 고부자 (1989) 城南出土 東莱鄭氏 出土遺物에 관한 小考. 韓國服飾, 7, pp. 123-154.
2 문화재청(편)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p. 284-285.
3 세조실록 권15, 5년(1459) 3월 10일. 3월 15일.
4 세조실록 권46, 14년(1468) 4월 9일.
5 沈富子, 全惠淑 (1986). 文益新墓의 出土服飾. 服飾 10. pp. 81-90.
6 서울역사박물관(편). (2003). 趙做墓出土遺衣.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pp. 114-116.
7 성종실록 권110. 10년(1479) 윤10월 2일.
8 연산군일기 권2, 1년(1495) 1월 6일.
9 중종실록 권41, 16년(1521) 4월 11일.
10 선조실록 권38, 26년(1593) 5월 2일.
11 성종실록 권50, 5년(1474) 12월 16일.
12 단종실록 4권, 즉위년(1452). 10월 4일.
13 고전국역총서 연산군일기 VII. 제52권 10년 4월 9일 p. 310. 재단법인 민족문화추진회. 1989.
14 國朝五體儀, 卷之八 .凶禮 大夫庶人喪儀. 五禮八 七十三.
15 家體輯覽 卷之四十, 手鑑.
16 경기도박물관(편) (2001).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 보고서. 용인: 경기도박물관. pp. 232-262.
17 이명은 (2003), [궁중발긔]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연구-장서각소장품을 중심으로- 재인용. p 216.
18 대전광역시,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편) (2006). 대전 목달동 출토 조선초.중기 여산송씨 출토복식. 대전: 대전광역시, pp. 67-149. pp. 232-235.
19 김선아, 이용희 (2000). 順天朴民 始祖墓出土 服節 保存處理 박물관보존과학. 2, pp. 9-18.
20 영주시 (1998), 判決事 金欽祖先生 合葬墓 發掘調査 報告書. 영주: 영주시. pp. 229-326.
21 박성실 (2002). 서울시 중계동 출토 星州李氏 大司憲 彦忠(1524-1528)墓 복식 고찰. 轉國服飾. 20. pp. 87-154.
22 안동대학교박물관(편) (2000). 안동 정상동 일선 문씨와 이응태묘 발굴조사 보고서 안동 안동대학교박물관. pp. 171-348.
23 서울역사박물관(편) (2003). 趙儆墓出土遺衣.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pp. 38-126.
24 경기도박물관(편) (2007).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용인: 경기도박물관. pp. 148-224.
25 박성실 (2008). 경기도 광주 출토 정사공신 신경유 (1581-1633) 복식 고찰. 韓國服飾 26. pp. 131-254.
26 대전광역시 .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 연구소 (2006). 대전 목달동 출토 조선초 . 중기 여산송씨 출토복식. 대전: 대전광역시, pp. 31-32.
27 광주민속박물관(편). (2000). 霞川 高雲 出土遺物, 광주: 광주민속박물관pp.. 85-86.
28 고복남 (1993). 韓國傳統 服節史硏究. 서울: 一湖閣. pp. 352-354.
29 경기도박물관(편) (2007).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용인: 경기도박물관pp.. 214-215
30 이명은 (2003), [궁중발긔]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연구-장서각소장품을 중심으로- 재인용. pp. 189-190.
31 이명은 (2003), [궁중발긔]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연구-장서각소장품을 중심으로 재인용. p. 215.
32 문화재청 (편)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p. 282-291.
33 고부자 (2008). 海南尹氏 海南安氏 橘亭公波 贋州出土 遺物研究. 韓國服飾, 27. pp. 33-84.
34 경기도박물관(편) (2004) 심수륜묘 출토복식 용인:경기도박물관. pp. 142-147.
35 고복남 (1993). 韓國傳統 服節史硏究. 서울: 一湖閣. pp. 262-263.
36 정말숙 (2005). 조선시대 王의 殮襲衣襨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93-95.
37 성종실록 권74, 7년(1476) 12월 23일.
38 중종실록 권61, 23년(1528) 4월 11일.
39 성종실록 권7, 1년(1470) 8월 22일.
40 성종실록 권1, 즉위년(1469) 12월 2일.
41 연산군일기 권52, 10년(1504) 4월 9일.
42 대전광역시 .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2006). 대전 목달동 출토 조선초 . 중기 여산송씨 출토복식. 대전: 대전광역시, p. 279.
43 성종실록 권283, 24년(1493) 10월 16일.
44 연산군일기 권50, 9년(1503) 8월 9일.
45 연산군일기 권52, 10년(1504) 4월9일.
46 건국대학교박물관(편) (2007) 충북 영풍 성산 배씨 문중 기증 16.17세기 출토복식. 서울. 건국대학교박물관. pp. 11-31. pp. 73-94.
47 세조실록 권43, 13년(1467) 7월 22일. 8월 6일. 9월 14일.
48 金淑堂 (1924), 朝鮮裁縫全書 京城: 活文社. pp. 178-187.
49 성종실록 권50, 5년(1474) 12월 16일. 12월 19일.
50 광주민속박물관(편) (2000). 霞川 高雲 出土遺物, 광주: 광주민속박물관. pp. 35-118.
51 충주박물관(편).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충주: 충주박물관. pp. 57-58.
52 박성실, 고부자 (1991) 高陽 陵谷 茂院 出土 羅州丁氏 月軒公派 出土遺物 小考. 韓國服飾, 9, pp. 45-83. pp. 135-157.
53 중종실록 권55, 20년(1525) 10월 14일.
54 四禮儀節 世昌書館 京城: 昭和 17. p 17.
55 서울역사박물관(편). (2003). 趙做墓出土遺衣.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pp. 84-85.
56 중종실록 권41, 16년(1521) 4월 11일. 국역 중종실록 21. p. 129.
57 대전광역시 .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2006). 대전 목달동 출토 조선초 . 중기 여산송씨 출토복식. 대전: 대전광역시, p. 226.
58 황유선 (1999). 조선시대 저고리類 명칭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16-23.
59 연산군일기 권34, 5년(1499) 7월 20일.
60 고부자 (1999). 일영 출토 고령신씨 유물 소고. 韓國服飾, 17. pp. 41-122.
61 고부자 (2005). 경기도 파주 출토 진주강씨(대호. 1541-1624) 유물. 韓國服飾. 23. pp. 39-180.
62 박성실 (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29-258.
63 경기도박물관(편) (2004). 심수륜묘 출토복식 용인:경기도박물관. pp. 110-175.
64 문화재청 (편).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p 318-329.
65 세조실록 권19, 6년(1460) 3월 9일.
66 이황조 (2006). 조선시대 腋注音의 조형적 특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2-40.
67 충주박물관(편)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충주: 충주박물관. pp. 8-166.
68 성종실록 권46, 5년(1474) 8월 19일.
69 고려대학교박물관, 경기도 . 한국토지개발공사(편) (1992), 全州李氏 泰安君 墓(雙墳) 發掘調査報告書. pp. 41-43.
70 박성실 (1998). 파주 금릉리 출토 경주정씨 유물 소고. 韓國服飾. 16. pp. 31-39.
71 중종실록 권55, 20년(1525) 10월 3일. 10월 14일.
72 단종실록 권14, 3년(1455) 4월 22일.
73 성종실록 권6, 1년(1470) 7월 24일.
74 성종실록 권9, 2년(1471) 2월 10일.
75 두산 백과사전 http://100.never.com/100.nhn-docid=854173
76 문화재청(편)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p. 340-345.
77 문화재청 (편).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p. 300-307.
78 안동대학교박물관(편). (2000). 안동 정상동 일선 문씨와 이응태묘 발굴조사 보고서 안동 안동대학교박물관. p 226.
79 안동대학교박물관(편). (2000). 안동 정상동 일선 문씨와 이응태묘 발굴조사 보고서 안동 안동대학교박물관. p. 310.
80 선조실록 권38, 26년(1593) 5월 2일.
81 서울역사박물관(편). (2003). 趙做墓出土遺衣.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pp. 88-89.
82 단종실록 권4 즉위년(1452) 10월 4일. 10월 5일. 10월 13일. 12월 2일.
83 황유선 (1999). 조선시대 저고리類 명칭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110-114에서 재인용
84 박성실 (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18-71.
85 문화재청 (편)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p. 336-339.
86 문화재청 (편)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p. 340-351.
87 건국대학교박물관. (2007) 충북 영풍 성산 배씨 문중 기증 16.17세기 출토복식. 서울. 건국대학교박물관. p. 84.
88 성종실록 권70, 7년(1476) 8월 4일.
89 박성실 (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59-317.
90 경기도박물관(편) (2006). 진주류씨 합장묘 출토복식. 용인: 경기도박물관. pp. 114-144.
91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17세의 무관 옷 이야기. 안동: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pp. 38-113.
92 劉頌玉 (1991).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서울: 수학사. pp. 125-126.
93 중종실록 권90, 34년(1539) 4월 25일.
94 고부자 (1997). 천안 풍세면 출토 제주고씨 유물에 대한 연구. 韓國服飾. 15, pp. 65-119.
95 세조실록 권4, 2년(1456) 7월 18일.
96 四禮便覽. 卷之人喪九 裹肚.
97 박성실 (1993). 廣州都 突馬面 朽票里 出土 全州李氏 義安大君 襄昭公派 遺物小考. 韓國服節, 11. pp. 57-89.
98 柳喜卿 (1975).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梨花女子大學校出版部. pp. 366-367.
99 박성실 (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0-122.
100 송미경 (1989). 염습의(殮襲衣)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7-18.
101 세조실록 권44, 13년(1467) 10월 2일. 10월 22일.
102 성종실록 권44, 5년(1474) 윤6월 2일.
103 중종실록 권90, 34년(1539) 4월 25일.
104 최은수 (2003). 변수(1447-1524) 묘 출토복식 고찰. 생활문물연구. 11, pp. 89-139.
105 이순원. 유효선. 조우현, 서울대학교 한국복식연구실 (2000). 이석명(李碩明)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 서울大學校 博物館, pp. 25-124.
106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17세의 무관 옷 이야기. 안동: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p. 30.
107 고복남 (1993). 韓國傳統 服節史硏究. 서울: 一湖閣. p. 144.
108 박성실 (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59-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