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istorical Review of Korean Traditional Baeja, and an Exploration of its Modernization  

Lee, Eun-Hyung (Dept. of Clothing, Kyungwon University)
Cho, Hyo-Sook (Dept. of Clothing, Kyungwo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9, no.9, 2009 , pp. 115-13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 kind of Korean traditional jacket, Baeja, has been a Korean traditional costume equipped with practicality and formative aesthetic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Joseon Dynasty. Accordingl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highly valued a modern sense of Baeja with various types of design and forms and attempted to make efforts to apply it into modern life. This study provided a new direction in the modernization work of traditional costumes by creating fashion images newly interpreted corresponding to a modern sense and trend through the application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noticeable elements via the coordination of traditional Baeja and modern costumes. On the one hand, it would be meaningful in terms of contributing to the activation of traditional Hanbok by providing people with ample opportunities to wear it in modern daily lives variously. On the other hand, the actual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modernization work for traditional costumes by attempting to conduct a crossover that could let people move into other areas freely, that is, a creative and innovative research associating the area of costume history and that of coordination.
Keywords
Baeja; modernization; traditional costume; modern costume; coordin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주현, 유혜경, 김찬주, 홍나영 (2001). 현대 한국인의 한복 착용: 아시아 전통문화 양식의 전개과정에 관한 비교문화 연구(제3보). 한국의류학회지, 25(1), p. 48   과학기술학회마을
2 조효숙 (2007). 생활 속의 아름다움 - 우리 옷, 배자 전시회 도록. 재단법인 아름지기, p. 5
3 조오순 (2003). 배자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1). 창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연구, (7), pp. 137-149
4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87
5 위의 책, p. 87
6 6두품 여자는 모직으로로 만든 라(罽羅), 색사로 무늬를 넣은 라(錦羅), 포방라. 들꽃 무늬를 넣은 라(野草羅), 금박. 은박 혹은 금과 은으로 그림을 그린 것(金銀泥)의 사용을 금하였으며(六頭品 女. 禁 罽羅錦羅布紡羅野草羅金銀泥). 5두품 여자는 모직으로 만든 라(罽羅), 금(錦), 들꽃 무늬를 넣은 라(野草羅), 포방라, 금박, 은박 혹은 금과 은으로 그림을 그린 것(金銀泥). 협힐(夾纈)의 사용을 금했고(五頭品 女. 禁 罽羅錦野草羅布紡羅金銀泥夾纈), 4두품 여자에게는 능(綾)의 사용이 허용되었다(四頭品 女. 用 綾)
7 김정자 (1996). 韓國 軍服의 變遷史 硏究.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31
8 홍나영 (1999). 후단 방령반비에 관한 고찰. 복식, (44). p. 120
9 유희춘. 미암일기 (眉巖日記). 유희춘은 학문이 뛰어난 사대부로서 정5품 홍문관 교리에 제수되어 왕의 글을 가르치는 직분을 맡았다. 유희춘이 55세가 되는 해인 1567년부터 1577년까지 11년에 걸쳐 거의 매일 같이 쓴 “미암일기(眉巖日記)”에는 매일의 일상사를 기록함은 물론 사대부가에서 통용되는 복식의 명칭과 의차(衣次)도 비교적 자세히 담고 있다. (조효숙 (2003). 파평윤씨 모자미라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파평윤씨 모자미라 종합 연구논문집. 고려대학교 박물관, p. 121.)
10 김미자 (1977). 개화기의 문관복에 대한 연구. 복식, (1), p. 77
11 최남선. 조선상식(朝鮮常識). 제4(第4). 전복조(戰服條)
12 위의 책, p. 53, 해당 도식화는 참고 문헌에 나와 있는 유물사진과 실측 크기를 토대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13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앞의 책, p. 147
14 위의 책, p. 147
15 위의 책, p. 23. 18세기의 유물을 기본으로 현대 여생 치수에 맞도록 약간의 치수를 조정하여 제작하였다
16 신윤복. 쌍륙삼매(雙六三昧). 혜원전신첩, 간송미술관소장, 국보 135호
17 한국문화 콘텐츠 컬렉션 고유복식. 자료검색일 2008. 11, 자료출처 http://clothl.krpia.co.kr
18 부혜성 (1998). 현대 패션디자인을 위한 배자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유희경, 김문자. 앞의 책, p. 89
20 임현주, 조효숙 (2004). 조선시대 16 . 17세기 출토복식의 직물유형 및 문양에 관한 연구. 복식, 54(8), pp. 119-128
21 위의 책, p. 53
22 위의 책, p. 249. 해당 도식화는 참고 문헌에 나와 있는 유물사진과 실측 크기를 토대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23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권80. 예고27, 장복2, p 30
24 영조실록(英祖實錄). 52년(五十二年) 3월조(三月條)
25 주성희 (1982). 일본 정창원의 '오녀배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8
26 위의 책, p. 234
27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名選 中 민속 . 복식. 서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p. 140
28 나라국립박물관 (1988). 제40회 正倉院展 도록. 일본: 나라국립박물관, p. 44
29 옷감 사용에 있어 남자의 경우, 진골 대등은 표의와 동일하였고(眞骨大等. 同 表衣), 5두품은 내의와 동일하며(五頭品, 同 內衣), 4두품에게는 시(絁), 면(綿), 주(紬)의 사용이 허용되었으며(四頭品, 用 絁綿紬), 여자의 경우. 진골 여자는 내의와 동일하며(眞骨 女, 同 內衣), 6두품 여자는 계(罽), 수(繡), 라(羅), 세라(繐羅)의 사용을 금하였고(六頭品 女, 禁 罽繡羅繐羅), 5두품 여자에게는 계(罽), 수(繡), 금(錦), 들꽃무늬를 넣은 라(野草羅), 세라(繐羅) 사용을 금했으며(五頭品 女. 禁 罽繡錦野草羅繐羅), 4두품 여자는 바지와 동일하였다(四頭品 女. 同 袴)
30 나라국립박물관 (1998). 제50회 正倉院展 도록. 일본: 나라국립박물관, p. 53
31 왕선정 (2007). 혜원 신윤복의 풍속화를 응용한 현대 배자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박두이. 앞의 논문, pp. 27-28
33 고려사(高麗史). 第72卷, 志 第26, 여복(與服), 서문(序文)
34 위의 책, pp. 298-299
35 문화관광부 (2001). 우리옷 이천년. 서울: 문화관광부 한국복식문화 2001년 조직위원회, pp. 72-73
36 위의 책, p. 212. 해당 도식화는 참고 문헌에 나와 있는 유물사진과 실측 크기를 토대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37 이진영. 앞의 논문, p. 44. '태종실록'에는 태상왕(태조)의 숭하 시 상정한 여자의 상복으로 왕비와 빈의 것은 대수장삼(大袖長衫)이고 궁주 이하 옹주 및 시녀들의 상복은 대(帶)가 있는 배자 착용이라 기록되어 있으며, '세종실록'에는 28년 왕비 상제에 상정된 세자비의 이하의 상복에 배자와 대가 기록되어있다. 또한 조선 전기의 국가 의례를 법제화 한 '오례의'의 흉례의식에도 배자는 대수 다음가는 상복으로 규정되고 있다
38 송문흠. 한정당집(閑靜堂集). 卷七. 雜著
39 위의 책, p. 152
40 이진영 (1997). 배자 고찰을 통한 한, 중, 일 복식문화의 비교.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3). 우리 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p. 249
42 박두이 (1988). 배자의 양식변천에 관한 고찰.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경기도박물관 (2004). 심수륜묘 출토복식. 용인: 경기도박물관, p. 212
44 위의 책, p. 147. 해당 도식화는 참고 문헌에 나와 있는 유물사진과 실측 크기를 토대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45 위의 책, p. 59. 해당 도식화는 참고 문헌에 나와 있는 유물사진과 실측 크기를 토대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46 위의 책, p. 22
47 조효숙 (2007). 앞의 책, pp. 14-31
48 위의 책, pp. 14-31. 재단법인 아름지기에서는 2007년 10월 23일부터 2007년 11월 22일까지 열린 '생활 속의 아름다움 - 우리 옷, 배자' 전시회를 위하여 조효숙의 고증 하에 배자 작품을 재현하였다
49 조효숙.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 중요민속자료 2. 복식 . 자수 편. 대전: 문화재청. p. 357
50 '광해군일기'중 광해군 11년(1619). '예조에서 '당상관은 아청색의 무늬가 있는 비단 단령(鴉靑有紋四段團領) 대홍필단 더그레(加文刺)를 입는 것이 전부터 정해진 제도였으니 변경해서는 안된다'고 아뢰었더니 광해군은 이에 대하여 '세자의 복색과 당상관의 복색을 같게 할 수는 없으니, 조정의 관원이 대홍 더그레를 입는 것을 금하라'는 명을 내렸다'는 기록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한자 '加文刺'는 곧 더그레로, 당시의 반팔 옷인 '답호'를 뜻한다. 또한 1623년 '상례언해'에 '답호는 더그레라는 옷으로, 단령이나 심의의 받침옷으로 입는데 '오례의'에 '반팔 옷(半臂衣)'이라고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더그레가 답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51 위의 책, pp. 16-31
52 위의 책, p. 25. 경기도박물관에 소장된 16세기 남성의 배자 유물을 현대 여성 치수에 맞도록 약간의 치수를 조정하여 제작하였다
53 손경자, 김영숙 (1982). 한국복식사자료선집 - 조선편 3. 서울: 교문사. p. 401
54 조효숙 (2006). 앞의 책, p. 141
55 위의 책, p. 249
56 위의 책, pp. 14-15
57 고려대학교박물관 (1990). 仁村金性洙先生 誕長100周年紀念 服飾類名品圖錄. 서울: 고려대학교박물관, p. 59
58 박두이. 앞의 논문, p. 29
59 최무장, 임연철 (1992). 고구려벽화고분. 서울: 신서원, p. 41
60 인조실록(仁鳥實錄). 2년(二年) 1월조(一月條)
61 유희경, 김문자. 앞의 책, pp. 153-154
62 김동욱 (1982). 신라통일기의 복식. 한국의 복식. 서울: 한국문화재보호협회. pp. 73-74
63 고려사(高麗史). 第72卷, 志 第26, 여복(與服), 의위(儀衛)
64 위의 책, p. 44. 해당 도식화는 참고 문헌에 나와 있는 유물사진과 실측 크기를 토대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65 위의 책, pp. 16-31
66 김부식. 삼국사기(三國史記). 6권, 신라본기. 색복조(卷六, 新羅本紀, 色服條). 흥덕왕 복식금제(興德王 服飾禁制)에는 복식명과 직물명. 색상에 관한 명칭이 언급되어 있어 그 당시 복식제도를 알 수 있다